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의회는 지난 4일 이태원 참사 100일째를 맞아 서울시청 앞에 시민 분향소를 기습 설치했다. 이후 서울시는 해당 시설을 규정상 허가할 수 없다며 지난 5일 두 차례의 계고장을 보내 자진 철거를 요청했으며, 철거하지 않으면 행정집행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이어 오 부시장은 “서울시는 유가족이 요구한 용산구청과 녹사평역 내부 중 가장 안정되고, 시설이 갖춰져 있는 녹사평역 역사 내를 제안했는데, 유가족 측이 갑자기 지난 참사 100일 추모제 직전에 기습·무단으로 분향소를 설치했다”고 서울시 측의 입장을 강조했다.
그러나 협의회는 이날 오후 서울시의 이러한 설명에 대해 반박했다. 협의회는 “협의회가 지난달 30일 공식적으로 세종로 분향소 설치를 요청했고, 서울시가 이를 불허한 후 ‘녹사평역 지하’로 통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녹사평역을 추모 공간으로서 지속적으로 협의해왔는데 갑자기 유족이 기습적으로 분향소를 설치했다는 서울시의 설명은 사실과 다르다”며 “이는 유가족들의 의사와 관계없이 분향소를 옮기라는 무언의 압박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협의회는 이태원 참사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을 다하지 못해 발생한 ‘사회적 참사’임에도, 서울시가 제대로 된 대화를 하고 있지 않다고 거듭 비판했다. 협의회는 “녹사평역 지하 4층을 던져주고 ‘받으려면 받고, 말려면 말라’는 식의 안하무인격 태도는 협의가 아니다”며 “국가가 참사로 희생된 이들을 추모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당연함에도, 선심을 베푸는듯한 태도로 나오는 것은 소통 의지가 없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서울시청 앞 분향소를 끝까지 사수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들은 “이태원 참사의 책임자 중 하나인 서울시가 최소한의 책임감도 없이 분향소에 ‘불법’ 딱지를 붙인다면 유족과 시민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