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계의 실질임금과 취업자 수를 곱한 가계 실질구매력은 2021년엔 전년비 3.5%, 작년엔 3.0% 증가했으나 올해는 0.7%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최저 수준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오태희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주택 경기 부진,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가 민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주요국 대비 상대적으로 클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정책금리를 더 큰 폭으로 올렸음에도 우리나라 주택 가격 하락폭이 미국보다 큰 것은 가계 자산 중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63.3%로 미국(23.9%)대비 큰데다 전세 제도로 인한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주택 경기 민감도가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오 과장은 “주택 경기 부진으로 역자산 효과 및 이주시 수반되는 가전, 가구 등 내구재 소비 위축이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소매판매지수는 실질 기준으로 작년 4분기 전년동기비 1.8% 떨어졌고 가전, 가구도 각각 13.3%, 17.9% 감소했다. 반면 미국은 소매판매지수가 0.6% 하락하는 데 그쳤다.
우리나라는 주택과 맞물린 빚들이 대부분인데다 가계부채 수준이 높고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커 금리 상승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도 큰 편이다. 오 과장은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은 상당기간 디레버리징을 경험했으나 우리나라는 이 기간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데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주요국을 큰 폭 상회해 높은 금리가 가구의 이자 비용에 빠르게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초과 저축이 쌓이고 있는 것은 소비 급랭을 막아줄 것으로 보인다. 작년 4분기 누적 초과 저축액(팬데믹 이전 추세 대비 더 많이 축적된 저축액)은 가구당 500만원 중반대로 2020년 1분기 10만원 초반대에서 급증했다.
오 과장은 “올해 민간소비 증가세가 전년에 비해 상당폭 둔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가계의 초과 저축 등을 감안하면 급격한 위축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중국 관광객 유입이 본격화될 경우 자영업자의 사업 소득 개선도 민간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