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울러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연금개혁을 시민들이 직접 공부하고 의사결정에 반영했다는 데에도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단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공론화 수행 전후 시민대표단이 선호하는 연금개혁 방향성이 바뀌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시민대표단은 1차 설문 조사 당시만 해도 재정안정론 44.8%, 소득보장론 36.9%를 각각 선택해 연금개혁 방향성은 ‘더 내고 그대로 받아야’ 한다고 응답했었다.
하지만 연금에 대해 스스로 학습하기 시작한 2차 설문조사에서부터 소득보장론이 50.8%로 13.9%포인트 오르며 재정안정론을 뛰어넘었다. 최종적으로 소득보장론은 시민대표단 56.0%의 동의를 얻었다. 숙의 과정을 점점 거치며 연금개혁에 있어 재정안정도 필요하지만 그보단 노후 소득보장 측면이 강화돼야 한다고 본 것이다.
김서중 성공회대 미디어콘텐츠융합학부 교수는 “기존 정책 결정 과정이 미디어를 통해 얕은 수준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개인의 목소리를 담아냈다면 이번 공론화를 통해서는 정확한 정보 제공을 받은 상태에서 자신의 의사를 결정에 반영한 것”이라며 “앞으로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숙의과정을 거친 정책결정이 많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이번 연금개혁은 복잡한 사안인 데다가 모수개혁부터 구조개혁까지 총망라됐으나 비교적 짧은 23일의 숙의과정을 거쳤다. 시민대표단이 선택해야 할 의제만 해도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인상 등을 비롯해 총 7가지에 달했다.
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연금개혁이라는 복잡한 사안을 일반 시민이 접근하기엔 비교적 짧은 시간이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숙의를 통해 연금개혁 방향성을 결정한 건 우리사회의 문제해결 방식에서 진일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