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근 서강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최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한일 관계 개선에 맞춰 일본 시장 진출 기회를 탐색하고 있는 국내 IT기업들에 이같이 조언했다. 일본 와세다대 박사학위 수료·히토쓰바시대 초빙교수 이력을 가진 이 교수는 학계에서 한일 기술산업에 두루 정통한 인물로 꼽힌다. 최근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요청으로 한국과 일본의 빅데이터·인공지능(AI)·로봇 산업 경쟁력을 비교한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
이 교수가 일본 진출 성공 방정식으로 제시한 키워드는 ‘현지화’와 ‘이익공유 모델’이다. 그는 일본에 진출한 한국 IT 기업 중 가장 성공한 케이스로 꼽히는 라인을 예로들며, “라인처럼 한국에서 만든 서비스인지 아무도 모를 만큼 철저히 현지화하고, 한국과 일본 두 나라가 이익을 나눠 가지는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라인은 서비스 출시 단계부터 모회사인 네이버와 별개로 철저히 현지 상황과 문화에 맞췄기 때문에 성공한 케이스다. 잘 알려진 것처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직후 전화·문자 불통에 대한 불안이 컸던 일본인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국민 메신저로 자리매김했다. 이 교수는 “라인은 극소수의 한국인을 빼면 모두 일본 사람을 채용해 현지 문화를 잘 반영할 수 있었고, 일본 경제에도 도움이 됐기 때문에 일본 기업으로 받아들여졌다”고 설명했다.
일본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에게도 “줄 것은 주고, 받을 것은 받는다”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모든 수익을 다 가져오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보수적인 일본시장에서 실패하기 쉽다”며 “네이버 라인처럼 현지 기업과 공동의 지주회사를 만들어 수익을 배분 받는 모델도 좋은 방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