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美특징주]스노우플레이크, 4Q 깜짝 실적·MS 협력 확대 발표…시간외 11% 급등
  • [이데일리 김카니 기자] 클라우드 데이터 플랫폼 기업 스노우플레이크(SNOW)가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력을 확대한다고 발표하면서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급등했다.26일(현지시간)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스노우플레이크의 4분기 매출은 9억868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7%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 9억5622만달러를 상회했다. 주당순이익(EPS)은 0.30달러로 전망치 0.17달러를 0.13달러 웃돌며 깜짝실적을 기록했다.주력 사업인 제품 매출은 9억433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8% 증가했다. 순매출 유지율(NRR)은 126%로 집계됐다. 또한 연매출 100만달러 이상을 기록한 고객 수는 580개로 전년동기 대비 27% 증가했으며 글로벌 2000대 기업 고객 수는 5% 늘어난 745개로 나타났다.스리다르 라마스와미 CEO는 “28% 증가한 제품 매출을 기록하며 견조한 분기를 달성했다”며 “스노우플레이크는 현재 데이터 및 AI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기업”이라고 말했다.회사는 1분기 제품 매출 가이던스로 9억5500만~9억6000만달러를 제시하며 전년 대비 2122% 성장을 전망했다. 또한 MS와의 협력을 확대해 자사 AI 서비스 ‘스노우플레이크 코텍스 AI’에 오픈AI 모델을 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날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1.21%상승한 155.19달러에 거래를 마친 스노우플레이크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거래에서 11.17% 급등한 184.80달러를 기록했다.
2025.02.27 I 김카니 기자
  • [美특징주]세일즈포스, 4Q 매출 기대 미달·1Q 전망치 하향…시간외 5%↓
  • [이데일리 김카니 기자] 기업용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업체 세일즈포스(CRM)가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를 소폭 밑도는 매출을 기록했다. 향후 실적 가이던스도 기대에 못 미치면서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하락했다.26일(현지시간) 정규장에서 세일즈포스 주가는 전일대비 0.47% 상승한 307.33달러에 마감했으며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4.86% 하락한 293.70달러를 기록했다.CNBC에 따르면 세일즈포스의 4분기 매출은 99억900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 100억4000만달러를 소폭 하회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2.78달러로 예상치 2.61달러를 상회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7.6% 증가했으며 EPS는 18% 증가했다.고객 서비스 제품 매출은 23억3000만달러로 예상치 23억7000만달러를 하회했으며, 세일즈 부문 매출도 21억3000만달러로 시장 전망 21억7000만달러에 미치지 못했다.세일즈포스는 2025회계연도 1분기 가이던스로 매출 97억1000만97억6000만달러를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99억1000만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브렛 테일러 CEO는 “AI 기반 솔루션 ‘에이전트포스’를 통해 고객 지원과 업무 효율을 개선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예상보다 낮은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며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2025.02.27 I 김카니 기자
  • [美특징주]줌인포, 4Q 호실적·5억달러 자사주 매입 승인…주가 ‘급등’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화상 기술 업체 줌인포테크놀로지스(ZI)는 지난 4분기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매출 및 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이에 26일(현지시간) 오전 10시 17분 기준 줌인포테크놀로지스의 주가는 전일대비 19% 급등한 11달러선에서 거래 중이다.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줌인포테크놀로지스는 지난 4분기 주당순이익(EPS)이 0.26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0.23달러를 상회했다고 전했다.같은 기간 매출은 3억910만달러로 이 역시 시장 컨센서스인 2억9766만달러를 웃돌았다. 4분기 조정 영업이익은 1억1600만달러, 영업마진은 37%를 기록했다.줌인포는 지난 4분기 실적이 고급 시장 부문에 대한 전략적 집중을 잘 보여주며, B2B 데이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회사는 또한 지난해 4680만주를 상환하여 유통 주식을 12% 줄였다고 덧붙였다.한편 줌인포테크놀로지스는 2025년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11억8500만달러~12억500만달러로 제시했다.연간 조정 영업이익은 4억2600만달러~4억36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는 5억달러 규모의 신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2025.02.27 I 장예진 기자
