•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언택트시대 성장 동력"…로봇사업 박차 가하는 삼성·LG
  • "언택트시대 성장 동력"…로봇사업 박차 가하는 삼성·LG
  •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전자업계가 로봇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4차 혁명과 더불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언택트(Untact·비대면) 시대가 도래하면서 미래 성장동력으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LG전자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LG클로이 로봇’(왼쪽)과 삼성전자 웨어러블 보행보조 로봇 젬스 힙, 앵클, 니(오른쪽). (사진=LG·삼성전자)◇로봇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LG전자현재 로봇사업에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곳은 LG전자(066570)다. LG전자는 배송 서비스로봇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로봇 사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LG전자는 병원을 비롯해 호텔, 식음료 분야 등에 각종 맞춤형 자율주행 서비스로봇인 ‘LG클로이 로봇’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LG전자의 로봇은 편의점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LG전자는 최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내에 있는 GS25강서LG사이언스점에서 LG 클로이 서브봇을 이용해 상품을 배송하는 로봇배송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LG 클로이 서브봇은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 1층부터 9층까지 층간을 오가며 도시락·샌드위치·음료 등을 배달한다. 앞서 LG전자는 곤지암리조트에서 서브봇 3대와 홈로봇 2대 등 모두 5대의 로봇을 운영 중이다. LG전자는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 ‘CES 2020’에서 손님 맞이부터 주문과 음식조리·서빙·설거지 등을 제공하는 LG클로이 로봇 라인업을 선보인 만큼 향후 종업원이 없는 로봇 식당과 호텔 서비스도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가 서비스로봇 영역 확대에 나서고 있는 이유는 시장 전망이 밝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스에 따르면 세계 서비스로봇시장은 올해 370억달러(40조9405억원) 규모에서 2025년 1025억달러(113조4163억원)로 규모가 약 3배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서비스로봇 시장의 성장은 더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지난 26일 2021년도 정기 임원인사에서 로봇사업센터를 비즈니스솔루션(BS)본부로 이관했다. BS사업본부의 글로벌 영업 인프라와 역량을 활용해 로봇사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산업용시장 공략하는 삼성전자삼성전자(005930)는 산업용 로봇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웨어러블 로봇인 보행 보조 로봇 ‘젬스 힙(GEMS-H)’의 ’의 연내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삼성서울병원은 보행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 등 성인을 대상으로 를 이용한 보행 훈련 후 성과 만족도를 확인하는 시험을 최근 시작했다. 시험은 내년 말 종료될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 GEMS는 △고관절을 보조하는 젬스 힙 △발목을 보조하는 젬스 앵클(GEMS-Ankle) △무릎을 보조하는 젬스 니(GEMS-Knee) 세 가지로 나뉜다. 이번 시험에 사용되는 것은 고관절에 착용하는 젬스 힙이다. 서비스로봇시장과 마찬가지로 웨어러블 로봇 시장 전망도 밝은 편이다. 시장조사기관 BIS리서치는 웨어러블 로봇 시장의 규모가 2016년 9600만 달러(1062억원)에서 2026년 46억5000만달러(5조1452억원)로 약 50배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업계 관계자는 “로봇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분야로 미래 산업의 핵심”이라며 “4차 산업혁명과 언택트시대가 맞물리면서 앞으로 전 세계 기업들의 기술 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0.12.01 I 신민준 기자
'디지털 대전환, SW와 함께'…소프트웨이브2020, 2일 개최
  • '디지털 대전환, SW와 함께'…소프트웨이브2020, 2일 개최
  • 2019 소프트웨이브에서 인도 국가관 참가기업의 설명을 듣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데일리 김민정 기자] 오는 2일 코엑스에서 국내 SW업계를 주도하는 대표기업들이 참가하는 SW산업 전시회 ‘소프트웨이브2020’이 개최된다.‘디지털 대전환, SW와 함께’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한글과컴퓨터, 삼성SDS, LG CNS, 더존비즈온, 티맥스에이아이, 아이티센, 알서포트, 영림원소프트랩, 파이오링크, 지니언스, 메타빌드, 가온아이, 인프라닉스 등 180여 기업이 출품한다.이처럼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뉴딜을 이끌어 갈 소프트웨어(SW) 대중소 기업이 한 데 모여, 다양한 SW 융합 혁신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시장생태계 가치사슬을 확장하고자 한다.전시분야는 시스템통합(SI), 전사자원관리(ERP),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블록체인, 정보보호, 간편인증, 로봇프로세스 자동화(RPA), SW테스팅, 스마트 팩토리/빌딩, 가상현실(VR), 로봇, 3D프린팅 등 다양하다.병원기관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방안을 논의했던 2019의료정보리더스포럼 콘퍼런스이에 전시회 관계자는 “특히 코로나19, 한국판 뉴딜 등 당면한 이슈가 반영된 품목이 이목을 끈다”며 “비대면/재택 솔루션, 의료정보, 디지털 헬스케어, 그린에너지 제어 관련기술과 서비스가 눈에 띄게 많아졌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코로나19로 침체된 업계에 새로운 사업활로를 찾아주는데 주안점을 뒀다. 해외 바이어들과의 온라인 수출상담회, 국내 잠재고객 초청상담회, 전시 참가기업 임원간 상생 간담회 등이 부대행사로 준비되어 있으며, 전시회에 참가한 모든 기업부스를 인터뷰한 영상클립이 기간 중 홈페이지에 게재했다.소프트웨이브2020은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정부당국의 방역지침,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및 그에 따라 지자체가 공고한 ‘전시행사 등 방역수칙 준수 행정명령’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진행된다.20인 이상의 학생이나 군경 등 단체입장을 제한하고, 거리두기 기준에 따른 수용인원 지침을 디지털데이터로 관리한다. 현장에서는 자체 강화한 기본 수칙(마스크 및 장갑 착용, QR코드 자가문진 작성, 체온측정 등)도 적용할 예정이다.
