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일본은 강제징용, 강제노동의 ‘강제성’조차 부인하고 있다”며 “피해자가 왜 가해자의 마음을 열어야 하는가”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가해자가 피해자의 마음을 열어야 하는 상황을 피해자가 가해자의 마음을 열어야 하는 상황으로 전도시켜 놓고 이것을 외교적 성공이라 자랑하니 어이가 없다”며 “웬만하면 입 닫고 있으려 했는데 한심해서 한마디 한다. 과거사에서 일본이 가해자, 우리가 피해자였다는 역사의 진실은 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소미아, 한미일 안보협력, 쿼드, 칩4동맹, 수출규제 등 경제와 안보에서는 우리의 국익을 기준으로 협력하면 된다”며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는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만 생각해서 대처하면 된다”고 역설했다.
그는 “‘닥치고 반일’도 안되지만, 역사를 부정하는 ‘친일’도 안된다”며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대일외교에서 지켜야 할 선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길 바란다. 우리가 그 선을 지키고 일본도 그 선을 지킬 때 비로소 한일관계가 ‘정상화’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