  • [美특징주]앱플로빈, 공매도 보고서 여파로 주가 ‘급락’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소프트웨어 기반의 모바일 광고 플랫폼 운영업체 앱플로빈(APP)은 공매도 리서치업체가 발행한 부정적 보고서의 영향으로 26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락했다. 이날 오전 11시 10분 기준 앱플로빈 주가는 13.96% 하락한 324.43달러를 기록했다. 앱플로빈 주가는 최근 7거래일간 38.4% 하락하며 지난 2022년 12월 이후 최장기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마켓워치 보도에 따르면 컬퍼 리서치는 25일 앱플로빈의 사업 모델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공매도 포지션을 취했다고 발표했다. 보고서는 앱플로빈이 광고주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가치가 과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앱플로빈이 소비자 모르게 앱을 강제로 설치하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다른 공매도 업체 퍼지 판다 리서치도 앱플로빈에 대한 공매도를 선언했다. 이들은 업계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앱플로빈의 전자상거래 사업이 메타(META)의 데이터 모델을 복제한 것에 의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앱플로빈은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앱플로빈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광고 최적화 기술로 시장의 주목을 받으며 지난 1년간 주가가 423% 상승했다.
2025.02.27 I 정지나 기자
  • 美 3대 지수 상승 출발…엔비디아 실적 발표 주목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26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출발했다.오전 10시 14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46% 상승한 43819선에서, S&P500지수는 0.75% 오른 5999선에서, 나스닥지수는 1.08% 상승한 19231선에서 움직이고 있다.최근 시장이 주춤한 가운데 S&P500지수가 나흘 연속 하락하면서 이에 따른 반발 매수가 유입되는 모습이다.특히 이날 장 마감 이후 공개될 엔비디아(NVDA)의 실적 발표에 따라 향후 시장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실적 발표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 없이 개발됐다는 중국의 딥시크 AI 모델 등장 이후 나오는 것이라 더욱 주목된다.전일 발표된 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2021년 8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보이면서 석 달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최근 소매 판매 부진과 소비자 심리 약화 등 부정적인 지표들이 발표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특징적인 종목으로는 로우스(L)가 아쉬운 가이던스를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4분기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하면서 주가가 상승 중이다.제너럴모터스(GM)는 분기 배당금을 25% 인상하고 6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2025.02.27 I 장예진 기자
  • [美특징주]블루민브랜즈, 적자 전환·실망스런 전망에 주가 ‘뚝’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미국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 체인 운영 기업 블루민브랜즈(BLMN)는 지난 분기에 실망스런 매출을 기록했으며 적자 전환했다고 밝혔다.회사는 또한 아쉬운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이에 26일(현지시간) 오전 9시 32분 기준 블루민브랜즈의 주가는 전일대비 8% 하락한 10달러선에서 거래 중이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블루민브랜즈는 지난 4분기 순손실이 7950만달러, 주당순손실이 0.93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순이익 4330만달러, 주당순이익(EPS) 0.45달러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밝혔다.조정 EPS는 0.38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0.37달러를 소폭 상회했다.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9.3% 감소한 9억7200만달러로 월가 예상치인 10억8500만달러를 밑돌았다.미국 내 동일매장매출은 1.1% 감소했으며, 모든 프랜차이즈에서 동일매장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루민브랜즈는 “성장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매출을 창출하기 위한 변화를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블루민브랜즈는 이번 1분기 조정 EPS 가이던스를 0.55달러~0.60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0.67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동일매장매출 성장률 전망치는 -1.5%~-0.5%로 월가 전망치인 1% 성장을 밑돌았다.블루민브랜즈는 2025년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를 1.20달러~1.40달러로 제시했다.이는 시장 예상치인 1.77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연간 동일매장매출 성장률 전망치는 -2%~0%로 시장 예상치인 1% 성장을 밑돌았다.
2025.02.26 I 장예진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