2020.12.01 I 김민정 기자
코트라, ‘2021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발간
  • 코트라, ‘2021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발간
  •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코트라는 전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를 소개한 ‘2021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코트라 실리콘밸리, 뉴욕, 런던, 파리, 헬싱키, 싱가포르 등 16개국 25개 도시의 해외무역관 직원들이 집필에 참여했다. 이번 책은 미국과 동아시아를 다룬 ‘상권’과 서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를 다룬 하권으로 구성됐다. 25개 도시별 스타트업 생태계 특징, 투자 규모 및 트렌드, 국가별 지원정책 등의 내용이 담겼다. 국내 스타트업 해외 진출 사례, 해외 벤처캐피털(VC)의 관심 분야, 국내 스타트업에 대한 조언 등을 인터뷰로 포함했다.지역별 스타트업 생태계 특징과 투자 유망분야도 제시했다. 유럽에서는 블록체인, 로봇, 농업기술(Ag-Tech), 뉴푸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선진 제조기술 스타트업이 유망하다. 브렉시트를 앞두고 있는 영국은 헬스테크, 에듀테크, 애그리테크, 클린테크가 유망 분야로 꼽힌다. 스마트폰 보급과 온라인 쇼핑이 빠르게 늘고 있는 동남아시아에서도 P2P 대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관련 핀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다. 또한 미국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분야가 유망하며 일본은 하드웨어, 인공지능, 핀테크, 로보틱스 등 소프트웨어 기술을 융합하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강세를 보인다. 권평오 코트라 사장은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와 경제환경, 투자동향을 구체적으로 담은 이 책이 창업과 해외진출을 꿈꾸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사진=코트라
2020.12.01 I 김정유 기자
우아한형제들, 로봇산업진흥원과 '로봇 표준화' MOU 체결
  • 우아한형제들, 로봇산업진흥원과 '로봇 표준화' MOU 체결
  • [이데일리 이성웅 기자] 우아한형제들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지난달 30일 서울 송파구 우아한형제들 본사에서 ‘로봇 표준화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김요섭 우아한형제들 로봇사업실 이사(왼쪽)와 우종운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인증평가사업단장이 지난달 30일 서울 송파구 우아한형제들 본사에서 ‘로봇 표준화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우아한형제들)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국내 로봇 산업 활성화 및 규제 개선 등을 위해 서비스 로봇에 대한 기술표준과 정책 개발을 주도하는 기관이다. 이번 협약으로 우아한형제들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배달·서빙로봇 기술 관련 표준 및 가이드라인 마련에 참여하게 됐다. 배달의민족이 운영 중인 서빙로봇 ‘딜리플레이트’, 배달로봇 ‘딜리타워’, ‘딜리드라이브’ 등의 기술경쟁력과 운영 안정성이 이번 협약 체결로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우선, 우아한형제들은 자사 서빙 및 배달로봇을 통해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측의 주행 및 안전성 테스트에 참여, 배달로봇 기술 표준화와 규제개선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로봇 테스트 결과와 운행 데이터를 우아한형제들에 제공함으로써 향후 서비스 고도화와 안정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양측은 실내외 통합 배달 로봇 운영에서 핵심적인 엘리베이터와 로봇 간의 연동 기술 표준화에 대한 공동연구도 진행한다. 이는 현재 로봇 제조·운영사가 각기 다른 모델의 엘리베이터에 로봇을 연동시키는 데 따르는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현재 우아한형제들이 경기도 광교에서 시범 운영 중인 배달로봇 딜리드라이브에 대한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평가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평가를 통해 규제 샌드박스를 통과한 딜리드라이브의 안전성이 입증되면 상용화 가능성도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는 “이번 협업을 통해 배민의 로봇배달 서비스 기술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해당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 정책 및 규제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아한형제들은 앞으로도 배달로봇 기술 고도화와 배달 및 로봇서비스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0.12.01 I 이성웅 기자
에이루트 “‘GITEX 2020’ 참가…글로벌 시장 확대”
  • 에이루트 “‘GITEX 2020’ 참가…글로벌 시장 확대”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에이루트(096690)는 오는 6일부터 10일까지 5일간 두바이에서 열리는 중동 최대 정보통신 전시회 ‘GITEX 2020’에 온라인 방식으로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에이루트는 이번 전시회에서 리테일과 물류 분야에 적용 가능한 포스와 모바일 프린터 신제품을 중동 지역 주요 관계자들에게 소개할 예정이다.GITEX는 매년 전 세계 100여 개국 4500여 개 이상의 업체들이 참가하는 중동 지역 최대의 정보 통신 전시회로 참가자들은 리테일, 물류 뿐 아니라 이동통신(모바일, 앱, 광케이블, 5G), 뱅킹 시스템, 위성통신, 컴퓨터, 전자제품, 로봇 등 최신 IT산업 전반에 대한 세계적인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60여개국에서 1200여 개 이상의 업체들이 참여하며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으로 동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 노키아, 델, 레노보, 화웨이 등 글로벌 업체는 오프라인으로, 에이루트, KT(030200), 빅솔론(093190), 포스뱅크 등 국내 주요 업체들은 온라인으로 참가한다.에이루트 관계자는 “에이루트는 전 세계 2300여개 매장을 보유한 중동 및 아프리카 최대 리테일 업체 ‘랜드마크 그룹’에 모바일 프린터를 공급하고 있다”며 “지난번 ‘CAIRO ICT 2020’에 이어 이번 전시회에 참여해 중동 지역 및 아프리카 지역의 시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소비 트랜드가 언택트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물류·운송 분야를 중심으로 모바일 프린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전시회에서 바이어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온라인을 통한 글로벌 거래처 발굴을 위해 GITEX에 이어 내년 초 미국 뉴욕에서 개최 예정인 세계 최대 국제 유통 전시회 ‘NRF 2021’에도 온라인 방식으로 참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2020.12.01 I 유준하 기자
에이루트, ‘GITEX 2020’ 참가
  • 에이루트, ‘GITEX 2020’ 참가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에이루트(096690)는 오는 6일부터 10일까지 5일간 두바이에서 열리는 중동 최대 정보통신 전시회 ‘GITEX 2020’에 온라인 방식으로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에이루트는 이번 전시회에서 리테일과 물류 분야에 적용 가능한 포스와 모바일 프린터 신제품을 중동 지역 주요 관계자들에게 소개할 예정이다.GITEX는 매년 전 세계 100여 개국 4500여 개 이상의 업체들이 참가하는 중동 지역 최대의 정보 통신 전시회로 참가자들은 리테일, 물류뿐 아니라 이동통신(모바일, 앱, 광케이블, 5G), 뱅킹 시스템, 위성통신, 컴퓨터, 전자제품, 로봇 등 최신 IT산업 전반에 대한 세계적인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60여 개국에서 1200여 개 이상의 업체들이 참여하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으로 동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 노키아, 델, 레노보, 화웨이 등 글로벌 업체는 오프라인으로, 에이루트, KT, 빅솔론, 포스뱅크 등 국내 주요 업체들은 온라인으로 참가한다. 에이루트 관계자는 “에이루트는 전 세계 2300여 개 매장을 보유한 중동 및 아프리카 최대 리테일 업체 ‘랜드마크 그룹’에 모바일 프린터를 공급하고 있다”며 “지난번 ‘CAIRO ICT 2020’에 이어 이번 전시회에 참여해 중동 지역 및 아프리카 지역의 시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소비 트랜드가 언택트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물류·운송 분야를 중심으로 모바일 프린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전시회에서 바이어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온라인을 통한 글로벌 거래처 발굴을 위해 GITEX에 이어 내년 초 미국 뉴욕에서 개최 예정인 세계 최대 국제 유통 전시회 ‘NRF 2021’에도 온라인 방식으로 참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2020.12.01 I 박정수 기자
뇌없는 로봇 등 ‘망중립성’ 예외 요건  명확화..정부, 통신사 감독 강화
