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전자담배와 일반담배 같이 피지마세요... 복합흡연이 더 해로워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니코틴과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들을 포함하는 용액을 가열해 체내에 흡입함으로써 흡연과 같은 효과를 내는 전자장치인 전자담배는 2007년 국내 도입된 후 일반담배보다 유해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있어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그러나 전자담배의 유행성 및 금연 효과에 대해 아직까지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 결과 대다수의 흡연자들이 전자담배와 일반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흡연자(dual users)로 확인됐으며 복합흡연을 할 경우의 체내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중앙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조수현 교수팀은 최근 ‘전자담배, 일반담배, 복합 흡연과 체내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와의 연관성(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s, Conventional Cigarettes, and Dual Use and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에 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조수현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5,191명의 한국 성인들을 실제 흡연 패턴에 따라 분류하여 일반담배군(Conventional smokers), 일반담배와 전자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흡연군(Dual users), 전자담배(E-cigarette smokers)만을 사용하는 군, 비흡연군(Non-smokers)으로 구분했다. 이후 이들 각각 흡연 패턴 분류군별로 니코틴 지표를 나타내는 ‘요 코티닌(urinary cotinine; Ucot)’, 염증 지표인 ‘요산(uric acid; UA)’과 ‘고감도 C-반응 단백(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과 그리고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지표를 나타내는 체내 항산화 물질인 ‘엽산(folate)’, ‘비타민 A, E’ 등 각 군의 평균 농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총 연구 대상자 5,191명 중 일반담배군은 940명(18.7%), 복합 흡연군은 110명(2.7%), 전자담배군은 23명(0.6%), 그리고 비흡연군은 4,118명(78.0%)이었으며, 전체 전자담배 사용자 133명 중 복합 흡연자는 82.7%(110명)인 것으로 확인됐다.또한 이들 흡연패턴별 각 지표들의 평균 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일반담배와 전자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흡연군(Dual users)이 ‘요산(UA)’ 농도 및 ‘요 코티닌(Ucot)’ 농도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감도 C-반응 단백(hsCRP)’ 농도는 비흡연군에 비해 모든 흡연군에서 높았으며, 산화 스트레스 지표는 모두 복합 흡연군이 비흡연군보다 높았다. 이로써 일반담배와 전자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82.7%의 대다수의 복합흡연자가 일반담배 또는 전자담배 흡연자 보다 체내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지수가 더 나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별도로 2016년 전자담배 사용 경험이 있는 성인 204명을 대상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를 조사 분석한 결과, 금연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Helpful for smoking cessation, 47.5%) 및 일반담배 흡연보다 상대적으로 유해성이 낮을 것이라는 인식(Less harmful than tobacco smoking, 23.6%)이 가장 주된 이유인 것으로 조사됐다.중앙대병원 가정의학과 조수현 교수는 “많은 흡연자들이 흡연량을 줄이려는 목적 또는 일반담배에 비해 덜 유해하다고 인식해 71.1%가 금연 및 유해성 감소의 목적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것으로 응답했지만, 전자담배 사용자들의 80% 이상이 일반담배를 같이 사용하는 복합 흡연자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복합 흡연 시 기존 흡연량을 유지한 채 추가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경향이 높아 니코틴 및 다른 독성 물질에 오히려 과다 노출되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이어 “니코틴 대사물질인 코티닌과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을 촉진시키는 혈중 요산은 혈관내피세포 기능 부전을 유발해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 니코틴, 염증, 산화스트레스 지표가 가장 높은 복합흡연이 일반담배 또는 전자담배 단독 흡연보다 더욱 유해한 것으로 입증되었기 때문에 전자담배 사용에 대한 적절한 금연교육과 복합흡연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논문은 대한가정의학회지(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최신호에 게재됐다.
- 디앤디플랫폼리츠, 수요예측서 21조원 몰려…'경쟁률 245대 1'
-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디앤디플랫폼리츠의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경쟁률이 244.81대1로 나타났다. 2일 디앤디엔비스트먼트는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한 결과, 381개 기관이 참여해 42억8409만9000주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주당 공모금액은 5000원으로 전체 주문 규모는 21조 원에 달한다.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전체물량의 28.3%로 참여 기관 중 85곳이 보호예수를 약속했으며 6개월 락업을 확약한 기관은 32곳이었다.주관사 관계자는 “상장을 앞두고 많은 기관투자자가 락업을 제시하며 물량 배정을 요청해 흥행을 예감했다”면서 “실제 수요예측 첫날 경쟁률 10대 1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변동성 장세 속에서 배당주인 리츠가 주목받은 것에 더해, SK디앤디 스폰서 투자로 우량자산의 지속편입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기관투자자들도 상장 후 성장 여력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디앤디플랫폼리츠는 SK디앤디 자회사 디앤디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는 리츠다. 서울 영등포 문래동 소재 오피스 세미콜론 문래, 용인 소재 백암 파스토 1센터, 일본 아마존 물류센터 등 국내외 3개 자산에 투자하고 있다. 안정산업인 오피스와 성장산업인 물류 섹터의 프라임 자산을 모두 갖췄으며 코로나19 전 선제적 투자로 자산가치가 큰 폭 상승해 기초자산 평가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꼽힌다. 상장 후 SK디앤디가 개발하는 오피스 및 물류 우량자산을 확보해 양적, 질적 성장을 실현할 계획이다. SK디앤디는 300억 원을 직접 투자한 스폰서이자 공동사업협약 대상자로, 디앤디플랫폼리츠는 SK디앤디가 단독 개발한 자산을 우선 편입할 권리를 갖는다. 더불어 신재생에너지 투자 병행으로 부동산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방침이다. 최호중 디앤디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는 “새로운 가치를 찾아 영역을 확대하는 리츠로, 거시 환경과 사회적 여건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재 많은 분들의 좋은 투자처가 될 것을 확신한다”고 전했다.한편 디앤디플랫폼리츠는 오는 5일~9일 3영업일간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을 받은 후, 27일 코스피 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이며 인수회사는 SK증권, 유안타증권이다. 최호중 디앤디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가 지난달 26일 온라인을 통해 디앤디플랫폼리츠 상장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디앤디인베스트먼트 제공]
- [아파트 돋보기]‘7말8초’ 휴가시즌…아파트 주의사항은?
