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外人 돌아오니 백화점 업계 ‘훈풍’…6개월새 매출 세자릿수↑
- [이데일리 백주아 기자] 코로나19 엔데믹과 강달러 현상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백화점 업계에 훈풍이 불고 있다. 특히 K팝에 관심이 많은 관광객들이 국내 랜드마크 백화점을 찾으면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매출이 회복세에 진입했다는 평가다.갤러리아 명품관 스테파노 리치 매장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선물용 넥타이를 고르고 있다. (사진=갤러리아백화점)7일 갤러리아백화점은 서울 명품관 외국인 매출이 최근 6개월간(2022년 8월~2023년 1월) 전년동기대비 500% 이상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특히 최근 6개월간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외국인 매출 비중이 5% 이상까지 올라오면서 본격적인 회복세에 진입했다고 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전 명품관 매출에서 외국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5% 이상이었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여행 수요가 줄면서 외국인 매출 비중은 1% 이하까지 떨어졌다.주요 외국인 고객 국적은 중국, 동남아, 미국, 일본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말부터 중국 고객도 점진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외국인 주요 쇼핑 품목은 명품이 압도적이었다. 특히 명품관에서 쇼핑하는 외국인의 경우 단체 관광보다 개별 관광이 많아 1인당 구매액(객단가)도 높다. 코로나19 직전 명품관 중국인 1인당 객단가는 300만원에 달했다.재방문율이 높은 것도 명품관 외국인 고객의 특징 중 하나다. 외국인 전체 매출 중에서 갤러리아 글로벌 멤버십카드를 이용한 고객 매출은 50%를 상회한다.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더현대 서울 지하2층 비클린 매장에서 외국인 고객이 쇼핑하고 있는 모습. (사진=현대백화점)◇더현대 서울 외인 관광객 매출 1143%↑현대백화점(069960)의 경우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더현대서울의 최근 6개월 외국인 관광객 매출 신장률은 1142.8%로 백화점 4사 중 가장 큰 폭의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기존 외국인 방문 1·2순위 롯데백화점 본점(590%)과 신세계백화점 본점(600.3%)과 비교해도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더현대 서울에 외국인 관광객이 몰린 것은 K팝 인기 여파로 분석된다. 이곳에서는 지난해 6월 스트레이키즈를 비롯해 뉴진스(8월), 블랙핑크(9월), 에이티즈(11월), 더보이즈(12월) 등 K팝 스타들의 다양한 팝업스토어를 연이어 진행하며 글로벌 K팝 팬들 사이 관광 성지로 떠올랐다. 외국인 고객은 K팝에 관심이 많은 미국과 일본을 비롯해 태국 등 동남아 등 국적도 다양하다는 분석이다.박근호 현대백화점 영업기획팀 팀장은 “앞으로도 아이돌그룹 데뷔와 컴백, 영화, 드라마를 비롯해 뷰티, 푸드, 스타일 등 K컬처 관련 색다른 팝업스토어 유치 등을 통해 차별화에 나설 계획”이라며 “해외 관광객들을 적극 유치할 수 있도록 외부 전문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투어 프로그램 등도 적극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내 입국 외국인 관광객 수는 53만9273명으로 1년 전보다 498.2% 늘었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인이 8만4175명으로 전년대비 8259% 늘어 가장 많았다. 이어 싱가포르(5만711명), 태국(4만1026명), 대만(2만9066명), 중국(2만7367명), 홍콩(2만7146명) 순이다.