  • 뇌없는 로봇 등 ‘망중립성’ 예외 요건 명확화..정부, 통신사 감독 강화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5G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 자율주행차와 스마트공장, 원격의료, 뇌없는 로봇 등에 적용되는 ‘망중립성 예외 서비스’의 요건을 정하고 ▲통신사가 콘텐츠 사업자에게 일반 인터넷과 예외 서비스에 대해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망중립성 가이드라인(지침)’ 개정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새로운 가이드라인은 ‘2기 망중립성 연구반’에서 논의한 내용인데, 5G 통신망의 특성인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허용해 망중립성 예외 서비스로 정하되 예외 요건을 명확히 하고 투명화해서 콘텐츠 기업과 이용자들의 우려를 없애는 게 핵심이다.지금까지의 지침에서는 통신사 트래픽 관리 기준이나 현황, 인터넷 품질의 저하 여부만 측정했지만, 앞으로는 자율주행차나 뇌없는 로봇 등에 빠른 회선을 제공하는 걸 공식 허용하되 통신사에게 예외 서비스의 제공조건이나 예외 서비스 확대 영향까지 측정하게 강제하고 정부가 운영 현황을 점검하겠다는 것이다. 이리되면 5G 기반 뇌없는 로봇을 서비스하려는 네이버 등 콘텐츠 기업들은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사와 계약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네이버 DEVEIW 2020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가 멀티 로봇 인텔리전스 시스템 아크(ARC)에 대해 설명 중이다. ‘아크’는 로봇의 뇌에 해당하는 실시간 제어 프로세스를 5G 통신망의 초저지연성을 활용하는 클라우드센터로 빼서 로봇 제작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네이버는 이를 2021년 말 완공되는 제2사옥에서 뇌없는 로봇 100대를 운영할 예정이다.‘5G 투자 활성화’와 ‘이용자 보호’ 모두 잡기‘2기 망중립성 연구반’에서는 망중립 예외 서비스의 요건을 구체적으로 규정했다. 현재는 ‘통신사는 인터넷과 다른 기술 등을 통해 예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만 규정돼 있는데, 이를 ①특정한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②일정 품질수준(속도, 지연수준 등)을 보장해 특정 용도로 제공하되 ③일반 인터넷과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명확히 한 것이다.이를테면 차량간 통신을 논리적으로 구분된 네트워크를 통해 자율주행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등이다. 여기에는 5G 네트워크 슬라이싱이 포함된다. 5G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이란 논리적으로 통신망을 쪼개 각각의 데이터 서비스에 독립적인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다. 마치 다른 통신망을 쓰는 것처럼 각 서비스별로 다른 서비스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차별화된서비스 품질(QoS)도 보장할 수 있다. 연구반 관계자는 “내년부터 스마트팩토리, 뇌없는 로봇 등이 본격화되는데 이런 서비스가 가능하려면 초저지연을 보장하는 5G 네트워크 슬라이싱이 필수적”이라면서 “예외서비스의 요건을 정해 5G 투자 활성화와 이용자 보호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라고 평했다.예외서비스 하려면 일반 인터넷 적정 품질 유지해야또한 연구반은 같은 도로를 이용하면서 예외 서비스(스마트공장, 뇌없는 로봇 등)가 늘어나면 일반 인터넷의 품질이 저하될 것을 우려해, 예외 서비스가 확대되더라도 일반 이용자가 이용하는 인터넷 품질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했다.여기에는 이용자나 콘텐츠 업체 신고 등을 통해 통신사들이 예외서비스를 악용하지 못하도록 정부가 준수 여부를 점검하는 내용이 포함된다.아울러 통신사의 투명한 정보 제공을 통해 스마트공장, 뇌없는 로봇, 원격 의료, 자율주행 등을 서비스하려는 콘텐츠·제조사 등이 충분한 정보 속에서 통신사와 계약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도 담았다.연구반 관계자는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망중립성 예외서비스로 허용한다고 해서 망중립성을 폐기하는 게 아니다”라면서 “오히려 두루둥슬했던 예외 서비스의 조건을 명확히 하고, 정부의 사후 관리 감독 기능을 강화한 측면이 있다”고 평했다.
2020.11.30 I 김현아 기자
가습기·골프용품까지…새 먹거리 분주한 블박·내비 업계
  • 가습기·골프용품까지…새 먹거리 분주한 블박·내비 업계
  • 팅크웨어 생활가전 브랜드 ‘블루벤트’가 출시한 가정용 공기청정기·가습기 신제품. (사진=팅크웨어)[이데일리 김호준 기자] 국내 블랙박스·내비게이션 업체들이 생활가전 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힌다. 완성차 업체들이 내장형 블랙박스·내비게이션을 기본 옵션으로 제공하고,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일반 고객 대상 판매가 줄어들 전망이어서다. 각 업체는 자체 브랜드 출시나 다른 가전업체와 협업을 통해 사업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블랙박스·내비게이션 브랜드 ‘아이나비’로 유명한 팅크웨어(084730)는 올 3분기까지 생활가전 브랜드 ‘블루벤트’와 아웃도어 브랜드 ‘아이나비 스포츠’ 등 기타 제품 매출액 26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매출액(206억원)보다 약 30%가량 증가한 수치다. 서브 브랜드가 전체 매출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로, 지난해(15%)부터 늘어나는 추세다. 팅크웨어는 최근 가정용 공기청정기(AHP-UV300)와 가습기(SH-U350W) 신제품 2종을 출시하며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새로 출시한 공기청정기는 전용면적 37.7㎡(11평형) 중형 사이즈로, 미국과 유럽 등 해외에서 성능 및 안전성을 검증받아 전문 가전업체 제품과 비교해도 성능이 뒤지지 않는다. 가습기 역시 국내와 유럽에서 성능 인증을 받았다. 팅크웨어는 생활가전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관련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팅크웨어 관계자는 “블랙박스·내비게이션 시장 성숙기에 대비해 3년 전부터 다양한 서브 브랜드를 통해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다”며 “올해 가정용 제품 출시를 시작으로 제품군을 지속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파인디지털 일본향 레이저 골프거리 측정기 ‘파인캐디 J100’은 최근 야후 재팬과 라쿠텐에서 골프거리 측정기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사진=파인디지털)파인디지털(038950)은 지난 4월 글로벌 가전로봇 브랜드 ‘에코백스’(ECOVACS)와 총판 계약을 맺고 가전유통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후로 현재까지 △디봇 오즈모 950 등 로봇청소기 5종과 자율주행 공기청정기 △애트모봇 애바 등 3종을 출시했다. 지난 2014년 진출한 골프거리측정기 역시 국내와 해외시장에서 선전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골프거리측정기는 경기불황으로 캐디가 없는 ‘노캐디 골프장’이 갈수록 늘면서 수요가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한다. 파인디지털이 일본향 제품으로 출시한 ‘파인캐디 J100’은 최근 ‘야후재팬’과 인터넷 쇼핑 플랫폼 ‘라쿠텐’에서 골프거리측정기 부문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파인디지털 관계자는 “뛰어난 성능의 로봇가전을 합리적인 가격에 유통해 소비자를 지속적으로 공략해나갈 계획”이라며 “기존 사업영역이었던 블랙박스와 내비게이션, 골프거리측정기 역시 지속적으로 제품군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완성차 업계가 성숙기로 접어들면서 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블랙박스·내비게이션 시장 역시 서서히 포화상태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한다”며 “블랙박스·내비게이션 업체들이 각자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신사업 진출도 갈수록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0.11.30 I 김호준 기자
전투원 생존성 높이는 '국방로봇'…軍 8개 사업 본격화
  • 전투원 생존성 높이는 '국방로봇'…軍 8개 사업 본격화
  •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미래 전장(戰場)은 어떤 모습일까. 로봇과 컴퓨터가 지배할 것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로봇이 자율적으로 판단해 전투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는 얘기다. 전투로봇은 노면이나 차선, 장애물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첨단센서를 장착하고 있을 것이다. 제동과 가속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으로도 무장한다. 특히 실제 전투에선 무인체계 단독의 임무 수행보다는 무인 체계간 군집을 이뤄 작전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인 또는 무인체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유·무인 복합체계로 발전할 가능성도 크다. 우리 군이 이같은 미래 전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국방로봇’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 24일 방위사업청이 한화디펜스와 약 180억 원 규모의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체계개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국방로봇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그래픽= 김정훈 기자)◇급변하는 환경…국방로봇 도입 필요성국방로봇은 기존 지능형 로봇이 갖고 있는 ‘이동성+지능’에 더해 병사가 수행하는 임무나 기존에 불가능했던 새로운 임무를 무인자율 기술 및 원격제어를 통해 수행하는 군사용 무인·로봇 장비다.현재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병력 자원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병력 위주의 양적 구조에서 기술 위주의 질적 구조로 군 구조를 바꾸고 있는 이유다. 그 중심에는 국방로봇이 있다. 특히 국방로봇은 인명피해는 최소화하고 전투 효율은 극대화 할 수 있어 인명중시 사상에 부합한다. 게다가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중심의 동시·통합 작전과 복합 정밀 타격전, 비대칭 전쟁, 사이버·우주·전자전 공간으로의 확장 등 미래 전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병력이 운용하는 유인 체계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AI), 첨단센서, 신소재, 소형·경량화, 고출력 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등 로봇에 적용될 첨단기술 또한 획기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군 당국이 국방로봇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이유다.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한 견마로봇이다. 견마는 개 견(犬)과 말 마(馬)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개처럼 냄새를 맡으며 수색을 하고 말처럼 물건을 옮기는 로봇이라는 의미다. (사진=국방과학연구소)◇지상로봇과 해양·공중 무인체계국방로봇은 운용 환경에 따라 지상로봇, 해양 무인체계, 공중 무인체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지상로봇은 기존에 사람이 탑승하는 차량을 무인으로 변형한 형태가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병사가 착용하면 그의 신체 의도를 예측해 움직임을 극대화 해주는 근력증강 플랫폼 제어 로봇도 있다. 