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도 위험 경고가 있었는데 유야무야 했다는데요"
"야! 그러면 야마가 한 눈에 팍 들어오게 써야지..예고된 인재구만"
데스크는 공사를 시작하고, 허름한 작문은 어엿한 기사로 포장이 됐다. 문제는 가끔씩 데스크가 팩트와 주제를 침소봉대하는 데 있다. 기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말로 `초를 치는` 것인데, 팩트를 앞지르는 `빙초산`이 쓰이는 경우도 없지 않다.
경제기사도 종종 과잉이 문제다. 조짐이 감지되면 `대란`과 `위기설`로 치고나가 이슈를 선점하는 식이다. 부실정리 과정은 환매대란, 신용대란, 카드대란으로 이어졌고 주택가격 상승은 전세대란으로 지면을 장식했다. 채권 만기도래가 집중되는 시기는 `0월 위기설`로 포장되기 일쑤였다.
언론의 선제적 경고는 감시견 본연의 책무이기도 하다. "펀더멘털은 좋다"는 호언장담을 믿다가 IMF 경제 식민지를 경험한 국내언론이 위기 가능성에 경각심을 보일 필요성은 충분하다. 하지만 과유불급, 상습적이고 지나치다면 이로울 게 없다.
초유의 재난을 전하는 미국 언론의 대응은 우리와 좀 다르다. 위기 가능성을 충분히 언급하지만, 한편으로 냉정하고 실속도 챙긴다.
`카트리나`는 사회적 이슈였지만 발발 초기부터 유가급등을 불러오며 경제적 관심사로 급부상했다. 참상과 피해규모가 드러나면서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 경고음이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월스트리트나 뉴욕타임스 등이 경제에 끼칠 위험에 대해서 눈을 돌리지 않은 것은 아니다. 유가 문제와 함께 피해규모, 일자리 감소 등 다양한 내용을 다뤘지만 발빠르게 치고 나가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국제 투자은행과 신용평가사, 유수 언론들은 그동안 3위 일체가 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누구보다 빨리 위기 가능성을 전파해왔다. 하지만 카트리나발 위기에 대해서는 단기적 충격이 있지만 좀 더 길게 볼 필요가 있다며 호흡을 가다듬었다.
카트리나 타격후 휴가를 접고 부랴부랴 복귀한 부시 대통령은 "허리케인 복구에 수년이 걸릴 것이며 전략비축유를 방출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월가 투자자들의 속내는?
"복구에 수년이 걸리면 앞으로 몇 년간 지속적으로 투자가 이뤄진다는 얘기로군. 비축유를 풀면 유가는 떨어질 테고. 원래 자연재해란 게 길게 보면 득이 아니었던가. 게다가 뉴욕도 아니고 딥사우스라니"
카트리나가 덮친 남부 3개주가 미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에 불과하다. 초기 대응을 잘못해 정치적 위기를 맞은 부시는 끌어안고 있던 비축유를 푼다고 했다. 앞으로 정부가 투입할 복구비는 재산피해 규모를 웃돈다. 하락한 GDP는 복구작업이 진행되면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는 계산이 가능해진다. 단지 시간이 문제일 뿐이지.
유수 언론들이 실속을 차리면서도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신중하고 편중되지 않다는 점도 이유로 꼽힌다. 월스트리트저널과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 미국 3대지 기사는 대부분 장문이다. 제목은 방향성을 가지되, 하나의 기사에서도 다양한 의견을 싣는다.
언론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신문이 기사에서 인용하는 취재원 수는 2명이 채 안된다. 뉴욕타임스가 인용하는 취재원은 10명이 넘는다. 미국 언론계에는 하나의 기사에 최소한 2명 이상의 취재원을 활용하도록 하는 `투 소스 원칙`이 자리잡고 있다. 1~2명의 전문가로 `위기론`을 대변하기는 수월하다. 하지만 10명이 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기사가 한쪽으로 방향을 잡기는 쉽지 않다.
우리는 어떤가. 기업도 1차 부도는 보도를 삼가던 시절, 외환위기때 우리 언론은 `국가부도 임박`이라고 썼다. 앞서 치고 나가면 됐지, 누구 좋은 일 시키는지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이후에도 조짐이 보이면 내쳐 달렸다가 중간에 상황이 진정되면 "어? 여기가 어디지"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대란과 위기가 현실화되지 않으면 언론의 사전 경고 덕분이라고 우기는 `아전인수`도 있었다. 참여정부 들어서는 정치적 이유로 경제위기를 조장한다며 대통령과 보수 언론간 마찰이 끊이지 않았다. 불신만 깊어졌고 나아진 것은 없다.
그만큼 겪었으니 우리 언론의 위기 대응 역량도 향상될 때가 되지 않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