업계 관계자는 “중국 관광객 수요 회복이 더디지만 최근에는 동남아, 유럽 등 다양한 국가의 관광객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원화가치 하락으로 외국인의 해외여행 부담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만큼 외국인 매출 비중도 점차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백화점업계, 외국인 전용 마케팅 강화백화점업계는 외국인 여행객 수요에 대응해 대표 랜드마크 백화점을 중심으로 전용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현대백화점은 ‘위챗’ 등 해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홍보를 비롯해 한국관광공사, 서울관광재단 등과 함께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의 인플루언서, 여행사 등을 초청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갤러리아 명품관은 신규 외국인 고객 유입을 위한 할인 쿠폰 과 선물 등 웰컴 프로그램, 압구정 상권과 연계한 제휴 혜택 등 쇼핑과 여행 등을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갤러리아백화점 관계자는 “국내 최초 외국인 컨시어지 서비스, 외국인멤버십, 글로벌VIP 라운지 운영 등 명품관의 외국인 마케팅 노하우로 외국인 고객을 적극 유치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로보티즈, 日 호텔·레스토랑 박람회 참가…‘집개미’ 홍보
-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로보티즈(108490)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 전시장에서 열리는 호텔·레스토랑 박람회 ‘HCJ 2023’에 참가한다고 7일 밝혔다.HSJ 박람회는 호텔, 푸드 케이터링, 주방설비 3가지 분야가 모인 전시로 평균 방문객만 2만8000여명에 달하는 5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행사다. 로보티즈는 국내 자율주행로봇 전문기업으로 박람회에 참가, 제품력과 서비스를 소개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나선다.올해 박람회에서 로보티즈는 자율주행로봇 ‘집개미’의 호텔 딜리버리 서비스 시연 및 산업 관계자와 참관객을 위한 상담 부스를 운영한다. ‘집개미’가 객실에 필요한 물품을 적재하고, 장애물을 회피해 이동하는 모습부터 엘리베이터와 자동문을 조작하거나 객실문을 노크하는 모습 등 고도화된 동작과 서비스를 시연할 계획이다.또 행사장에는 로보티즈 영업담당자가 상주하며 현장 맞춤형 커스터마이징 모션 개발, 로봇 적용 시나리오 검토, 도입 절차 등 상세하게 안내하며 직접 소통할 계획이다.김병수 로보티즈 대표는 “일본 최대 규모의 호텔 및 레스토랑 박람회인 ‘HCJ 2023’를 통해 로봇 강국인 일본에서 로보티즈의 자율주행로봇을 선보이게 돼 감회가 남다르다”며 “로보티즈는 ‘집개미’를 필두로 더욱 미래 지향적인 로봇 컨시어지가 상용화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로보티즈의 ‘집개미’는 현재 메이필드 호텔, 이비스 엠버서더 명동, 앰배서더 서울 강남,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타임스퀘어 등 국내 주요 호텔과 일본 호텔체인 명동 헨나호텔에 도입돼 운영되고 있다.
- '어쩌다 어른' 김경일 교수가 소개하는 타인과의 관계 대처법
- 사진=tvN스토리[이데일리 스타in 유준하 기자] tvN ‘어쩌다 어른’에서는 ‘타인 지옥에 빠져 있는 당신에게’라는 주제로 복잡한 세상에서 괜찮은 어른이 되는 법, 나를 힘들게 하는 타인의 만행에 대처하는 법에 대해 인지심리학자 김경일이 MC이자 강연자로 등판한다. ‘어쩌다 어른’은 다방면의 지식에 목마른 시청자들에게 다양한 각계 전문가가 인문 지식을 풀어주는 프리미엄 인문 예능 프로그램. 새롭게 리뉴얼된 23년 첫 방송이었던, 이금희 아나운서가 강연자로 출연한 지난 17화가 뜨거운 반응을 받으며 최고 시청률을 기록해 화제를 모았다.2화에서는 절대 다시 만나기 싫은 사람까지 다양한 부류의 타인들, 그리고 자신도 누군가에게 그런 존재일 수도 있다는 점 등 ‘타인 지옥에 빠져 있는 당신에게’라는 주제로 도저히 알 수 없는 타인의 마음에 대해 파헤치는 방법에 대한 강연이 소개된다.‘타인의 지옥에 빠져 있는 당신에게’ 주제는 또다시 ‘MBTI 지옥’, ‘막말 지옥’, ‘미소 지옥’, ‘젊꼰 지옥’ 이렇게 4가지 소챕터를 통해, 최근 직원 뽑는 기준으로까지 사용되는 MBTI에 대한 모든 것, 막말을 하는 사람의 심리와 막말을 들었을 때 대처하는 법, 힘든 상황 속에서도 늘 밝은 얼굴로 속을 모르겠는 ‘미소 지옥’ 스타일의 사람들의 심리, ‘젊꼰 지옥’에 대해 파헤쳐본다. 특히 김경일 교수 특유의 유머러스한 강연 방식은 청중들과 시청자들에게 지식과 지혜와 함께 재미와 힐링도 함께 선사할 예정이다. 배우 이재용, 가수 김용준, 방송인 신아영, 가수 한승연이 패널로 출연해 적극적인 소통으로 더욱 풍성한 강연이 되도록 활약한다.타인과 나 자신을 이해하며, 작은 변화를 통해 더 나은 삶을 선사하고 이 시대 좋은 어른이 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할 김경일 교수의 강연은, 7일 오후 8시20분에 방영된다.