인간의 형태를 가지면서 인간이 하는 일을 대신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념의 전투로봇과 동물·파충류·곤충의 생체를 갖는 생체모방로봇 등도 지상로봇에 속한다. 해양무인체계의 경우에는 무인수상정과 무인잠수정 등이 있다. 기존 함정과 잠수함의 작전이 제한되는 연안지역이나 위험지역 등에서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하고 적 함정과 잠수함, 기뢰 등을 탐색해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무기체계다. 공중무인체계는 운용목적에 따라 정찰·전자전·기만(회피)·공격·전투·표적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양한 목적에 맞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능력을 탑재한 다목적 무인 전투기로 진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상분야 국방로봇 사업으로 체계개발을 시작한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사진=방위사업청)◇로봇기술, 무기체계 적용 단계 이르러우리 군의 국방로봇이라고 부를 만한 프로젝트는 지난 2005년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한 야지자율주행 실험로봇 ‘XAV’가 최초다. XAV는 전기차량을 개조한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이다. 이어 시설감시경계용 견마로봇(2012년)과 감시경계 및 매복 작전용 초견로봇(2014년), 부상자 긴급 수송 및 위험물 제거용 구난로봇(2016) 등을 개발하며 자율제어 기술과 표적탐지 및 환경인식 기술 등을 발전시켰다. 이에 더해 임무장비의 다양화·자동화와 구동 및 에너지 기술,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기술 등 로봇기술을 융·복합해 무기체계에 적용하는 단계에 다다랐다.현재 군 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국방로봇 사업은 △무인 경전투 차량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소형 정찰 로봇 △다목적 무인 차량 등 지상분야 4개와 △무인 기뢰 처리기-Ⅱ △수중 자율 기뢰 탐색체 △무인 수상정 △정찰용 무인 잠수정 등 해양분야 4개다. 이들은 군에 전력화 될 예정으로 소요가 결정돼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공병부대 능력↑이번에 한화디펜스가 수주한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은 지상분야 국방로봇 프로젝트 중 하나다. 이 로봇은 야지 주행과 장애물 극복이 가능한 기동력, 땅 밑의 지뢰를 찾아내고 철판 속의 폭발물을 탐지하는 능력, 로봇 팔과 물포총 및 산탄총으로 폭발물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 등을 갖고 있다. 지난해까지 2년간의 탐색개발 과정을 거쳐 필요한 기술을 확보했다. 이번 체계개발 이후 양산 사업을 통해 군에 전력화 될 예정이다. 무인 경전투 차량의 경우 통제차량에 의해 원격 제어와 자율주행이 가능한 무기체계다. 기계화 부대의 선두에서 정찰, 화력 유도, 중요시설 경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 사업은 2022년 체계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다목적 무인 차량은 보병대대 이하 전투현장에서 경계와 탄약 운반, 식량·식수 보급, 환자 후송 등의 임무를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현재 선행연구 단계로 관련 조사·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소형 정찰 로봇은 비무장지대(DMZ) 작전과 대테러 작전 등 고위험 작전 환경에 투입되는 무기체계다. 적 지역 정찰과 매복 진지 전방 및 사각지역 감시 임무 등을 수행한다. 테러 진압을 위한 감시장비와 조작 팔, 화기, 섬광 폭음탄 등을 장착한다. 35㎏ 이하의 소형 로봇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현재 선행연구를 마치고 소요를 구체화 하기 위한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단계다. 군 당국은 이같은 차량형 로봇 이외에도 지상분야 국방로봇 사업으로 험지나 지하 등 특수지역에서 군사 임무를 수행할 △착용형 근력증강 로봇 △방호전투 착용 로봇 △초소형 군집 로봇 △곤충 로봇 △다족형 로봇 등에 대한 핵심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이 지원하는 민군기술적용연구 사업을 통해 LIG넥스원이 개발한 무인수상정 항진 모습이다. (사진=LIG넥스원)◇해상에서도 위험 임무 로봇이 대신한다해양분야 국방로봇 사업 중 가장 속도가 빠른 사업은 무인 기뢰 처리기-Ⅱ다. 음탐기와 TV카메라 등을 통해 물 속의 기뢰를 폭약으로 폭발시키거나 계류삭(홋줄)을 절단해 제거하는 장비다. 해외에서 도입해 운용하고 있는 노후화한 무인기뢰처리기를 국내 기술로 개발해 현재 해군에 전력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수중 자율 기뢰 탐색체 사업은 기뢰 탐색뿐만 아니라 수중 감시정찰 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한 국내 최초의 수중 자율 무인체계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기존 무인 기뢰 처리기는 소해 함정과 유선으로 연결해 운용하는 형태지만, 수중 자율 기뢰 탐색체는 무선 원격 조정과 수중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 소나(수중 음파 탐지기), 수중 초음파, 수중 광학 카메라 등을 장착해 탐지 능력이 강화됐다. 장애물 회피와 자동 복귀 기능 등도 갖추고 있다. 올해 12월 체계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무인 수상정은 북방한계선(NLL) 근해와 주요 항만 등 연안 해역에서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장비다. 해저에 침강한 착저 잠수함이나 기뢰 탐색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수중 탐색 음탐기와 각종 탐지 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항해 레이더와 레이저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관성항법장치 등도 장착한다. 현재 군 당국은 장애물 회피와 자동 복귀 등 자율 운항 기능도 갖고 있는 10톤급의 무인 수상정을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무인 잠수정은 한반도 인근 해역과 기지 근해, 집결지 등에서 주변국 잠수함이나 수상함을 은밀히 감시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체계다. 30일 이상 수중에서 체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20.11.30 I 김관용 기자
옴부즈만, '규제개선 이행현황 점검 및 애로해소 모니터링' 실시
  • 옴부즈만, '규제개선 이행현황 점검 및 애로해소 모니터링' 실시
  • [이데일리 황효원 기자]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은 산업융합 현장 규제의 확실한 개선과 애로 해소 지원을 위해 ‘20년 상반기 규제개선 이행현황 점검 및 애로해소 모니터링’을 실시했다고 밝혔다.(사진=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 제공)옴부즈만은 산업융합 관련 기업의 현장 규제·애로 사항을 조사 및 접수하고 규제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규제 소관부처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규제개선 및 산업계 애로해소를 지원하고 있다. 새롭게 개발한 산업융합 신제품 및 서비스가 기존 규제에 부합하지 않아 시장 출시가 지연되는 경우 산업융합 규제 샌드박스로 연계하여 빠른 애로해소를 지원하고 있고, 이를 통한 주요 규제개선 성과를 이루고 있다.규제개선 후에도 기업의 규제·애로가 명확히 해소됐는지 확인하고 필요시 ‘후속조치(A/S)’를 지원하기 위해 규제개선이 확정된 과제들의 규정 개정 이행여부, 개선 실효성, 파급효과 등에 대해 연 2회(상·하반기) 모니터링(이하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올해 상반기에 추진한 애로해소 모니터링은 15년~19년 내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이 규제개선을 지원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규제개선 과제별 개선 실효성을 파악한 결과 규제개선 체감도(평균 4.1점/5점) 및 만족도(평균 4.2점/5점)가 모두 높게 조사되었다.또한 ‘최근 정부의 규제개선 대응과정 및 방식의 변화에 대한 체감도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1.5%가 발전(긍정적인 변화)에 대해 체감하고 있다고 답했다.옴부즈만은 COVID-19 상황이 완화 되는대로 규제개선을 기(旣)지원했던 기업들의 현장방문을 진행하여 각 분야별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도 조사 및 검토할 예정이며, 이번 모니터링에서 규제개선 체감도가 낮은 과제들은 추가 상담을 통해 재검토하고 ‘후속조치’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옴부즈만 관계자는 “규제 소관부처와 규제개선 협의가 완료되어도 규제개선 이행이 미진하거나, 규제개선 현황을 기업에서 알지 못하여 애로해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와 같이 현장에서 됐다고 할 때까지 규제개선 이행 현황을 점검하고, 후속조치까지 추진해야 비로소 애로해소와 산업융합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또 “규제 소관부처에서도 규제개선 과제에 대해 단순한 행정업무가 아닌 ‘국민의 목소리’로 생각하고, 실질적인 애로해소를 위해 함께 노력해준다면 우리나라가 혁신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좋은 국가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옴부즈만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업, 바이오헬스 장비, 산업용 로봇, 전기차 충전기,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의 신산업 규제 개선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옴부즈만의 활동은 기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한편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은 산업융합 관련 기업 현장의 목소리와 규제개선 성과를 확산시키기 위한 취지에서 ‘도와줘! 옴즈’라는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관계자는 “COVID-19로 활동이 제한되는 상황이지만, 규제이슈 및 개선 현황을 알려, 조금이나마 기업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게 되었다”고 전했다.해당 유튜브 채널에서는 옴부즈만이 그간 규제개선을 지원했던 융합 분야별 기업 현장 모니터링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각 산업별로 안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제기하고, 함께 대안을 마련하는 등 소통 과정을 보여줄 예정이다.
