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최근 3년(2019~2021) 유럽 지역 내에 배터리 공장 증설의 70~80%가 한국 기업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판 IRA’인 핵심원자재법(CRMA)이 본격 시행되면 유럽의 배터리 생산 파이프 라인 개발이 본격화하면서 2030년 유럽도 배터리셀 시설이 수요를 초과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안투완 반야-존스(Antoine Vagneur-Jones) 블룸버그NEF 통상·공급망 헤드가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재편에 따른 도전과 기회’를 주제로 1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이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개최한 ‘2023 글로벌 공급망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 이후 한국의 친환경 기술의 진출은 활발하게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태양광 부문과 배터리 부문에서 단일 국가 기준 가장 많은 진출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안투완 반야-존스 대표는 미국의 향후 2032년까지 태양광, 전기차, 배터리 등 세 가지 친환경 테크는 10년간 보조금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업스트림 제품 생산 사업자에게 주는 세제혜택이 베터리셀, 태양광 모듈, 풍력 터빈 등 다양한 다운스트림 사업자까지 제공될 예정”이라며 “앞으로 미국의 친환경기술 장비 수입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2022년의 미국 전기차 배터리 수입은 전년 대비 156% 증가했다”며 “미국에서 배터리 제조 용량이 2030년 다 지어지면 2배의 용량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에 미국 내에서 기술적 니즈를 충족하는 역량이 충분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유럽 의회가 회사들의 강력한 로비의 결과 유럽발 온쇼어링 목표를 만든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2030년 목표치가 다 정해졌다. 태양광, 풍력, 배터리의 타겟이 정해졌는데 2030년 발표된 배터리셀 설비용량은 크게 늘어난다”며 “미국처럼 유럽도 시설이 수요를 초과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배터리의 2030년 목표 용량(Capacity)는 연간 550GWh(기기와트시)로 올해 175.7GWh와 비교해 3배 이상이될 전망이다. 이에 한국 기업이 이런 미국과 유럽의 변화하는 정책을 잘 이해한다면 충분히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그는 제언했다.
한편 블룸버그NEF가 성숙한 공급망 체인을 갖춘 회사를 결정하는 45가지 요인을 고려해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순위를 선정한 결과 한국의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체인 순위는 주요 30개 국가 가운데 글로벌 8위로 평가됐다. 분야별로 보면 원자재는 17위, 배터리 제조업 2위, ESG 10위 등으로 평가됐다. 종합 순위 1위는 중국으로 부문별로 원자재와 다운스트림 수요, 배터리 제조업에서도 각각 1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