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관리단 설치는 입법 예고 단계부터 법무부를 무소불위의 권력 기관으로 만드는 것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였다. 한 장관이 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데다 검찰을 지휘·감독하는 법무부에 인사 검증 기능까지 추가하면 검증 자료가 향후 수사에 활용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것이다.
아울러 인사 검증 업무 프로세스에 검찰 출신 인사들이 대거 포진했다는 점에서도 검찰 편중 인사 우려가 나왔다.
|
박 단장이 호남 출신인 것도 주목할 만하다. 윤 대통령은 그동안 ‘서울대 출신, 50대, 남성’에 편중된 인사를 단행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이후 여성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불러들이는 등 성비 불균형 개선에 나섰지만, 호남 출신 인사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정부 공직자 인사 검증을 총괄하는 관리단장에 호남 출신을 기용해 지역 균형을 꾀한 것 아니냐는 게 법조계의 분석이다. 아울러 관리단은 한 장관에게 중간 보고를 하지 않고, 차이니스 월(Chinese Wall)을 통해 부서 간 정보 교류를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법조계 관계자는 “검찰과 전혀 인연이 없는 인사 전문가를 발탁함으로써 일단 검찰 장악 논란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며 “인사 업무는 높은 전문성과 특유의 경험이 요구되는 만큼 수사 전문인 한 장관이 사적인 목적을 갖고 박 단장의 업무에 개입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관측했다.
관리단 사무실도 물리적으로 분리했다. 정부과천청사에 있는 법무부 건물이 아닌 서울 종로구 삼청동 감사원 별관을 쓰기로 했다. 과거 인사 검증 업무를 하던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실 산하 인사검증팀이 쓰던 사무실이다. 관리단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법무부 등 타 부서와의 정보 공유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사례를 참고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공수처가 입주한 정부과천청사 5동은 행정부가 관리하는 공간이라 출범 이전부터 공수처의 독립성을 해칠 수 있는 입지라는 논란이 제기됐다. 게다가 별도 지하 주차장이나 출입구가 없어 보안이 지켜지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단 관리단의 첫 과제는 첫 검증 대상으로 거론되는 차기 경찰청장 인선 작업이다. 내달 23일 임기가 만료되는 김창룡 경찰청장 후임 인선을 원만하게 마무리할 수 있느냐 여부가 관리단 연착륙의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법조계 관계자는 “문재인 정권은 부적격 논란이 있는 인사도 ‘검찰 개혁 적임자’라는 명분으로 임명을 강행했고 결국은 연이은 인사 실패로 민심의 역풍을 불러왔다”며 “윤석열 정권 역시 이를 반면교사 삼아 인사의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인사 참사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