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인 영국 메가 팝 아티스트 필립 콜버트는 지난 24일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혔다.
필립 콜버트는 ‘랍스터’ 하나로 전 세계 미술계를 올킬한 영국 팝 아티스트다. 메가 팝아트의 개척자이자 차세대 앤디 워홀로 불린다. 랍스터 비롯한 해산물을 페르소나로 삼아 회화, 조각, 미디어아트, 메타버스 등 다양한 예술 분야를 넘나들고 있다.
매년 한국에서 개인전을 열며 한국 팬을 만나온 그는 올해 메이필드 호텔에 전시를 결정하며 다시 한국을 찾았다.
메이필드호텔은 개관 20주년을 맞아 ‘Beyond the field:야외조각전’을 진행하고 있다. ‘아트 특화 호텔’로 나아가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이곳에서는 랍스터를 페르소나로 삼아 창작 세계를 선보이는 필립 콜버트의 재치있는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그는 “나는 자연을 사랑한다. 랍스터를 비롯한 해산물은 자연과 밀접한 관계 갖고 있는 생명체이고, 랍스터는 나 자신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세상에 해학의 메세지 전달하고자 한다”고 했다. 그가 랍스터를 비롯한 해산물을 먹지 않는 것도 자연과 그를 동일시하는 이러한 철학에서다.
그가 수 많은 대기업들을 제치고 메이필드 호텔과 협업한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강서구에 위치한 메이필드 호텔은 자연에 녹아들어 있다. 호텔의 모든 길에는 숲이 울창하게 우거져있어 도심 속 정원같고, 10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부지엔 다양한 동물들이 공생하고 있다. 호텔 직원들이 동물들에게 이름을 붙여주고 돌볼 정도다.
예술의 문턱을 낮추겠다는 의도도 있다고 했다. 만일 랍스터를 주제로 심오하고 어렵게 풀어냈다면, 이 정도로 대중에게 큰 반향이 있었을까. 그의 작품엔 농담을 건넬 것 같은, 애니메이션 캐릭터 같은 유쾌함과 생동감이 담겨 있다.
그는 “예술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으로, 모든 사람들이 접근하기 쉬워야 한다”며 “다양한 원색으로 풍자적인, 해학적인 면을 담아내 사람들이 좀 더 친근하게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의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슬로건이 ‘애니원 캔 두 애니씽(Anyone Can Do Anything, 누구나 무엇이든 할 수 있다)’인 이유도 그것이다.
필립콜버트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예술의 영역을 확장하는데도 노력하고 있다. NFT 발행 등이 대표적이다. 그는 “디지털 세상은 예술의 새로운 영역의 발전”이라며 “메타버스 등을 통해 새로운 장르로 넓혀가면서도 그 안에서 자신만의 언어를 계속 만들어내는 것이 예술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생각하기에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