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경선 룰 변경에 사실상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 의원이 계속해서 거론되는 이유는 당 대표보단 최고위원을 둘러싼 기싸움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여론조사가 배제되고, 최고위원선거 지역 배분이 현실화될 경우 최고위원에 이름을 올릴 수 있는 친명계(친이재명계) 의원들이 많지 않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반영됐다는 것이다.
|
이에 대해 친문(친문재인)을 비롯한 기득권 세력이 이재명 의원에게 불리한 룰을 만드는 것이 아니냐는 취지로 친명계 의원들이 집단 반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불편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예비경선에서 여론조사를 반영하지 않기로 한 것에 대해 “당 대표 후보들의 경우 인지도가 높으니 문제가 없다”면서도 “열 몇 명이 나서는 최고위원 선거에서 (국민 여론조사가) 실무적으로 가능한지를 고민한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고위원 권역별 득표제’와 관련해 그는 “지도부 구성 원칙에 다양성이 있다”며 “최근 수년간 지도부를 보면 호남·영남·충청 등을 대표하는 최고위원이 없었기에 지역 여론을 반영하는 통로를 만들어보자는 취지”라고 전했다.
현재 약 10여명의 인물들이 최고위원 후보로 언급되고 있는데, 상당수 인물이 친명계로 분류괴도 있는 상황이다.
중앙위원의 구성이 특정 계파, 즉 친문(친문재인)계에 쏠려 있다는 게 김 의원을 비롯한 친명계 의원들의 판단이다. 김 의원은 “(중앙위원은)특정계파에 쏠려 있다라고 볼 수도 있고, 또 특정계파에 쏠리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룹 간에 짬짜미도 충분히 가능하다”며 “특히나 최고위원을 권역별로 투표한다라고 하면 해당 권역의 의원들끼리 이번에는 네가 나가고 다음에는 내가 너 밀어줄게라는 식으로 해서 출마자를 추려가지고 후보자를 내는 그런 식의 짬짜미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최고위원 선거 방식을 ‘지역 배분’이라는 명분을 두고도 강압적이라는 비판을 쏟아냈다. 김 의원은 “(지역안배는)논리적으로 근거가 없는 이야기다. 최근 몇 년 동안 호남·충청·영남권에 최고위원이 없었다라고 하면서 지역안배를 위해서 그렇게 했다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해당 권역 최고위원들이 다 있었다”며 “지역안배를 한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당원들이 가지고 있는 자유롭게 투표할 수 있는 권한을 이 권리를 이렇게 가장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방법으로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은 자유투표 원리에 맞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