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안 위원은 “방통위, 과기정통부, 문화부에 흩어져 있던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업무를 통합하지만 게임콘텐츠 부분은 (산업으로서의 특징이 많아) 과기정통부로가야한다.또,미디어커뮤니케이션위원회의 전제는 의사결정의 효율성 확보를 위해 독임제적 요소를 강화해야 한다. 위원장이 독자적으로 의사결정하는 부분을 늘리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정상 위원은 “이 과정에서 방통위 이용자정책국에서 하는 통신규제 업무인 단통법 위반 심사 등은 과기정통부로 이관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 방안이 민주당 상임위(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나 당 차원에서 논의된 건 아니다.
|
강 위원은 “정부조직을 짤 때 진흥과 규제를 분리하기 어렵다”며 “검토 중인 의견을 말하자면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의 한계가 공영방송 이사해임 등의 과정에서 여실히 드러나는 만큼 산업정책이 정치 문제에 걸려 통신(ICT)분야까지 발목 잡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니 공공성이 강한 것은 방통위가 맡고 통신은 과기부로 이양하는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이어 “융합 트렌드와 다르다는 지적도 있을텐데, 지금 상황은 정치적인 방송이 통신까지 발목 잡으니 정치적인 결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게다가 질의에 나선 시민단체 관계자가 양당 수석전문위원에게 “잘 안다면 꿀밤을 주고 싶다”고 언급하자, 강지연 전문위원이 “예의를 지켜달라”고 불쾌감을 드러내고, 김형일 극동대 교수와 강 위원 사이에 국민이 신뢰하는 방송 순위(JTBC 1위)에 대한 논란이 거칠게 제기되는 등 마치 국회에서 여야 정치다툼을 보는 듯 했다. 강 위원은 “여러분들도 (학자적 소신보다는 이념이나 정치 권력에 따라 움직이는)방송마피아의 일부”라고 날을 세웠다.
사회를 맡은 정인숙 교수는 “학회 토론회에 여러 지적도 있는데 다시 정부조직 개편 논의를 시작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두 위원님도 중간에 나가지 않고 끝까지 자리를 지켜 감사드린다”고 마무리했다.
유료방송 업계 관계자는 “미디어 분야 토론회 중 발제가 최악이었다”며 “사람마다 정치성향이 다른데 이를 인정하지 않고 학자들이 나서 과도한 국가주의를 언급하는 게 이해되지 않았다. 자본과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된 공영방송을 어떻게 만들지 논의하고, 나머지는 상업적 시장경쟁의 영역으로 남겨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