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처음으로 실시한 조사로, 여성가족부는 이를 바탕으로 위기청소년 지원 추가 대책을 내놨다.
여성가족부가 28일 발표한 ‘2021년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자 생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위기청소년은 부모 등으로부터 신체폭력과 언어폭력을 경험한 비율이 각각 44.4%, 46.0%로 조사됐다. 특히 기관별로 보면 ‘청소년쉼터 및 청소년자립지원관’ 이용 청소년은 신체폭력 72.1%, 언어폭력 72.9%로 응답해 가장 높은 피해경험을 나타냈다.
이번 조사는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처음으로 실시한 실태조사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쉼터, 소년원, 보호관찰소 등 위기청소년 지원기관을 이용했거나 입소한 경험이 있는 만 9~18세 이하 청소년 4399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위기청소년 10명 중 3명(32%)은 가출을 경험했다. 위기청소년의 가출경험률은 ‘다른 조사(2020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의 청소년 가출경험률과 비교하면 9배 가량 높았다.
인권과 건강, 경제적 문제에 노출된 정도도 높았다. 위기청소년 5명 중 1명(19.8%)은 디지털 성범죄 및 개인정보유출 등 온라인 인권침해 피해경험이 있었으며, 흡연(33.5%), 음주(29.6%), 환각성 물질(0.9%) 등 유해약물 이용 경험 역시 다른 조사(흡연 4.6%, 음주 11.6%, 환각성 물질 0.4%)와 비교해 크게 높았다.
심리적 우울감 등으로 자살과 자해를 시도한 경험도 높았다.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6.2%로, 기관별로는 청소년쉼터 및 자립지원관이 35.6%로 가장 높았다. 10명 중 1명(9.9%)은 자살을 시도해 본 경험이 있었으며, 18.7%는 자해를 시도해 본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청소년이 남성청소년보다 더 높은 자해 ·자살 시도 경험을 보인 것이 눈에 띈다. 여성은 남성 대비 자해와 자살 시도 경험이 각각 21.6%포인트, 7.8%포인트 높았다.
위기 상황에서는 기관의 지원을 활용하기보다 주변 친구 등을 통해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정책적 사각지대에 놓인 것으로 조사됐다.
가정 밖 생활을 하는 동안 도움을 준 대상은 ‘친구 또는 선후배’(67.4%)가 가장 많았고, 9명 중 1명은 어려울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답했다. 반면 폭력피해를 당한 후 청소년기관, 학교, 의료기관 등 기관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은 37.8%로 조사됐다.
위기청소년이 직면한 어려움은 ‘미래에 대한 불안’(45.9%), ‘진로를 찾기가 어려움’(30.9%), ‘가족과의 갈등’(27.2%), ‘무기력함’(22.2%), ‘생활 불안정’ (19.5%) 등이 높게 나타났다.
위기청소년이 희망하는 지원 서비스는 ‘일자리 제공’(77.6%), ‘직업교육훈련·자격증취득’(76.6%), ‘건강검진 제공’(76.4%), ‘경제적 지원’(75.4%), ‘각종 질병 치료’(75.0%), ‘일하면서 겪는 피해에 대한 보호’(73.4%), ‘상담 제공’(73.2%) 등이었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기청소년이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청소년복지·보호 정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청소년상담1388 통합콜센터 구축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임시심리사 배치 △청소년치료재활센터 신규 건립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지원에 대한 법적근거 마련 △아르바이트 청소년에 대한 근로권익 보호를 위한 사업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정심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위기청소년이 가정 안팎에서 학대와 폭력 등 많은 위험에 노출돼 있고 우울감, 자해·자살 충동 등 심리 등 정서적으로도 취약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모든 청소년이 조화롭고, 건강한 성장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위기청소년에 대한 정서적 지지와 함께 주거·취업지원 등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