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 치적 쌓으려는 네타냐후, 사우디에 ‘통 큰 양보’ 하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사우디에 민간 핵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방안을 미국 측과 협상하도록 실무진에 지시했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은 사우디에 우라늄 농축시설 건설을 허용하되 시설 운영·통제권은 미국이 갖도록 하는 게 이스라엘 측 복안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구상이 현실화하면 사우디는 이란에 이어 우라늄 농축 시설을 공식적으로 보유하는 두 번째 중동 국가가 된다. 이스라엘도 우라늄 농축시설과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공개석상에선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사우디는 수교를 위한 요건으로 이스라엘과 미국에 사우디 내 우라늄 농축 시설 건설을 허용해달라고 요청했다. 원전 건설 등 원자력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게 사우디 주장이다. 일각에선 이스라엘·이란 핵무장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도 보고 있다. 사우디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는 이날 미국 폭스뉴스에 방영된 인터뷰에서 “만약 이란이 핵무기를 갖는다면 우리도 안보와 중동의 세력 균형을 위해 하나를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사우디는 미국이 우라늄 농축 허용에 주저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중국·러시아 원전 기업과도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 핵 경쟁 자극할라’ 미국은 주저
이스라엘은 사우디 핵 프로그램 지원에 대해 아직 미국 동의를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바이든 행정부 고위관계자는 “사우디든 누구든 민간 핵 협력을 위해선 미국의 엄격한 핵 비확산 기준을 충족해야 할 것”이라고 WSJ에 말했다.
사우디의 우라늄 농축이 튀르키예나 이집트 등 다른 이슬람 중견 국가들을 자극할 우려도 크다. 또한 이란 핵 활동을 막을 명분도 퇴색된다. 이스라엘 야당인 예쉬 아티드를 이끄는 야이르 라피드 전 총리는 “이스라엘은 사우디의 핵 농축에 동의해선 안 된다”며 “그것은 이란(핵 활동)에 대한 우리의 (반대)활동을 방해할 것이며 중동의 핵 군비 경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