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21일 보고서에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한 마디로 ‘인하 기대는 접어라’로 요약된다”며 “예상보다 강한 미국 경제를 기반으로 단기 중립금리 수준이 생각한 것보다 높을 수 있다는 근거를 기반 고금리 여건 장기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설명했다.
금리 점도표에 따르면 내년 금리 중간값은 5.1%로 6월 점도표보다 50bp 낮아졌다. 20205년은 3.9%로 125bp 인하가 유지됐다. 다만 전반적인 금리 인하 시점과 강도가 이연되는 결과가 도출됐다는 평가다.
이를 반영해 메리츠증권은 연준의 내년 금리 인하 시점을 2분기에서 3분기로 늦췄다. 금리 점도표상에 나타난 금리 인하 횟수는 4회였으나 이번엔 2회로 축소됐으나 메리츠증권은 내년 중 금리 인하폭이 100bp로 기존 전망은 유지했다. 4회 인하한다는 얘기다.
기자회견에서 가장 많이 나온 질문은 ‘왜 인플레이션 전망을 낮춰 놓고 금리 인하를 적게 하겠다고 하는 것’이었다. 이에 파월 의장은 “경기가 생각보다 강했고 중립금리가 원래 생각했던 것보다 높은 수준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 윤 연구위원은 “점도표 분포를 보면 내년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게 분화돼 있다”며 “특히 2025년은 그 정도가 매우 극단적으로 벌어졌다. 그럼에도 2026년 숫자는 다시 2%대까지 낮춰질 수 있는 정도, 그리고 중립금리 2.5%에 대한 무게 중심 자체는 아직 유효했다”고 평가했다. 2025년의 금리 점도표에 나타난 FOMC위원들의 금리 전망은 2.5~5.5% 수준까지 벌어져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 지연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점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윤 연구위원은 “미국 금리 인하 시점 지연 기대로 국내 통화정책 기대 또한 내년 상반기 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쪽으로 넘어갈 공산이 커졌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정책 기조 동조화를 감안, 한국 금리 인하 시점을 7월 정도로 이연한다”고 덧붙였다.
윤 연구위원은 “성장, 물가, 실업률은 예상했던 방향에서 크게 어긋나지 않았지만 연준의 점도표는 현재 예상을 큰 폭으로 상회해 상향 조정된 만큼 당분간 금융시장에 미칠 부담이 있다”며 “6월에도 예상보다 내년 점도표 기대가 상향 조정됐는데 당장 반영보다는 7~8월 지표 개선을 확인하고 적응했던 경험이 있는데 이번에도 10월까지 확인될 지표 영향에 따라 시장금리에 기대를 얼마나 녹일 것인지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