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권교체기였던 지난해의 경우 문재인 정부가 3월 2023년도 지침을 내놓은 뒤 5월 윤석열 정부가 추가 지침을 발표하는 식으로 방향성이 수정됐다. 집권 2년차를 맞이한 올해 발표될 지침에는 현 정부의 색깔이 온전히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새 정부 출범 직후 기재부는 재량적 지출을 총액 대비 10% 이상 의무적으로 줄이라는 추가 지침을 각 부처에 내려보냈다. 이전 정부보다 더 강력한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건전 재정’을 확립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예산안 규모는 전년 대비 5.1% 늘어난 639조원으로, 문재인 정부 집권 5년 평균 증가율인 8.7%를 크게 밑돌았다.
올해도 효율적인 지출을 강조하는 기조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재부가 지난해 작성한 ‘2022~2026년 중기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정부 예산 증가율은 2024년 4.8%로 내려간다. 다만 내년 4월 예정된 총선이 변수로 남은 상황이다.
다음은 기재부, 통계청, 국세청, 한국개발연구원(KDI), 조세재정연구원(KIPF) 주간 주요 일정 및 보도 계획이다.
주간 주요 일정
△27일(월)
14:00 법제사법위원회(1차관, 국회)
△28일(화)
10:00 국무회의(장관, 용산청사)
10:00 국가산단 후보지 현장방문(2차관, 비공개)
10:30 콘텐츠 산업 현장방문(1차관, 비공개)
14:30 중앙안전관리위원회(2차관, 비공개)
15:00 2030 자문단 정책제안발표회(1차관, 비공개)
△29일(수)
10:00 인구위기 특위(1차관, 국회)
09:30 제2차 재정성과점검회의(2차관, 비공개)
13:00 민자사업 현장방문(2차관, 비공개)
15:00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2차관, 비공개)
△30일(목)
09:30 공공기관 투자집행 현장방문(2차관, 비공개)
14:00 본회의(장관, 국회)
14:00 공공수요발굴위원회(2차관, 비공개)
△31일(금)
08:00 비상경제차관회의(1차관, 서울청사)
10:0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장관, 비공개)
10:00 복권기금 지원 현장방문(2차관, 비공개)
14:30 기재부-한국개발연구원 세미나(장관, 비공개)
△1일(토)
주간 보도 계획
△27일(월)
12:00 KOSTAT 통계플러스 2023년 봄호 발간
△28일(화)
10:00 「2024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지침」 수립
10:00「2023년도 조세지출 기본계획」 수립
11:00 최상대 2차관, 국가산단 후보지 현장방문
12:00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
14:00 방기선 1차관, 콘텐츠 산업 현장방문
14:30 ‘아세안+3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 참석
16:30 기재부 2030 자문단 정책제안발표회 개최
△29일(수)
11:00 이달의 협동조합-협동조합 농부장터
12:00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기업생태 분석지도 개시
12:00 한국의 SDG 이행현황 2023
17:30 민자사업 현장방문 및 2023년 제1회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개최
△30일(목)
06:00 재정포럼 2023년 3월호
11:30 공공기관 투자집향 현장방문
12:00 가명결합을 통한 지역관광특성분석
12:00 2022년산 논벼(쌀) 생산비조사 결과
14:00 ‘개혁, 그리고 재도약’ KDI, 국가미래전략 컨퍼런스 개최
14:30 통계데이터 제주센터 개소
15:30 ‘23년 제1차 공공수요발굴위원회 개최
17:00 ’23년 4월 국고채 발행계획 및 3월 발행 실적
△31일(금)
08:00 2023년 2월 산업활동동향
08:30 제20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개최
09:00 2023년 2월 산업활동동향 및 평가
10:00 2023년 2월 국세수입 현황
11:00 ‘한중일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 및 ‘아세안+3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 결과
12:00 KDI 북한경제리뷰(2023. 3)
14:30 복권기금 지원 현장 방문
17:30 추경호 부총리, 한국개발연구원과 정책 세미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