2020.11.30 I 황효원 기자
  • [특징주]네오펙트, 관계사 현대차 랩 BCI 프로젝트 수주에 ‘강세’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네오펙트(290660)가 관계사 와이브레인이 현대차(005380) 로보틱스랩의 퍼스널 모빌리티용 BCI(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rain Computer Interface) 디바이스 개발 프로젝트를 수주 소식에 강세다.3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37분 기준 네오펙트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6.22%(225원) 오른 3840원을 기록 중이다.BCI란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차세대 신기술이다. 뇌파를 실시간 분석해 로봇이나 기계 등을 제어할 수 있어 미래 인터페이스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이 개발한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군에 BCI 기술을 접목할 경우 사용자의 생각만으로 퍼스널 모빌리티를 움직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와이브레인은 퍼스널 모빌리티 연동을 위한 웨어러블 EEG(뇌파측정용 전극) 디바이스 개발을 통해 상용 수준의 BCI 솔루션 개발에 참여한다. 해당 제품은 뇌파를 감지하는 센서가 고정되어 있는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만들어질 예정이며, 제품 디자인은 네오펙트가 맡는다.와이브레인 관계자는 “현대자동차가 미래 모빌리티 사업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BCI 기술을 접목한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군의 상용화도 그리 머지 않았다고 본다”며 “이번 프로젝트 협업으로 BCI 기술 개발을 통한 모빌리티 사업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BCI 기술은 의료계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게임산업 및 스마트홈 시장 등에서도 블루오션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와이브레인은 높은 수준의 BCI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 제품화를 통해 의료 시장을 공략하고, 글로벌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협력 관계를 구축해 새로운 성장 기회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2020.11.30 I 유준하 기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증권신고서 제출…내년 1월 코스닥 상장
  • [마켓인]레인보우로보틱스, 증권신고서 제출…내년 1월 코스닥 상장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지난 27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코스닥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고 30일 밝혔다.지난 2011년 설립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카이스트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 연구원들이 창업한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회사는 국내 최초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HUBO(휴보)’를 개발하여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2015년 미국 국방성 고등연구기획국에서 주관한 세계 재난로봇대회 ‘DARPA Robotics Challenge Finals’에서 압도적인 기량으로 우승을 차지해 대한민국 로봇 기술의 위상을 드높였다.회사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은 물론, 코로나19로 비대면 서비스가 각광받으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미 로봇 플랫폼을 보유하여 산업용로봇, 서비스로봇(식음료), 필드로봇(재난·정찰), 모바일로봇, 의료로봇 등 여러 산업분야에 기술을 접목시켰고 사업 다각화를 통한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고 말했다.실제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핵심 부품 기술의 내재화와 20년 가까이 ‘휴보’ 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협동로봇을 개발했다. 협동로봇은 6축 이상의 관절로 구성된 ‘로봇팔’이다. 이는 산업용 로봇과는 달리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협업이 가능한 로봇으로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대신 수행하여 업무 효율을 극대화한다. 협동로봇은 제조현장뿐 아니라 서비스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로봇으로 최근 로봇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회사에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된다.향후 회사는 주어진 환경 내에서 임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모바일 로봇에 협동로봇이 결합된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 반경에 제한을 받지 않는 강점이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또한 원천 특허를 보유한 의료기기로 레이저 피부 시술을 자동화한 로봇 레이저 토닝 시스템을 출시하여 성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이사는 “로봇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무한한 산업분야로서 미래산업의 핵심”이라며 “이번 상장을 통해 세계 Top-tier 수준의 로봇 기술력을 알려 국내외 시장 판로를 확대하고 글로벌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번 상장으로 265만주를 공모한다. 공모예정가는 7000~90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186억~239억원 규모다. 오는 2021년 1월11~12일 수요 예측과 15~18일 청약을 거쳐 1월 말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대표 주관회사는 미래에셋대우(006800)와 대신증권(003540)이 맡았다.
2020.11.30 I 유준하 기자
GS25, 업계 최초 인공지능 로봇 배달…"배달료 0원"
  • GS25, 업계 최초 인공지능 로봇 배달…"배달료 0원"
  •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스마트폰으로 주문하면 AI 로봇이 배송하는 편의점 배달 서비스 시대가 열렸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LG사이언스파크 내 위치한 GS25 점포에서 스마트폰으로 주문 받은 상품을 인공지능이 탑재된 로봇이 직접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GS25직원이 배달 로봇 ‘딜리오’에 주문 받은 상품을 적재하고 있다. (사진=GS리테일)로봇 배달 서비스는 카카오톡 주문하기를 통해 고객이 GS25 상품을 주문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고객 주문이 완료되고 고객 정보가 GS25 점포로 전달되면 점포 근무자가 로봇에 상품을 적재하고 고객 정보(연락처)와 목적지(건물 층 수)를 입력한다.이후 로봇은 카메라모듈을 통해 학습하고 이미지화 한 건물 지도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로 자율 주행을 시작한다. 엘리베이터 이용이 필요한 경우 로봇은 무선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해 스스로 탑승 후 목적지까지 이동한다.목적지에 도착한 로봇은 고객 휴대폰으로 직접 전화를 걸어 상품이 도착했음을 안내하고 상품 수령 시 입력해야 되는 비밀번호를 문자 메세지로 발송한다. 고객은 로봇 머리 위치에 장착된 모니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자동 잠금 장치 서랍을 개방한 후 상품을 최종 수령할 수 있다.로봇의 크기는 가로 50cm 세로 50cm 높이 130cm이며, 몸체에 탑재된 3칸의 서랍을 통해 1회 최대 15kg 중량의 상품까지 멀티(3곳) 배달이 가능하다.GS25 점포에서 LG사이언스파크 내 가장 먼 배달 목적지(9층)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은 약 5분(혼잡 시간대 제외)이며 기존 배달 서비스와 달리 별도의 배달료는 없다.인공지능, 초음파 센서, 자율 주행 기능, 안전 장치 등의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배달 로봇의 이름은 ‘딜리오’다. 딜리오는 LG전자 로봇에 GS25가 딜리버리(delivery)와 GS25를 합성해 붙인 이름이다.GS25는 LG전자와 함께 1호 배달 로봇 딜리오가 수행하는 배달 데이터를 분석해 보완하는 등 로봇 배달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 하는 과정을 거쳐 내년 1월 GS타워, 파르나스타워 내 위치한 GS25 점포로 로봇 배달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확대해 갈 계획이다.한편, GS25는 지난 26일 카카오톡 주문하기 배달 서비스를 전국 5000점으로 확대 했다.카카오톡 주문하기로 구매 가능한 GS25 상품은 프레시푸드(Fresh Food), 즉석간편식, 음료 등 약 800여종에 달한다. 카카오톡 주문하기 이용을 원하는 고객들은 카카오톡 내의 해당 채널이나 ‘더보기’ 탭에서 ‘주문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박상욱 GS25 마케팅팀 팀장은 “주류 트렌드로 확산된 언택트 소비와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 영역을 차별화 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첨단 기술이 융·복합된 로봇 배달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론칭하게 됐다”며 “GS25는 로봇 배달 서비스와 같은 상상 속 서비스를 현실화 하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함으로써 뉴노멀 소비 트렌드를 선도해 갈 것”이라고 했다.
