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26일 기자들과 만나 “일부 응급실에서 단축 운영 사례, 또 온전하게 운영되지 못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관리 가능한 상황이라고 이해하면 된다”며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정부가 다각도로 노력 중이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아직 응급실 마비 사태로 보긴 이르다고 진단한다. 전국 408개 응급의료기관 중 진료 시간이 제한되는 곳이 세 곳에 불과하다는 게 정부 근거다. 이 가운데 순천향대 천안병원과 천안 단국대병원은 다음 달 1일부터 정상화할 예정이고 세종 충남대병원도 조만간 해법을 찾으리란 게 정부 기대다. 정부는 응급실 마비를 피하기 위해 권역응급의료센터에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진료지원(PA) 간호사를 배치하고 응급실 전문의 진료 수가를 추가로 인상했다. 또 응급실을 이용하는 경증환자의 본인 부담액 상향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보건의료노조는 진료 정상화와 업무 범위 명확화,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29일부터 61개 사업장에서 총파업을 단행한다. 의사에 이어 간호사마저 병원을 비우면 의료 공백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 회동에서 “추석 기간 비상진료 체계 유지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병원의 의료 서비스가 마비될 상황은 아니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 서비스 마비가 발생하면 안 되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대책을 세우고 내일(27일) 관계장관회의도 총리 주재로 예정돼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