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국은행은 중국 경제가 민간소비 중심으로 회복하는 반면 부동산 경기나 수출 경기는 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예측했다. 수출 부진은 올 하반기 이후에야 완화될 전망이다.
| 출처: 한국은행 |
|
한은은 19일 ‘리오프닝 이후 중국 경제 동향 및 평가’라는 제목의 해외경제포커스를 통해 “중국 정부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전년(5.5% 내외)보다 낮은 5% 내외로 설정했는데 이는 높아진 대외 불확실성과 정부부채 관련 우려 등을 반영한 보수적인 목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당국이 올해 경제정책방향에서 내수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선정한 만큼 민간소비가 중국 경제 회복세를 뒷받침할 전망이다. 실제로 작년 4분기 중 전년동기비 감소세를 지속하던 소매판매가 올 1~2월중 3.5% 증가 전환됐다. 외식 서비스, 화장품, 의류 등의 소비가 자동차, 통신장비 등 여타 소비와 차별화되면서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전체 소매판매 수준은 아직까지 팬데믹 이전 추세에는 미치지 못한다.
중국 당국이 인프라 및 하이테크 산업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한 만큼 인프라·제조업 투자가 당분간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1~2월 인프라, 제조업 투자가 전년동기 대비 각각 9% 8.1% 증가함에 따라 부동산 투자 감소(-5.1%)를 상쇄하고도 남았다. 이에 따라 고정자산 투자는 5.5% 증가했다.
반면 부동산 경기와 수출 부진은 올 하반기 이후에나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 역시 회복 시점, 회복 강도의 불확실성이 큰 편이라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수출은 리오프닝 이후 공급망 제약이 일부 완화되면서 작년 11~12월에 비해 감소폭이 축소됐으나 여전히 부진했다. 작년 겨울 폭스콘 정저우 공장 가동 중단 등의 사태는 해소됐으나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섬유 및 의복, 가구 등의 소비재 수출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반도체 등 IT중간재, 자본재 수입이 크게 줄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반도체 수출 감소에서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화장품, 플라스틱 수입도 감소했다.
부동산 시장 역시 작년 11월 종합부양책 도입 및 리오프닝 효과 등으로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가격이 회복됐으나 부동산 투자나 매매 등 여타 주요 지표는 감소세가 지속됐다. 한은은 “중국 부동산 가격 및 판매가 부동산 투자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4~5개월 이상 시차가 소요되는 것으로 평가돼 파급시차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3선도시 중심의 공급과잉 및 당국의 공동부유 정책 기조 등을 감안하면 부동산 시장의 반등세가 크게 나타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노무라, JP모건 등은 이번 양회 정부 업무보고에 ‘주택은 투기의 대상이 아니다’는 문구는 없었지만 이는 정책 기조 변화가 아니며 전면적인 부동산 시장 부양조치 도입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