- 법원,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韓정부 배상책임 첫 인정…추가 소송 제기하나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이 베트남 민간인을 학살한 사건에 대해 한국 정부가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이번 판결은 민간인 학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첫 사례인 만큼 다른 피해자들의 추가 소송 제기 가능성도 제기된다.베트남전 민간인학살 국가배상소송 원고 응우옌티탄 씨.(사진=뉴스1)7일 서울중앙지법 민사68단독 박진수 부장판사는 이날 오후 베트남인 응우옌티탄(63·여) 씨가 한국 정부를 상대로 낸 국가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피고 대한민국은 원고에게 3000만100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시했다.재판 과정에서 해병대 소속 베트남전 참전 군인, 목격자 등이 법정에 직접 증인으로 나섰고, 이들은 ‘한국 군인들이 민간인을 살해하는 장면을 목격했다’는 취지로 한결같이 증언했다. 1968년 2월 베트남전 당시 8살이던 응우옌티탄씨는 꽝남성 디엔반현 퐁니 마을에서 발생한 한국군 청룡부대(해병대 제2여단) 소속 군인들의 공격으로 총상을 입어 지금까지 후유증을 겪고 있으며, 가족 5명을 비롯한 비무장 마을 주민 70여 명이 당시 살해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2020년 4월 한국 정부를 상대로 3000만100원을 배상하라는 국가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응우옌티탄씨는 총을 쏜 군인들이 한국군으로 기억하는 이유로 얼룩무늬의 군복과 철모, 쌍꺼풀이 없는 외모와 알아들을 수 없는 언어를 들기도 했다. 응우옌티탄씨는 “총격을 배에 맞아 쓰러져 일어나지 못했다. 한국군이 집을 불태우려 했고, 이모가 이를 말리자 칼로 이모를 살해했다”고도 증언했다. 반면 정부 측은 원고가 한국군에게 피해를 봤다는 사실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당시 북베트남에 동조하는 베트콩이 심리전 차원에서 한국군으로 위장해 민간인을 공격했을 가능성이 있고, 한국군이 민간인을 살해했다고 하더라도 교전 상태에서 퐁니마을 주민을 적으로 오인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재판부는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1968년 2월 12일 10시30분부터 15시 사이 해병대 제2여단 1중대 소속 군인들이 1호 작전을 수행하던 중 원고 집에 이르러 수류탄과 총으로 위협하며 원고 가족들로 하여금 방공호 밖으로 나오도록 명령했다”며 “차례대로 원고 가족과 친척이 나오자 현장에서 바로 총격을 가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고 했다.또 “그로 인해 원고 이모와 언니, 남동생은 현장에서 사망했고, 원고와 원고의 오빠는 심각한 부상을 얻은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며 “나아가 원고 모친은 원고 집에 있지 않고 외출 중이었는데 역시 이 사건 1중대 소속 군인들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한곳으로 강제로 모이게 한 다음 그곳에서 총으로 사살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명백한 불법행위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우리 정부는 불법행위 시점이 이미 수십 년 지나 소멸시효가 만료됐다고 주장해 이번 사건에선 소멸시효가 만료됐는지도 쟁점이 됐다. 재판부는 “종합적으로 볼 때 이 사건 피고가 시효 완성을 주장하는 것은 권리 남용에 해당한다”며 “원고는 소 제기 무렵까지 객관적으로 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장애 사유에 해당한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재판부는 피해의 정도, 배상의 지연, 물가 및 통화가치의 변화 등을 고려해 정부가 지급해야 할 위자료를 4000만원으로 책정했다. 다만 원고의 청구액이 3000만100원이라 그 범위에서 배상금이 인정됐다.
