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창준 인지·사회성 연구단장 연구팀이 김형일 광주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팀과 ‘별세포’의 이상변화가 뇌졸중 후 발생하는 기능해리의 핵심 요소라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8일 밝혔다.
|
연구팀은 지난 연구에서 뇌 백질부에 뇌졸중이 발생하면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인 운동피질 부위에 점진적인 손상인 초미세 신경 변성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신경 변성 부위에서 뇌 신경세포의 한 종류인 별세포가 다른 신경세포의 활성과 대사를 억제해 기능해리를 일으키는 원리를 규명했다.
이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중풍 등 다양한 뇌질환의 원인이다. 반응성 별세포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를 과도하게 분비해 주변 신경세포의 활성과 대사를 억제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연구팀은 반응성 별세포가 뇌졸중의 병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백질부에 뇌졸중을 유도한 생쥐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멀리 있는 운동피질에 가바가 과생성돼 뇌 기능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창준 단장은 “뇌졸중뿐 아니라 편두통, 뇌종양, 뇌염 등 다양한 뇌질환에 동반되는 기능해리 유발 원리를 규명했다”며 “별세포 조절로 다양한 뇌 질환 후유증 치료에 새길을 열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셀 리포트(Cell reports)’ 온라인 판에 8일 0시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