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년간의 노력이 결실을 이루며 역사적 합의라는 평가도 나왔지만, 선진국 기금 기여도에 대한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의 반발에도 주최 측이 타결을 강행했다는 논란도 나왔다.
환경부와 주요 외신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23개 보전 목표를 담은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전략계획인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가 채택됐다.
이는 앞선 2011~2020 아이치(Aichi) 생물 다양성 목표를 대체하게 된다. 아이치 목표는 전반적으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목표 20개를 모두 충족한 나라는 없었다. 환경부는 이에 대해 “당사국들은 이행 수단의 부족과 사회 전 분야의 행동을 이끌어내지 못한 점으로 분석했다”고 전했다.
이번 협약의 가장 야심찬 목표로 2030년까지 전 지구적으로 육상 및 해양의 최소 30%를 보호지역 등으로 보전·관리하는 내용에 만장일치로 합의했다. 비르기니우스 신케비치우스(Virginius Sinkevicius) EU 환경 위원은 “지금 우리는 이 문구에서 거대한 성과를 얻었다”고 타결 직후 기자들에게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세계 각국은 공공과 민간 재원을 통해 이러한 보전 노력을 위해 연 2000억 달러(약 260조8000억원)를 조달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선진국들은 2025년까지 매년 최소 200억 달러(약 26조1000억원)를, 2030년까지 매년 최소 300억 달러(약 39조1000억원)를 각각 내야 한다.
그러나 개도국들은 선진국들의 재정 기여가 너무 작다고 반발했다. 총회 의장인 황룬추 중국 생태환경부장은 열대우림국가 콩고의 반발을 무시하고 타결을 선언해 논란이 나오기도 했다.
민간 기업들도 회사 경영이 생물다양성 문제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분석해 보고할 것을 의무화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에 따라 대규모 기업과 금융기관들은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자연에 대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회사 경영, 공급망, 포트폴리오에서 관련 내용을 보고해야 한다. 다만 초안의 ‘의무’라는 단어는 삭제됐다.
전 세계는 생물다양성에 유해한 보조금을 매년 최소 5000억 달러씩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개혁해야한다.
식물에서 곤충 등 금세기 말까지 100만종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경고하고 있다. 1970년 이후로 세계 땅의 40%가 황폐화되었고 야생동물의 개체수는 급격히 감소했다. 과학계에서는 ‘여섯번째 대멸종 사건’이라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