2020.11.30 I 이윤화 기자
“로봇이 편의점 음식 배달”..LG전자, GS25서 시범 서비스
  • “로봇이 편의점 음식 배달”..LG전자, GS25서 시범 서비스
  • [이데일리 김종호 기자] LG전자(066570)가 GS리테일(007070)과 함께 ‘실내 로봇배송 솔루션’을 선보였다.LG전자는 최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내에 있는 GS25강서LG사이언스점에서 ‘LG 클로이 서브봇(LG CLOi ServeBot)’을 이용해 상품을 배송하는 로봇배송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LG 클로이 서브봇은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 1층부터 9층까지 층간을 오가며 도시락, 샌드위치, 음료 등을 배달한다. LG전자와 GS리테일은 사람 간의 접촉을 줄일 수 있는 로봇배송 솔루션이 비대면 서비스를 늘리면서 바쁜 직장인들의 시간을 아껴주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번 시범 서비스를 통해 실내 로봇배송 솔루션의 편의성과 사용자경험(UX)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LG 클로이 서브봇(서랍형)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50cm, 50cm, 130cm다. 3칸의 서랍에 실을 수 있는 무게는 최대 15kg다. 이 로봇에는 배송 중 도난,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잠금장치가 있다. 또 관리자가 로봇관제시스템을 이용해 원격으로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송이력 등을 관리 가능하다.뿐만 아니라 LG 클로이 서브봇은 스스로 엘리베이터에 타고 내리며 자유롭게 층간을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봇에 목적지를 입력하면 로봇은 가야 할 층에 대한 정보를 엘리베이터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해 목적지까지 이동한다.GS25에 상품배송을 신청하는 것은 카카오톡 모바일앱에서 주문하기 기능을 통해 가능하다. 주문 정보가 해당 점포로 전달되면 점포 근무자가 로봇에 상품을 싣고 고객이 있는 층을 입력한다. 로봇은 해당 층에 도착해 고객에게 전화와 문자로 도착을 알린다.앞서 LG전자는 LG 클로이 서브봇(서랍형)을 서울대학교병원 대한외래, 이원 의료재단, 국립암센터 등에 공급한 바 있다. 또 우아한형제들과 손잡고 50여개 식당에서 LG 클로이 서브봇(선반형)을 운영 중이다.정원진 LG전자 로봇사업개발담당(상무)은 “비대면 서비스 확대에 맞춰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로봇을 앞세워 호텔, 병원, 레스토랑, 사무실 등 다양한 공간에서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내에 있는 GS25강서LG사이언스점에서 ‘LG 클로이 서브봇(LG CLOi ServeBot)’이 상품 배송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LG전자)
2020.11.30 I 김종호 기자
플랫폼으로써의 스마트팩토리
  • [55]플랫폼으로써의 스마트팩토리
  • [박정수 성균관대 스마트팩토리 융합학과 겸임교수] 1980년대에 CAX 기술(예: CAD, CAE, CAM)이 광범위하게 적용되면서, 디지털화의 패러다임은 엔지니어가 컴퓨터와의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트윈을 통해 실현되는 제조현장의 디지털화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정확한 가상화 기술(컴퓨터 연산과 시스템 복제기술)이 업계에 제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으며, 독일의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 미국의 ‘스마트 제조(Smart Manufacturing)’ 혹은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으로 명명되어 국가 및 기업 경영의 중요한 화두가 되어 왔다. 한국에서는 ‘제조혁신,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시티, 스마트팜’ 등의 용어가 이들 나라들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초창기에는 제조 기업의 혁신 과제로 출발하였지만 시대적인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의제가 되고 있다. 용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으나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제조의 핵심 개념은 사물 인터넷(IoT), 행동 인터넷(IoB), 5G,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혁신적으로 진화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수단매체(手段媒體)로 활용하여 제품과 서비스 혁신,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로세스 및 행동 혁신을 근원적(根源的)으로 바꾸고자 하는 목적함수(目的函數)이자 이미 도래하고 있는 미래의 경영전략이라고 말할 수 있다.전통적인 제조 기업에서도 기존 하드웨어 체계와 유연성이 미흡하고 귀속성이 강한 시스템 중심의 ‘제품혁신 중심’에서, 과거와 전혀 다른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 과제이다. 산업간 융합 및 경쟁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메뉴비스(Manuvice=Manufacturing+service)’와 같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다. 스마트팩토리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제조 현장의 정형과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관리역량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있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s)은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의 관리기술을 활용하여 사이버 세계와 물리적인 세상을 연계하고 동기화하는 스마트팩토리의 핵심적인 기능이다. 사물 인터넷(IoT)이나 빅데이터 등이 기술적인 요소라고 한다면,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은 이러한 요소들을 활용하여 실제 물리적인 제조현장을 사이버 세계에 반영하고, 사이버 세계의 기술을 활용하여 제조현장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제조 현장의 경영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행동 인터넷(IoB; Internet of Behaviors)의 플랫폼(Platform)이자 맞춤형 생산 활동의 경험 디자인(UX-Design)이다. 그 까닭은 행동 인터넷(IoB)이 데이터에 근간을 두고 있는 실행역량 강화의 인터넷 파워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스마트팩토리의 또 다른 특징은 로트 크기(Lot Size)를 최소화하여 다양한 제품들을 가지고 고객들의 개인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들의 실현 가능성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기술이 내장된 인공지능 기반 제조운용(製造運用)시스템(MOS, Manufacturing Operation System)에 실시간으로 제공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제조운용 시스템은 이를 적시에 반영하여 물리적인 라인 변경이나 대기 없이 생산 변경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운영(Optimized Control)이 실현되어야 한다. 이는 디지털 트윈이 연결의 기술, 가시성, 정밀성, 분석 가능성에 의해서 완성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아래 그림은 디지털 트윈에 의한 패러다임(Paradigm) 전환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Journal of Manufacturing Systems, 2019 Enabling technologies and tools for digital twin. 성균관대학교 스마트팩토리 융합학과 스마트팩토리 컨설팅, 박정수 교수 재인용.그러므로 스마트팩토리는 맞춤형 제품, 서비스, 프로세스에 집중해야 한다. 왜냐하면 스마트팩토리는 제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복잡성을 관리하고, 장애나 중단(Disruption)에 잘 대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변 상황이 동적이고 급속하게 변화하는 생산 시설로부터 발생한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연성·대응성’이 높은 프로세스들을 제공하는 제조 솔루션이어야 한다. 한편, 스마트팩토리는 자동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불필요한 인력과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생산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서로 다른 기업이나 파트너들 간의 협업을 통해 스마트함을 달성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스마트팩토리는 약 30년 전부터 적용해 온 린생산(Lean Production)이나 식스 시그마(Six Sigma) 등 제조혁신의 방법들과 상호작용하여야 하며, 더 나아가 그러한 혁신방법들을 획기적으로 진화 발전시키는 제조산업의 새로운 무기이어야 한다. 아래 그림은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팩토리’의 플랫폼 개념도와 데이터 연결 표준 및 보안을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은 스마트팩토리의 기본 인프라이며, 빅데이터 관리기술은 사이버 물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데 중요한 구성 요소이자 핵심 기술이다. 결국 스마트팩토리는, “로봇 자동화 및 ERP·MES 등 정보시스템 활용에 기반을 둔 기존의 자동화(Automated) 제조”에서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을 토대로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Intelligent) 제조”로의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을 의미한다. 그 핵심에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이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지능형 제조는 기존과 다르게 전체 가치체인(Value Chain)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한 상태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IoT), 행동인터넷(IoB), 빅데이터,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소프트웨어 기반 인공지능), AI, Digital Twin, CPS 등의 요소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스마트팩토리는 시스템 구축이 아니고 솔루션(Solution)이자 플랫폼(Platform)이다. 과거 소비자들이 오프라인에서 수행했던 것을 요즘 온라인에서 더 많이 하는 디지털 활동을 제조업들은 주시해야 한다.