- [코스닥 마감]외인·기관 ‘사자’ 전환에 1%대↑…770선 ‘안착’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 전환에 힘입어 770선에 안착했다.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1%(11.46포인트) 오른 772.79로 거래를 마쳤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연설을 앞두고 관망세가 커지면서 장 초반 강보합세로 출발했다가 이내 외국인과 기관이 매수세로 돌아서면서 급격히 상승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부담 요인이었던 미국 채권 금리 급등세가 진정세를 보이며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며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 동반 자금이 유입되면서 코스피 대비 상대적인 강세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수급별로는 외국인이 2745억원, 기관 투자자가 553억원을 나란히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3126억원을 순매도했다. 프로그램은 차익이 36억800만원 순매도, 비차익은 2643억9400만원 순매수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건설과 음식료/담배 등 업종 외에는 대부분 상승우위를 보였다. 특히 금융이 5.15% 상승하며 가장 크게 올랐고, 소프트웨어, 반도체, IT 부품 등이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등락 없이 장을 마친 오스템임플란트(048260)를 제외하곤 전부 ‘빨간불’을 켰다. 에코프로비엠(247540)은 전 거래일 대비 2.61% 상승한 12만1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특히 에코프로(086520)는 시가 총액 상위 종목 중 13.47%로 가장 크게 올랐다. 카카오게임즈(293490)와 엘앤에프(066970)는 2%대, 리노공업(058470)은 1%대 상승률을 보였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HLB(028300), 펄어비스(263750), JYP Ent.(035900)는 0%대 강보합세로 장을 마감했다. 종목별로는 이날 상장한 스튜디오미르(408900)가 ‘따상(공모가 두 배로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에 성공했다. 시장에서 인공지능(AI)챗봇, 챗GPT 등이 주목을 받으면서 린드먼아시아(277070)와 MDS테크(086960)도 각각 29.99%, 29.97%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에스에스알(275630)과 아이윈플러스(123010)는 각각 10.56%, 7.79% 하락세를 나타냈다. 코스닥 시장의 이날 거래량은 총 12억3742만7000주, 거래대금은 9조2375억원이다. 상한가 3종목을 포함에 932종목이 상승했고, 529종목은 하한가 없이 하락했다. 105종목은 보합세였다.
- 방통위 안형환 위원 후임은 어느당?…법령 해석 두고 논란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안형환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사진=방송통신위원회검찰 수사와 감사원 감사로 어수선한 방송통신위원회의 내부 혼란이 8월까지 지속할 우려가 제기된다. 여권인 안형환 부위원장의 임기가 올해 3월 30일까지인데, 안 부위원장 후임을 어느 당에서 추천해야 하는지를 두고 논란이기 때문이다. 관련 법(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는 구체적으로 어느 당 몫인지 명시돼 있지 않다. 그저 △위원 5명 중 2인은 대통령이 지명하고 3인은 국회 추천을 받으며 △국회 추천 시 대통령이 소속된 정당의 교섭단체가 1인을 추천하고 그 외 교섭단체가 2인을 추천한다고 돼 있다. 안 부위원장 후임은 국회 몫인 건 분명하데, 국민의힘 추천이어야 하는지, 더불어민주당 추천 몫인지 정해져 있지 않다.7일 방송통신위원회 안팎에 따르면 이 문제로 방통위 업무가 8월까지 사실상 마비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는 한상혁 위원장, 김창룡 위원, 김현 위원은 야권이고, 안형환 부위원장과 김효재 위원은 여권이다. 그런데 임기는 한 위원장이 7월 31일, 안형환 부위원장이 3월 30일, 김창룡 위원이 4월 5일, 김효재·김현 위원이 8월 23일이다.문제는 방통위 상임위원 임기가 제각각이다 보니 국회 추천 3인을 두고 누가 먼저 오느냐에 따라 위원 구성이 바뀐다는 점이다. 현재는 야권 성향 위원이 3명(한상혁 위원장, 김창룡 위원, 김현 위원), 여권 성향 위원이 2명(안형환 부위원장, 김효재 위원)인데, 안 부위원장 후임 위원을 야권에서 추천하면 여야 비율이 1대4로 바뀐다.