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이재명 테마주’ 오리엔트바이오 上…현금난 우려 헬스케어株 ‘약세’[바이오 맥짚기]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30일 국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섹터에선 오리엔트바이오(002630), 셀루메드(049180)가 상한가에 도달했다. 오리엔트바이오(002630)의 경우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된 주식으로, 정치적 이슈로 인해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셀루메드(049180)는 주사제형 피부이식재 개발 완료 호재가 주가를 끌어올렸다. 라이프시맨틱스, 젠큐릭스는 현금 확보 관련 우려에 주가가 각각 전일 대비 11.32%, 11.06% 떨어졌다.30일 코스닥 종목 주가 하락 순위(자료=KG제로인 엠피닥터)◇‘이재명 테마주’ 오리엔트바이오 上KG제로인 엠피닥터(MP DOCTOR·옛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젠큐릭스는 전일 대비 357원(30%) 오른 1547원에 거래를 마쳤다. 오리엔트바이오는 이재명 대표가 과거 오리엔트정공 계열사인 오리엔트시계의 시계 공장에서 소년공으로 일한 이력이 있다는 점 때문에 ‘이재명 테마주’로 엮인 종목이다. 같이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돼 있는 오리엔트정공도 이날 810원(13.92%) 올랐다.30일 오리엔트바이오 주가 추이 (자료=KG제로인 엠피닥터)이날 공조수사본부가 내란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체포 영장을 청구하면서 이재명 테마주가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직 대통령에 대한 체포 영장 청구가 이뤄진 것은 헌정 사상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18일과 25일 1·2차 출석 요구에 이어 전날 오전 10시까지였던 공조본 3차 출석 요구에도 불응했다.국내 증시는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 테마주의 변동성이 높아진 상태다. 정치 테마주는 해당 기업의 실제 사업이나 실적과 무관하게 주가가 움직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주의할 필요가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3일 정치 테마주 관련 특별 단속반을 가동하고 집중 감시에 나선다고 밝히기도 했다.◇셀루메드, 주사제형 피부이식재 개발 완료 소식에 上셀루메드는 이날 주사제형 피부이식재인 무세포동종진피(Acellular Dermal Matrix, ADM) 신제품 ‘셀루덤 젠’(CELLUDERM GEN) 개발을 완료했다는 소식에 장 초반부터 상한가로 직행했다. 셀루메드의 주가는 오전 9시 7분 전일 대비 583원(29.79%) 급등한 2540원에 도달한 이후 장 마감할 때까지 상한가를 유지했다.셀루메드는 의료기기, 바이오,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이다. 셀루메드는 올해 9월 신제품 ‘셀루덤 필’(CELLUDERM FILL)을 개발한 데 이어 셀루덤 젠까지 개발을 마치면서 셀루덤 시리즈 5종 구축을 완료했다. 회사는 본격적인 상업화를 위해 내년 초부터 생산시설 점검과 시제품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부터 관련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셀루메드 관계자는 “셀루덤 젠은 유방재건 등의 수술에 주로 사용되는 셀루덤 필과는 다르게 입자가 작아 퇴행성 관절염 통증 완화, 관절 주사 등 간단한 시술에 사용이 가능하다”며 “상업화 시 즉시 매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현금 여력 적신호 켜진 라이프시맨틱스·젠큐릭스 ‘약세’반면 현금 여력에 적신호가 켜진 헬스케어업체들의 주가는 약세를 보였다. 이날 라이프시맨틱스, 젠큐릭스는 현금 확보 관련 우려에 주가가 각각 전일 대비 11.32%, 11.06% 떨어졌다.라이프시맨틱스의 경우 이날 제3자배정 유상증자 대금 43억원 납입 공시가 늦어지자 자금난 우려에 주가가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라이프시맨틱스의 현금성자산은 올해 3분기 말 기준 51억원으로 최근 3년간 평균 연간 영업비용이 107억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자금 조달이 시급한 상황이었다.라이프시맨틱스는 지난달 7일 운영자금을 마련하고 재무구조 개선 등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이후 제3자배정 대상자가 2번 변경되고, 조달자금도 45억원에서 43억원으로 축소됐다. 납입일도 12월 20일에서 30일로 지연됐다.이날 장 중 증권 발행결과 공시가 나오지 않자 일각에서는 유증 대금 납입이 지연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라이프시맨틱스는 이날 오후 4시 46분 증권 발행 결과를 공시하면서 이 같은 우려를 뒤늦게나마 불식시켰다.자회사 매각 이슈로 지난 26일, 27일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던 젠큐릭스는 다시금 현금 추가 조달 우려가 부각되면서 주가가 전일 대비 245원(11.06%) 떨어진 1970원이 됐다.젠큐릭스는 올해 3분기 말 기준으로 현금성자산이 3억원에 불과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자회사 나노바이오라이프를 56억원에 매각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현금난을 해소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젠큐릭스는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그러나 계약 내용을 살펴보면 매각 대금 중 15억원은 주식으로 교환하고 41억원을 현금으로 받게 된다. 특히 현금을 내년 2월 28일부터 2026년 12월 24일까지 5회에 나눠서 받게 되는데 일정상 내년 1분기 말까지 유입되는 현금은 10억원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현금을 추가적으로 조달하지 않으면 운영을 지속하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업계 관계자는 “바이오·헬스케어업체들이 투자 시장에 한파가 불면서 현금이 고갈된 곳들이 많다”며 “올해 겨우 넘기더라도 내년에 또 고비를 맞이하는 업체들이 많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 이재명,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35% 압도적 1위
