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월 아파트 관리비가 역대급으로 나온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기존 난방비 인상에 더해 전기요금 인상분까지 반영돼 그렇다고 하는데요. 우리 집은 20년 된 구축 아파트인데 새 아파트보다 더 나온다고 하니 걱정입니다. 얼마나 부담이 커질까요?
|
문제는 전기요금입니다. 정부는 올해 1월부터 전기요금을 ㎾h(킬로와트시)당 13.1원 올렸는데요. 2차 오일쇼크 시기였던 1981년 이후 42년 만에 최고 인상 폭인 9.5%를 추가 인상했습니다. 가뜩이나 급등한 가스요금 때문에 속상한데, 전기요금마저 오른 관리비 고지서를 받아들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두려울 정도입니다.
전기요금의 경우 누진제가 적용되기에 더 아슬아슬합니다. 주택용 전기요금은 가스요금과 달리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요금이 비싸지는 구조인데요. 주택용 전기요금은 첫 200㎾h까진 112.0원이지만 △200~400㎾h는 206.6원 △400㎾h 이상은 299.3원이 됩니다.
이를테면 우리나라 평균 4인 가구(월 307㎾h 사용)의 요금부담은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5만7300원이지만, 올 겨울 추위에 전기 사용량이 107㎾h 늘어 407kWh를 썼다면 전기요금은 8만9600원으로 56% 가량 뜁니다. 사용량이 일정 구간을 넘어서면 체감 요금 인상률이 매우 커지는 구조인 거죠.
특히 20년 이상된 구축 아파트에 거주하는 분이라면 관리비는 신축 아파트 거주자보다 더 큰 폭탄을 맞을 수 있는데요, 발코니 새시 창과 낡은 배관으로 열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인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발코니 등 창에 단열 에어캡(뽁뽁이)를 붙이고 문풍지로 꼼꼼하게 싸매는 등의 단열 노력이 필요합니다.
한국에너지공단 관계자는 “구축 아파트의 경우 배관 내 녹이 슬어서 열효율이 새 아파트보다 떨어지고 또 창호가 낡아 단열이 잘 안돼 난방비가 더 나오는 경우가 있다”며 “이 경우 배관 청소나 창호 교체 등 단열에 힘쓴다면 좀 더 난방비를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이메일 : jebo@edaily.co.kr
- 카카오톡 : @씀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