2020.11.28 I 류성 기자
LG그룹 인사로 본 2021년 LG 미래비전은?
  • [재계 톡톡]LG그룹 인사로 본 2021년 LG 미래비전은?
  • [이데일리 배진솔 기자] LG그룹이 지난 26일 임원인사와 조직개편을 단행했습니다. 124명의 신규 임원 승진과 미래사업 분야에 경쟁력을 갖춘 젊은 인재들을 대거 발탁해 총 181명의 임원 인사를 배치했는데요. 이번 임원인사의 가장 큰 특징은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젊고 추진력 있는 인재들을 곳곳에 전진 배치했다는 것입니다. 특히 LG는 이번 연말 임원인사와는 별도로 올 한해 연중 지속적으로 사업에 필요한 전문역량 강화 차원에서 다양한 영역의 외부 인재를 영입해 순혈주의를 탈피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취임 3년 차를 맞은 구광모(사진) 회장이 2021년에 변화를 주고 싶은 분야, 즉 미래경영 비전은 어떤 것일까요. 오늘 ‘재계 톡톡’에서는 외부 인재 영입와 조직개편으로 LG의 향후 미래 사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 (사진=LG)◇적재적소 외부 인사 영입 총 23명…LG CNS·LG전자·LG화학 등올 한해 글로벌 경쟁력과 전문성을 갖춘 외부 인재는 총 몇 명일까요. 2018년에는 13명, 2019년에는 16명에서 2020년에는 총 23명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경쟁 기업과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을 수립하고 새로운 가치가 담긴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적 구성을 다양화하는 것이 병행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2018년에 LG에 몸담게 된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외부인사를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한 첫 사례로 꼽히는데요. 이후 LG화학(051910)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흑자전환하고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 법인 설립, 외부 자금 유치를 위한 배터리 사업부 분사 등 혁신적인 사업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LG는 올해도 계열사별로 연중 필요에 따라 전문 인력들을 배치했습니다. LG(003550) CNS에서는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외부 관련인력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했는데요. 윤형봉 전 티맥스소프트 사장을 LG CNS 최고전략책임자(CSO·부사장)으로 영입하고, 롯데멤버스 데이터애널리틱스부문장을 역임했던 황윤희 상무를 LG CNS 고객 데이터플랫폼 담당(상무)로 영입했습니다. 삼성전자(005930) 출신의 배민 시스코코리아 상무를 영입해 디지털전환(DT) 이베이션사업부 보안담당 상무로 앉혔죠. 올해 들어서만 부사장급 임원부터 보안·데이터플랫폼 부문 임원을 연달아 영입하면서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지닌 인재들을 수혈해 사업역량 강화에 나섰습니다. 또 LG전자(066570)에서는 미국 통신사 스프린터의 정수헌 부사장을 LG전자 MC사업본부 해외영업그룹장(부사장)으로 영입하면서 ‘해외통’, ‘북미전문가’로 불리는 정 부사장을 필두로 해외 시장에서 새 닻을 올렸습니다. 새로 신설된 북미이노베이션센터에도 미국 국립표준기술원(NIST) 부국장을 역임한 이석우 전무를 영입해 센터장을 맡겼습니다. 이 전무는 사물인터넷(IoT) 분야 사업개발 전문가로 손꼽힙니다. 또 고객경험에 기반한 디자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신설된 조직인 LG전자 CX Lab 장에는 황성걸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학과장을 앉혔습니다. LG화학에서는 허성우 롯데BP화학 대표 겸 BP(British Petrol)코리아 대표를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 글로벌사업추진담당(부사장)으로 영입하고 박진용 전 IBM 인공지능 데이터플랫폼 컨설팅팀 리더를 LG화학 DX담당 상무로 영입했습니다. 이지은 FDA 심사관 출신인 전 GC녹십자 RED본부장(상무)를 LG화학 임상개발센터 수석연구위원(상무)로 영입했습니다.이처럼 외부 인재영입은 내부 승진을 인사 기본 정책으로 전개하던 과거와 달리 불시에 진행됐습니다. 경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외부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적극 수용한 정책이죠. “변해야 생존한다”는 구 회장의 전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LG 클로이 서브봇(서랍형)(사진=LG전자)◇LG그룹 미래비전 로봇 등 ‘차세대 먹거리’와 ‘고객’ 중심의 사업 이번 LG그룹 조직개편을 통해 새롭게 신설되거나 재편된 조직들을 살펴보면 2021년 LG그룹의 미래비전은 ‘차세대 먹거리’와 ‘고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업본부 중심의 책임경영체제를 유지하는 가운데 고객 가치 혁신, 미래 준비, 성장동력 다변화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LG그룹의 중추인 LG전자의 조직개편은 사업본부 중심의 책임경영체제를 유지하는 가운데 몇 가지 변화를 줬습니다. 먼저 글로벌로 뻗어가기 위한 LG전자의 전략으로 미래준비를 위해 CSO(Chief Strategy Office)부문 산하에 북미이노베이션센터를 신설했습니다. 북미이노베이션센터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업계를 선도하는 회사들과 협력하게 됩니다. 또 CSO 산하에 비즈인큐베이션센터를 신설해 다양한 형태의 신사업 육성을 지원합니다. 미래 기술 사업 가속화를 위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조직들도 신설됐는데요.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로봇 분야가 기대됩니다. 소재기술센터 산하에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관련 기술개발과 사업 가속화를 위해 차세대디스플레이연구소를 운영합니다. 로봇사업센터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로봇사업센터를 BS사업본부로 이관하고 본부 직속으로 BS연구소를 신설합니다. CTO부문 아이랩에서는 스타트업 방식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부문으로 혁신 아이템이 기대됩니다. 또 특히 고객 중심 가치 실현을 위해 글로벌마케팅센터 내 MI담당을 신설하고 또 고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을 파악해 상품기획, 제품개발, 영업 등 경영전반에 반영하기 위해 고객가치혁신실을 고객가치혁신담당으로 격상시켜 CSO부문으로 이관했습니다. 고객을 위한 제품 디자인 강화를 위해서는 LG전자는 선행디자인연구소를 재편해 CEO 직속으로 CX Lab을 신설했습니다. CX Lab은 고객경험에 기반해 디자인 역량을 강화하는 조직입니다.
