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민간자문위원회 등에 따르면 현재 민간전문가들은 국민연금 보험료율 4가지 인상안을 제시했고 의견을 절충하고 있다.
자문위원들이 제시한 안 중 가장 유력한 안은 2가지다. 보험료율을 15%로 올리되 소득보장강화를 위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50%로 인상하는 것과 재정안정강화를 위해 소득대체율을 현재와 같이 40%로 유지하는 것이다. 많이 내고 더 많이 받을 것이냐, 더 많이 내더라도 지금과 같이 그대로 받을 것이냐를 선택해야 한다.
|
소득보장강화를 지지하는 전문위원들은 “현재도 용돈 연금인데 보험료를 더 내고 누가 적게 받는다고 한다면 국민을 어떻게 설득할 것이냐?”라는 주장하고 있다. 반면 재정안정강화를 지지하는 전문위원들은 “보험료율을 올리고 받는 돈도 올리면 결국 고갈을 막는 효과가 반감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자문위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안은 아니다”면서도 “시산 결과처럼 19%를 인상률로 제시하면 국민 부담이 클 것 같아 조금 낮은 목표를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일본은 2004년 연금개혁 당시 13.934%이던 후생연금(국민연금) 보험료를 2017년까지 매년 0.354%포인트씩 18.3%까지 장기적으로 올렸다. 13년간 4.366%포인트를 천천히 올리며 국민 저항이나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했다. 우리나라도 이같은 방향성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 올해 연금개혁이 마무리돼 2035년까지 최종 인상률이 15%로 정해지면 빠르면 2025년부터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6%가 된다. 근로자 국민연금은 사업자와 근로자가 절반씩 부담하고 있어 근로자 월급에서는 4.8%가 연금으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현재보다 0.3%포인트를 더 내는 셈이다. 개인 가입자 등은 100% 본인부담이라 인상률이 0.6%포인트가 된다.
개인가입자도 부담이지만, 근로자 인상분의 절반을 부담하는 기업 입장에서도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수백명의 근로자 인상분을 모두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연금 전문가 한 관계자는 “재계에서 벌써 법인세 인하 얘기를 꺼내고 있다”며 “앞으로 전 국민을 어떻게 설득해 나갈지가 관건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앞으로 국회 연금특위에서 이같은 여론을 수렴해 개혁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정부는 국민 의견을 반영해 오는 10월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을 국회에 제출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