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31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사회보장 전략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사회서비스 고도화 추진방향’과 ‘사회복장제도 통합관리 방향’ 등을 논의했다.
사회서비스 고도화는 윤 정부 출범 초부터 검토해온 핵심 복지 의제다. 일각에서는 사회서비스 민영화 우려를 내놓기도 했다.
사회서비스 고도화 방안은 사회서비스 이용 소득 제한을 풀어 중산층도 소득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비를 내면 사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가령 아동·청소년 심리지원 서비스는 올해 일부 지역 시범사업을 통해 기준중위소득 160%를 초과하더라도 이용가능하다.
중산층은 자비를 부담해 사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단 것인데,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 품질에 따른 서비스 비용이 인상을 가능토록 한다. 즉 사회서비스의 비용 상한을 완화하고 하반기부터 ‘가격탄력제’ 시범사업을 통해 정부지원 외 ‘이용자 본인 부담금’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허용한단 것이 보건복지부의 계획이다.
국민들의 사회복지 이용 의향은 60%에 달하지만 이용률은 33%로 저조해 이를 40%대까지는 끌어올리겠단 것이 정부의 목표다.
그러나 복지부문에서 이같은 시장경제 체제가 적용되면 서비스 이용자의 비용 부담이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김혜진 복지부 사회서비스정책관은 “가격탄력제는 일정범위에서 가격 자율성을 허용한다는 의미이고 비용상한제도 완전히 없애는 것은 아니다”라며 “서비스 수요가 있기 때문에 제도를 시범 적용해본 뒤 부작용이 없는 방식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부처별 흩어진 사회복지서비스를 패키지화하고 누락·부족에 대한 투자는 확대한단 계획이다. 초등돌봄은 늘봄학교 시범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다함께 돌봄,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방과후 활동 지원 등 지역중심 초등돌봄 관리체계 간 연계를 강화한다.
가정양육 아동도 필요시 시간 단위로 어린이집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서비스 이용아동을 2027년까지 6만 명 수준으로 대폭 확대하고, 올해부터는 36개월 이상 아동도 시간제 보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범 운영한다.
보호자의 갑작스러운 질병·부상 시 신속히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국민 긴급돌봄 서비스’도 추진한다. 보호자 입원 등 긴급 시 일시적으로 24시간 돌봄을 지원하는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은 올해 4개소에서 시행한다.
정부는 연말까지 범부처 협력과제로 구체화해 ‘제3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24~2028)을 수립할 예정이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국민의 체감도를 높이면서 약자부터 촘촘하게 지원하고 사회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복지국가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