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교수는 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한국환경연구원(KEI)가 주최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정책의 방향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포럼에서 “기후변화 완화 분야(WG3) 평가보고서의 핵심은 정책, 금융, 기술 3가지 중요한 수단을 어떻게 조화하느냐에 따라 1.5도 목표 달성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 보고서의 메인 메시지”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1.5도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부분은 해석의 영역으로, 달성이 어려우니 힘들 것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열심히 해야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정책당국자의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21세기 이내에 지구온난화를 1.5도 이내로 제한하려면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43% 줄여야한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각국이 현재 유엔에 제출한 2030년 감축목표로는 1.5도 제한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정 교수는 “에너지 부분에 탄소포집저장(CCS)가 생각보다 빨리 진행되고 있어 이번 보고서에서 특히 강조됐다”며 “이는 기술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 “6차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수요자 사이드에서 싼 비용으로 탄소를 줄일 수 있다는 메시지가 나왔다”며 “수요부문에서 2050년까지 최대 70%로 감축가능하며, 이는 매우 저렴한 비용”이라고 강조했다.
기후금융과 관련해서는 “기후투자에는 3~6배의 돈이 더 필요하지만 돈이 기후쪽으로 잘 오지 않는다”며 “많은 장애물이 있으며, 그 중 금융부문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평가를 잘 못하고 있는 것이 큰 장애물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민간 섹터뿐만 아니라 공공 섹터에서 기후투자에 대한 지속적인 시그널을 줄지 여부도 중요하다”며 “정책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조정(coordination)”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