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최근 무인기 대응작전에서 식별된 작전 수행 체계의 취약점을 면밀히 분석해 현존 전력을 활용한 작전수행 체계를 신속히 보완하겠다”고 보고했다.
|
아울러 국방부는 필요시 우리 무인기 등 감시·정찰자산을 공세적으로 운용하겠다고 강조했다. 스텔스 무인기, ‘드론 킬러 드론’ 등 공세적 운용개념에 기반한 무인기 핵심기술과 체계 개발도 가속화 한다는 구상이다. 드론 킬로 드론은 적 드론을 레이저빔이나 총기 발사, 그물망 투하 등의 방식으로 격추하거나 떨어뜨리는 드론 체계다.
또 접적지역 전방에 대한 감시·식별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 대 드론 체계와 드론건 등 다양한 타격체계를 조기에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탐지 및 타격체계간 실시간 표적정보 공유와 통합 운용 체계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합동 드론사령부를 조기에 창설해 감시정찰·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 수행이 가능한 부대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전문가 토론에서 차도완 배재대학교 교수는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무인기 침투를 바라보는 국민의 시각을 소개하면서, 북한과 우리나라의 무인기 기술 수준 격차에 대한 정부의 평가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정상준 국방과학연구소(ADD) 박사는 “우리의 무인기 기술은 조만간 스텔스 무인기를 제작·양산할 수 있을 만큼 진전돼 있다”면서 “북한 무인기를효과적으로 탐지·식별·추적·격추할 수 있는 대응체계 발전을 위한 충분한 수준의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