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안한 시장 환경에도 환율 개선되며 기대 이익이 상승할 것으로 판단했다. 원화 약세로 반조립제품(CKD) 손익 개선되고 수출 물량 증가로 매출 확대되며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올해 감익에 대한 우려 중 가장 큰 부분은 연말, 연초 원·달러 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라며 “2월 저점 이후 회복세 보인 환율 영향으로 CKD, PCC선 관련 매출액과 손익은 우려대비 개선세가 3분기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해운 벌크 단기 시황 악화와 컨테이너 운임 하락으로 물류 수익성 부담, 비철 트레이딩 손익 악화되나 완성차 선적 증가와 시황 호조, 유통 CKD 물량 증가와 달러 강세 영향으로 손익은 기대보다 개선될 것으로 봤다.
글로벌 자동차 수요 회복과 함께 물동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망 회복으로 올해까지 2020년의 완성차 생산·수출 감소분의 대부분 회복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한국, 일본, 중국 수출 물량 크게 늘며 극동발 해상 물동량 증가에 따른 자동차선 선복 수요는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글로벌 750대 규모의 자동차선은 환경 규제로 25년 이상 선박의 폐선이 가속화됨에 따라 2024~2025년 신조선 인도 전까지 선복 공급은 크게 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결국 2021년 이후 진행되고 있는 해상 물동량으로 선복 수요 증가와 달리 공급이 부족해 용선료와 운임이 높은 수준을 지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