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전기차 직영 정비센터(AS) 운영 여부와 충전 인프라 설치 실적, 주행거리 등 배터리 성능에 따라 보조금 규모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직영 정비센터가 없는 수입차의 경우 보조금이 종전보다 최대 20% 삭감되면서 국산차와 수입차의 보조금 간극은 최대 140만원까지 벌어질 전망이다.
|
다만 기존 600만원이었던 성능보조금(주행·연비보조금)은 중·대형 승용차를 기준해 6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줄였다. 대신 지원 물량은 전년 대비 31% 늘어난 21만5000대로 늘렸다. 또 차급에 따른 가격차를 고려해 소형·경형의 경우 400만원을 신설하고, 초소형 전기승용은 400만원에서 350만원으로 감액했다.
이번 개편안에서 주목할 점은 직영 AS 운영 여부에 따라 성능보조금이 최대 20% 차등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자동차 제작사가 직영서비스센터를 운영하고 정비이력 전산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면 ‘사후관리체계 1등급’으로 보조금이 100% 지급된다. 협력업체를 통해 서비스센터를 운영하고 전산시스템이 존재하면 2등급으로 90%, 직영이든 협력이든 서비스센터는 있는데 전산시스템이 없으면 3등급으로 80%가 지급된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5’는 벤츠와 BMW 등 수입차 업체의 전기차보다 최대 100만원 이상 보조금을 더 받을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수입차들은 국내에서 직영이 아닌 협력업체를 통해 서비스센터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직영 AS 센터가 없는 벤츠, BMW, 아우디, 폭스바겐 등의 업체들은 국내 완성차 업체에 비해 보조금을 덜 받게 돼 불만이 있을 것”이라면서 “다만 당초 환경부가 성능보조금을 50% 차등하려다 수입차 업계 반발로 그 폭을 줄였다는 점에서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기버스의 경우 배터리밀도에 따라 보조금이 달라져 최근 국내시장을 장악한 중국산 버스에도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 배터리밀도가 1L당 500kW(킬로와트) 이상이면 성능보조금(대형 6700만원·중형 4700만원)이 100% 지원된다. ‘500kW 미만 450kW 이상’이면 90%, ‘450kW 미만 400kW 이상’이면 80%, 400kW 미만이면 70%만 준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버스에는 일반적으로 밀도가 1L당 400kW 미만으로 낮은 리튬인산철(LFP)배터리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아 지원혜택이 상대적으로 불리하게 됐다”며 “다만 보조금 제도는 국민 세금이 들어가기 때문에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목적도 있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