- [이데일리 김나리 기자] 우리나라 주택의 77%는 아파트·연립·다세대주택 등 여러 가구가 모여 사는 공동주택 형태로 이뤄져 있다. 대한주택관리사협회의 도움을 받아 이 같은 공동주택에서 실제 벌어지거나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을 알아보고, 매 주말 연재를 통해 꼭 알아둬야 할 상식과 더불어 구조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 효율적인 관리방법 등을 살펴본다.일명 ‘7말8초(7월 말~8월 초)’라 불리는 여름철 휴가 극성수기가 찾아왔습니다. 이번 회에서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여름 휴가철을 맞아 주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적용을 하루 앞둔 7월 11일 오전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출국장에서 여행객들로 북적이고 있다.먼저 휴가철에 집을 비우는 동안에는 절도를 조심해야 합니다. 경찰청과 보안업계에 따르면 매년 7~8월에 빈집털이 절도가 평상시보다 20~30% 이상 증가한다고 합니다.경비원이 있는 공동주택이라고 해서 마냥 안심해선 안됩니다. 실제 경찰청에서 발표한 범죄 통계를 살펴보면 2011년부터 2018년까지는 단독주택에서의 절도 건수가 더 많았지만, 2019년에는 아파트·연립·다세대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절도 사건이 1만4344건으로 단독주택(1만1448건)을 넘어섰습니다.경찰청은 휴가·출장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경우 빈집털이 절도 예방을 위해 가까운 지구대ㆍ파출소에 미리 신고하는 ‘빈집 사전신고제’를 이용하고, 현금이나 귀금속 등 귀중품은 은행 대여금고 등에 보관하라고 권고합니다.또한 요즘 많은 가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도어의 잠금장치 비밀번호 변경, 지문 자국 지우기, 현관 및 베란다·화장실 창문 등의 이중 잠금장치 또는 시건 장치 확인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20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에서도 가스 배관 등을 타고 올라오거나 옥상 밧줄 등을 이용해 침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다는 설명입니다.특히 외부인의 출입이 비교적 수월한 복도식 아파트 창문이나 저층 가구의 베란다·창문 등은 보안에 취약하므로, 창문 시건장치와 방범창 고정 여부에 대한 철저한 확인과 함께 창문 경보장치 등을 설치하라는 조언입니다.아울러 범죄자들이 빈집임을 알 수 없도록 신문, 우유 등 배달물품 및 우편물 등이 쌓이지 않도록 일시 중지를 요청하고, 우유 투입구가 있는 현관문은 열리지 않게 조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최근 신축 아파트에 많이 설치된 무인택배함도 꼭 비워서 장기보관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이에 더해 사물인터넷 또는 타이머 장치를 이용하거나 가전제품의 예약 기능 등을 활용해 전등, TV, 라디오 등이 일정 시간 이상 가동되도록 해두면 좋습니다. 빈집털이범들은 전기 계량기 사용량이 적거나 인기척이 없는 가구를 주로 노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갈수록 고도화되는 범죄 수법을 감안해 SNS 등에 휴가 일정이나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일절 노출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이밖에 단지 내 주차 차량의 경우에도 시건장치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차량 안에 현금, 귀중품 등을 보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휴가철 가구 내 안전과 화재 예방 등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스, 수도 등의 잠금 상태를 확인·점검하고, 꼭 필요한 가전제품 이외에는 콘센트 플러그를 빼놓아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휴가로 인해 집을 비우게 될 경우, 경비실이나 관리사무소에 사전에 이를 알리는 것이 필요합니다.휴가철을 맞아 관리사무소에서는 외부인·외부차량 출입 등에 대한 관리 감독과 함께 경비·순찰 활동을 평상시보다 강화하게 됩니다. 외출 가구 주변 및 출입문 잠금 상태 확인, CCTV·보안등 정상 작동 여부 점검, 가스·우수 배관 등의 침입 흔적 점검, 지하주차장 방범·순찰, 범죄 상황 발생 대비 비상연락망 체계 구축 및 대처방법 훈련 등 각종 활동을 실시하는 곳들도 있다고 합니다.휴가를 떠나기 전에 조금만 더 점검하고 주의하면 즐거운 여행길이 될 수 있는 만큼 확인과 점검이 필요합니다.끝으로 관리사무소 직원들도 재충전을 위한 휴가를 떠나게 됩니다. 관리 업무와 입주민 편의에 최대한 지장이 없도록 조를 짜거나 순번을 정해 휴가를 실시하더라도 평소보다 미흡한 부분이 조금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입주민들의 양해도 필요한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