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종합의료시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영 기준`을 6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종합병원 증축 시 용적률을 완화해주는 `도시계획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7월 관련 조례를 개정해 법적 근거를 만든 데 이어 실제 실행을 위한 세부 가이드 라인을 마련한 것이다.
|
시는 이번에 마련한 제도를 통해 용적률이 부족한 21개 병원이 모두 증축을 할 경우, 음압격리병실·중환자 병상·응급의료센터 같은 시설이 지금 보다 2~3배 확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확보되는 공공 필요 의료시설은 총 면적 약 9만 8000㎡에 달한다. 이는 종합병원 2개를 새로 짓는 것과 맞먹는 효과다.
|
시는 민간 종합병원이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공공병원이 `취약 계층 보호`라는 본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코로나19 같은 위기 상황에서는 서울 시내 전체 의료 인프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간 종합병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면서 “종합병원 증축을 시가 도시계획적으로 전폭 지원함으로써 예측 불가능한 위기 상황을 준비하는 공공 의료 인프라를 확충, 공공 의료 역량을 한 단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