2020.11.28 I 배진솔 기자
 코로나 백신과 합성생물학
  • [이상훈의 신경영 비전] 코로나 백신과 합성생물학
  • [이상훈 전 두산 사장·물리학 박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3차 대유행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낭보가 들려왔다. 독일의 생명공학회사 바이오엔텍이 미국 화이자와 손잡고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이 3상 임상 시험에서 95%의 면역 효과를 나타냈다는 것이다. 이어서 미국의 바이오 벤처기업 모더나 역시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이 94.5%의 면역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일반적인 독감 백신의 면역 효과가 50% 내외에 불과한 점을 고려할 때 90% 이상의 효과성을 보이는 코로나 백신이 2개나 개발되고 있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연구소장도 유행병의 끝이 보이기 시작한다며 조심스러운 낙관론을 펴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번에 발표된 2개의 백신은 전통적인 백신 개발 방법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개발되어 또 다른 주목을 받고 있다. 백신을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은 화학처리 과정을 통해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독성이 약화된 바이러스를 인체에 주사하면 인체의 면역기능이 바이러스를 퇴치하게 되고 이 과정을 통해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생기는 것이다. 반면에 바이오엔텍과 모더나가 개발한 것은 mRNA라는 생화학 물질이다. 이 물질을 인체에 주입하면 mRNA가 인체의 세포 안에 들어가 인간 세포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의 단백질 일부를 만들어내게 된다. 인간 세포가 코로나 바이러스 단백질 공장이 되는 셈이다. 이 단백질 공장에서 생산된 코로나 바이러스 단백질을 우리의 면역 기능은 인체에 침입한 외부 물질로 인식하고 퇴치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생기게 된다. mRNA를 통해 백신을 만드는 과정은 전통적인 백신 개발 방법에 비해 개발 속도나 성공 가능성이 훨씬 뛰어나다.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가공하는 게 아니라 반응기에 화학물질을 넣어 제조하면 되기 때문에 모더나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자 코드가 발표된 뒤 42일 만에 임상시험에 사용할 백신 샘플을 만들 수 있었다. 바이오엔텍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자 코드를 분석하여 가능성이 높은 mRNA 후보군 20개를 만들어 테스트한 결과 가장 효과성이 높은 mRNA를 선별해낼 수 있었다. 그만큼 백신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다. 인공적으로 합성한 mRNA를 이용해 인간의 면역 기능이 공격할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기술은 일종의 합성생물학 기술로 개발된 지 10년도 안된 새로운 기술이다. 그동안 실험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는 항암 백신 등이 개발된 적은 있지만 한 번도 일반 대중에 대한 사용 승인이 난 적이 없다. 그런데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상황이 바뀌었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10만 명 이상 발생하는 미국이나 그 두 배에 달하는 유럽에서는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mRNA 백신에 대한 긴급 사용 승인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바이오엔텍 화이자 백신에 대해 미국은 6억 회분, 유럽은 3억 회분, 일본은 1억 2천만 회분 등 대규모 선주문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연말 경 mRNA 코로나 백신이 본격적으로 생산되어 전 세계로 유통되고 별다른 부작용 없이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을 잠재우게 되면 우리는 새로운 세상을 만나게 될 것이다. mRNA 백신, 더 나아가 합성생물학의 시대가 열리게 될 것이다. 합성생물학은 디지털 기술과 생명공학의 융합이다. 유전자 코드나 세포 하나하나를 디지털 정보로 삼아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통해 자연에 없지만 유용할 수 있는 인공 물질이나 세포단위의 로봇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반도체나 스마트폰과 달리 우리나라는 합성생물학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가져온 합성생물학 시대에 어떻게 생존하고 경쟁할지 고민이 필요할 때다.
2020.11.27 I e뉴스팀 기자
라운지엑스, 포르쉐 타이칸 아레나에서 브랜드 하우스 개최
  • 라운지엑스, 포르쉐 타이칸 아레나에서 브랜드 하우스 개최
  • [이데일리 김민정 기자] 다음 달 2일까지 신사동 가로수길에서 진행될 예정인 ‘포르쉐 타이칸 아레나(PORSCHE TAYCAN ARENA)’에서 바리스타-로봇 협업 카페 라운지엑스가 브랜드 하우스를 개최한다.이번 이벤트는 로보틱스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리테일테크 스타트업 라운지랩(LOUNGE‘LAB)과 독일 스포츠카 브랜드 포르쉐코리아(PORSCHE KOREA)의 상호 브랜드 시너지를 창출시키기 위해 기획됐다.라운지엑스 브랜드 하우스가 진행 중인 ‘포르쉐 타이칸 아레나’라운지엑스의 핸드드립 로봇이 가진 세련된 외형과 최고의 기술력의 이미지가 포르쉐가 소개하는 준대형 전기 세단 스포츠카 모델인 타이칸(TAYCAN)과 맞닿아있어 이번 행사의 공간을 함께 구성하게 됐다.라운지엑스에서 국내 최초로 선보인 바리스타 협동 로봇인 ‘바리스’는 오랜 경험의 최고 수준 바리스타들과 협업해 디자인된 핸드드립 알고리즘을 통해 최상의 스페셜티 커피를 제공한다. 또 원두의 특성에 맞는 교반 방식을 연구하여 디자인된 고유의 드립 알고리즘을 통해 차별화된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여 핸드드립 커피를 대중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라운지랩의 바리스타 협동 로봇 ‘바리스’라운지랩의 황성재 대표는 “라운지엑스와 포르쉐, 두 브랜드는 모두 최첨단 기술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며 “이번 협업을 통해 ‘세련된 전문성’이라는 긍정적 브랜드 이미지를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한편 라운지랩의 협동 바리스타 로봇 바리스는 2020년 레드닷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으며, 완전무인화 콜드브루 캔 버전과 아이스크림 버전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 라운지엑스는 지난해 오픈한 강남점을 시작으로, 대전 소제점, 제주 애월점, 서울 마포점, 서울 구로점을 순차적으로 오픈하며 시장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2020.11.27 I 김민정 기자
네이버, 美 포브스가 선정 ‘세계 최고 직장’ 37위 올라
  • 네이버, 美 포브스가 선정 ‘세계 최고 직장’ 37위 올라
  •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네이버(035420)는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Forbes)가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세계 최고 직장’에서 올해 37위를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005930)와 LG(003550)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포브스는 시장 리서치 기업 스태티스타와 함께 58개국 다국적기업 직원 16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45개국 750개 기업을 선정했다. 설문은 △자신의 고용주를 친구나 가족에게 추천할지 여부를 비롯해 △코로나19 대응 만족도 △경제적 영향 △인재 개발 △성형평성 △사회적 책임 등의 소속 회사 평가로 이루어져 있다.네이버는 인공지능(AI)와 로봇,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을 연구해오는 동시에, 웹툰과 클라우드, 업무용 메신저 등을 통해 해외 사업도 확장시키고 있다. 네이버측은 올해 코로나19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봤다. 코로나19 초기부터 임직원들의 감염 예방을 위해 원격근무 체제를 선도적으로 도입·운영했으며, 협업툴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효율적인 업무를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다. 또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며 국가 방역에 기여해왔을 뿐만 아니라, 라이브커머스 툴, 클라우드 등 기술과 인프라를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과 중소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에 앞장서 왔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포브스가 발표한 이번 세계 최고 직장에는 아마존, 애플, 알파벳 등 글로벌 기업들이 함께 이름을 올렸으며,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LG, 아모레퍼시픽(090430), 한국석유(004090)공사, CJ(001040) 등의 국내 기업들도 선정됐다.
2020.11.27 I 장영은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