- [이데일리 김한영 기자] 차기 대선 후보 선호도를 묻는 신년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5%를 얻으면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7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항의하는 동안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안에 투표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중앙일보가 여론조사 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12월 29일부터 30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면접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표의 지지율은 35%를 기록했다. 그 뒤로 홍준표 대구시장이 8%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6%를 기록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은 각각 5%, 우원식 국회의장은 4% 지지율을 보였다.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김동연 경기도지사,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각각 2%로 나타났다. 적합한 후보가 없다고 밝힌 응답자는 19%에 달했다. 이 대표는 진보층을 포함해 중도층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중도라고 밝힌 응답자의 38%가 이 대표를 지지하면서다. 보수색채가 강한 지역에서도 이 대표 지지율이 우세했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21%, 부산·울산·경남에서는 33%가 이 대표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지지 정당 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의 71%가 이 대표를 지지하는 쏠림 현상이 관측됐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범진보 진영 후보들의 지지율 합은 44%, 범보수 진영은 33%를 기록했다. 정당지지도도 이와 비슷하게 민주당 44%, 국민의힘 29%,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3%로 나타났다.‘보수 진영 후보 중 누가 낫느냐’는 질문에는 유승민 전 의원(13%), 홍준표 대구시장(11%),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9%), 김문수 장관과 이준석 의원(각 5%), 오세훈 시장과 안철수 의원(각4%)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40%였다.범진보권 지지도는 이재명 대표(35%),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7%), 김동연 지사와 우원식 의장(각6%), 김부겸 전 국무총리(4%)순으로 조사됐다.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33%를 기록했다.이번 여론조사의 응답률은 15.3%이고, 오차범위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 `1987년 헌법 수명 다했다`…4년 중임제 VS 내각책임제
- [이데일리 김유성 이배운 황병서 기자]“1987년 헌정 체제는 수명을 다했다.” 이데일리는 새해를 맞아 정치평론가와 정치학·법학자 등 12명에게 ‘한국 정치가 가야 할 길’을 물었다. 이들 모두 ‘개헌’을 필요한 과정 중 하나로 꼽았다. 1987년 헌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5년 단임 대통령제’의 효력이 다 됐다는 의견이다. 대통령제 개편을 놓고는 전문가들 각자 다른 의견을 냈다. 대통령 임기를 1년 깎는 대신 연임을 가능하게 한 ‘4년 중임제’와 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내각책임제가 팽팽하게 맞섰다. 12명 중 5명이 4년 중임제를, 5명이 내각책임제를 지지했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4년 중임제, 대통령 중간 평가 가능” 4년 중임제를 찬성한 측은 대통령에 대한 ‘중간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었다. 대통령 임기 중 총선과 맞물리면 2년마다 총선과 대선으로 국민의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4년 동안 재임하도록 한 뒤 성과가 나쁘면 교체하고, 좋으면 4년 더 재임하도록 하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5년 단임제 대통령이 정책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점도 단점으로 거론됐다. 신봉기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대통령 단임제 하나만 개선돼도 (정책) 예측 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내각책임제가 아직은 한국 정치에 맞지 않다는 의견도 나왔다. 4년 중임제가 우리 사회에 더 걸맞다는 얘기다. 이호선 국민대 법학과 학장은 “내각책임제는 책임 없이 권한만 있는 소통령 300명을 만들 수 있다”면서 “이들의 야합은 조선시대에 볼 수 있었던 기득권 카르텔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원집정부제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있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석열 대통령, 이재명 총리와 같은 조합을 생각해 보라”면서 “국제적인 행사 등에서 우리 정부가 일관된 목소리를 내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각책임제, 여소야대 혼란 방지” 내각책임제를 찬성한 전문가들은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제 하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여소야대 상황이 정국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소야대 국면에서 일어났던) 탄핵 때마다 우리 사회는 지독한 분열을 겪어야 했다”면서 “이번 윤석열 대통령 탄핵 때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 소장은 “총선에서 승리한 정당이 정국을 주도하는 내각책임제는 여소야대와 같은 이중권력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실질적 다당제를 정착시킬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황도수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내각책임제가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하나는 총선 전 각 정당이 총리 후보를 제시하고 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점, 다른 하나는 의원들끼리 국회를 함부로 해산하고 총선 시기를 결정하지 못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4년 중임제의 한계를 지적하는 의견도 나왔다. 윤태곤 더모어 정치분석실장은 “4년 중임제는 대통령 권한만 강화시킬 것”이라고 말했고, 이강윤 정치평론가는 “이승만부터 전두환·노태우에 이르기까지 독재의 길을 피하지 못했던 이유는 대통령에 권력과 권한이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5년단임제가 더 났다?”4년 중임제, 내각책임제가 5년 단임제보다 더 나을 게 없다는 분석도 있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 소장은 “4년 중임제는 현재 대통령 중심의 권력 구조를 더 강화시킨다”면서 “(분권형 권력구조를 요구하는) 시대적 요청과 배치된다”고 말했다. 또 최 소장은 “내각책임제가 실행됐다고 가정했을 때, 한국 정당의 (정책 입안) 수준이 관료보다 우월하다고 보기 힘들다”면서 “이원집정부제도 ‘이중권력의 제도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장영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대통령제와 내각책임제를 반씩 섞는 방식을 제안했다. 그는 “대통령은 외교·국방처럼 지속·안정성이 필요한 분야를 한정해 맡고, 의회와 협력이 필요한 부분은 총리가 담당하면 된다”고 말했다.