민주당에선 안형환 부위원장이 문재인 정부 시절 야권 추천이었던 만큼 이 자리에 민주당 추천 위원이 선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방통위 야권 추천 위원은 “임명 기준으로 추천정당에서 추천하는 게 관례”라면서 “안 위원장 후임은 민주당 추천”이라고 못박았다.반면, 국민의힘에선 법령에 국회 추천 3인으로만 돼 있을 뿐 어떤 위원을 어떻게 추천한다는 조항은 없고 안 부위원장이 국민의힘 추천이었던 만큼 여권에서 추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이에 따라 3월 30일 안형환 부위원장 임기가 끝나도 당분간 국회 추천과 대통령 임명 없이 4명의 방통위원으로 회의가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김창룡 위원(4월 5일), 한상혁 위원장(7월 31일)김효재·김현 위원(8월 23일)등의 임기가 차례로 끝나 8월이 돼야 방통위 상임위원 5명 구성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방통위설치법에는 방송정책을 하는 방통위나 방송내용을 심의하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모두 상임위원이 임기를 마치면 끝이다. 새로운 위원이 선임되기 전까지는 업무 공백을 막을 방법이 없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021년 방통위 설치법을 개정해 ‘임기가 만료된 위원은 후임자가 위촉될 때까지 직무를 수행한다’는 조항을 넣는 걸 제안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방통위 관계자는 “3명의 위원만 있어도 정족수가 되기 때문에 회의는 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이런 상황에선 업무 공백이 불가피할 것 같다”고 걱정했다.한편 방통위는 이날 국무조정실 2022년 정부 업무 평가에서 주요정책 부문, 규제혁신 부문, 정부혁신 부문, 정책소통 부문, 적극행정 부문 모두 C등급을 받았다. 5개 부문 모두 C등급을 받은 곳은 방통위가 유일하다. 개인정보위원회는 나머진 C등급이었지만 주요정책 부문에선 B등급이었다.또, ‘2020년 TV조선 재승인 심사 점수 조작’ 혐의로 방통위 담당 국장과 과장이 구속되면서 방통위 공무원 노동조합이 ‘구속된 직원을 위해 응원의 마음을 모아주세요’라는 응원메시지와 모금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 이승기, 이다인 결혼→견미리 사위·이유비 매부로…스타패밀리 완성
- 이다인(왼쪽) 이승기(사진=이데일리DB)[이데일리 스타in 김가영 기자] 가수 겸 배우 이승기가 배우 이다인과 결혼을 발표하며 연예계 스타패밀리가 완성됐다.이승기는 7일 이다인과 결혼을 발표했다. 두 사람은 4월 7일 결혼식을 올릴 예정이다.이다인의 엄마는 배우 견미리, 언니는 이유비다. 이승기와 이다인이 결혼을 하면서 이승기는 견미리의 사위, 이유비의 매부가 되는 것. 견미리는 1984년 MBC 17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해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사랑과 야망’, ‘천명’, ‘한명회’, ‘LA아리랑’, ‘장희빈’, ‘육남매’, ‘대장금’, ‘주몽’, ‘이산’, ‘옥탑방 왕세자’, ‘무자식 상팔자’, ‘가족끼리 왜 이래’, ‘편의점 샛별이’ 등 수많은 작품에 출연하며 꾸준히 활발한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2009년 음반을 내고 가수 데뷔도 한 바 있다.이다인의 언니인 이유비는 2011년 MBN ‘뱀파이어 아이돌’로 데뷔해 드라마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 ‘구가의서’, ‘피노키오’, ‘밤을 걷는 선비’, ‘펜트하우스3’, ‘유미의 세포들’ 등에 출연해 사랑 받았다.견미리(왼쪽) 이유비이승기와 이다인의 결혼으로 연예계 로열 패밀리가 완성된 것이다.이다인과 이승기는 지난 2021년 연애를 공식 인정하고 공개 열애를 해왔다. 이다인은 2014년 웹드라마 ‘스무살’로 데뷔해 눈도장을 찍은 배우다. 이후 KBS2 ‘화랑’, ‘황금빛 내 인생’, MBC ‘이리와 안아줘’, KBS2 ‘닥터 프리즈너’, SBS ‘앨리스’ 등 다수 작품을 통해 톡톡 튀는 매력과 탄탄한 연기력을 인정 받았다. MBC 새 드라마 ‘연인’으로 안방 복귀를 할 예정이다.이승기는 2004년 ‘내 여자라니까’를 통해 가수로 데뷔해 연기로 활동 범위를 넓혀 MBC ‘논스톱5’, KBS2 ‘소문난 칠공주’, SBS ‘찬란한 유산’,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너희들은 포위됐다’, tvN ‘화유기’, SBS ‘배가본드’, tvN ‘마우스’ 등에 출연하며 가수, 배우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