- [사설]한국호 희망 찾기, 새 정치에 길 있다
- 을사년 새해를 맞는 대한민국의 처지는 칠흑 같은 어둠 속 밤바다의 작은 배 신세다. 엔진은 거의 꺼진 채 거친 파도에 이리 쏠리고 저리 흔들린다. 거센 폭풍우가 예고돼 있지만 선장은 키를 놓았고, 선원들은 패싸움에 여념이 없다. 승객들이 배를 바로 몰라고 비명을 질러도 싸움은 그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본분을 망각한 채 위기를 위기로 보지 않은 탓이다. 승객을 ‘국민’으로, 선원들을 ‘정치인’으로 말만 바꾸면 표현에 틀린 구석이 없다.여소야대의 극한 대치 속에서 갑진년 한 해를 갈등과 분열로 허송한 한국은 지금 절체절명의 기로에 섰다. 윤석열 대통령은 “고도의 통치행위”라고 강변했지만 12·3 비상계엄이 헌정사에 남긴 오욕과 충격은 나라와 기업, 국민의 일상을 단숨에 정상 궤도에서 끌어내렸다. 반(反)민주적, 비이성적 조치를 목도한 세계는 신뢰를 접었고, 글로벌 자본은 탈한국에 시동을 걸었다. 12월 3일 1402.90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27일 1487원대로 치솟은 데 이어 1500원대를 넘보고 있다. 15년 9개월 만의 최고치다. 비상계엄 후 지난 27일까지 외국인들이 팔아치운 국내 주식(코스피 시장)이 약 3조 4000억원에 달한 가운데 ‘국가 보증수표’인 국채마저 관심권 밖으로 밀려났다. 이들이 던진 국채는 같은 기간 총 17조 1180억원어치나 됐다. 국제 신용평가사의 한국 신용등급 하방 경고가 나온 상황에서 수치로 확인된 ‘엑시트 코리아’의 전조다. 수출액 6223억달러(올 1~11월)로 세계 6위에 오르고, 외환보유액에서 9위(4154억달러)를 마크한 한국이 졸지에 ‘위험한 나라’ 신세가 된 것이다. 시련과 도전은 더 거칠고 험난해질 것이 분명하다. 무엇보다 20일 후 출범할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 전선에 특급 태풍을 몰고 올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언한 지 오래다. 산업연구원은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경우 대미 수출이 9.3%~13.1%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역협회 역시 한국의 13대 수출 품목 중 절반가량인 6개 품목이 내년에는 역성장이나 정체를 면치 못할 것이라며 겪어보지 못한 위기를 알리고 있다. 요동치는 환율과 위태로운 대외신인도, 수출 전선의 역풍이 외환(外患)이라면 내우(內憂)는 얼어붙은 내수와 닫히는 기업 투자다. 한경협이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2025년 1월 전망치가 84.6으로 전월대비 12.7포인트나 하락했다. 2020년 4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BSI는 2022년 4월 이후 34개월 연속 부진을 면치 못하면서 역대 최장 기록을 다시 쓰고 있다. 국격을 추락시키고 국민을 위기로 내몬 주역이 국론을 갈라치고 갈등, 분열을 부추긴 정치인들이라는 점에 이의를 달 국민은 거의 없을 것이다. 무차별 탄핵과 특검 공세, 입법 폭주로 윤 정부를 궁지에 몰아넣었던 야당 또한 정부·여당의 증오와 적개심을 부추긴 책임을 면키 어렵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탄핵하면서 “한 대행의 담화 때문에 또다시 주가가 떨어지고 환율이 치솟았다”고 말했지만 황당하기 짝이 없다.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우리 경제와 민생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를 감당할 수 없다”고 국무위원을 대표해 당시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호소한 것과 어쩌면 이토록 정반대 인식인가. 정치학자들 사이에서는 우리 정치가 야수의 수준으로 전락했다는 절망적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정치권의 회개와 환골탈태가 시급하다는 죽비다. 정치인들은 결자해지의 각오를 보여야 한다. 한국의 최대 위기는 갈등과 분열을 먹고사는 못된 정치 탓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조금이라도 죄책감을 느낀다면 대화와 협치로 위기 극복에 앞장서는 모습을 보이기 바란다. 정치권의 새바람이 을사년 희망 찾기의 시작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