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0.38(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4.8%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달(5.2%)보다 0.4%포인트 축소됐다. 물가 상승률이 4%대를 기록한 것은 작년 4월(4.8%) 이후 10개월 만이다.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찍은 후 상승폭은 둔화해 왔으나 올해 1월까지 꾸준히 5%대를 유지했다.
|
품목별로 보면 상품과 서비스 물가는 각각 1년 전보다 6.0%, 3.8% 상승했다. 이중 전기·가스·수도가 전년 동월 대비 28.4% 급등하면서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다. 이는 2010년 1월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상승 폭이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지난달 28.3%로 분류가 만들어진 이래 역대 최대폭으로 올랐는데,이번에 그보다 0.1%포인트 더 올랐다”며 “일부 지자체의 상수도 요금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가공식품은 빵(17.7%), 커피(15.6%) 등을 중심으로 10.4% 올라 전월(9.1%) 보다 크게 상승했다. 이는 2009년 4월(11.1%) 이후 최대 폭이다. 고등어(13.5%)를 비롯한 수산물은 1년 전보다 8.3% 올라 2017년 5월(8.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폭이 줄어든 건 석유류와 축산물 가격 하락에 따른 것이다. 석유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1% 하락해 2021년 2월(-6.3%) 이후 2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경유(4.8%), 등유(27.2%)는 올랐으나 휘발유(-7.6%), 자동차용 LPG(-5.6%)가 내려섰다. 축산물 가격은 2019년 9월(-0.7%) 이후 3년 5개월 만에 2.0% 하락했다. 대형마트에서 대규모 세일 행사가 진행되는 등 국산 쇠고기(-6.1%) 가격 영향이 반영됐다.
|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4.8% 올랐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4.0% 상승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해 체감물가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생활물가는 5.5% 올랐다.
정부는 물가 안정 흐름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식품·서비스 등 수요 품목에서의 가격 불안 요인은 여전하다고 보고 있다. 향후 △중앙 공공요금(도로·철도·우편 등) 관리, △할당관세 등 추가·연장 검토, △분야별 민생지원 방안 등을 통해 국민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부문별로 불안 요인이 남아있지만 특별한 외부충격이 없다면 향후 물가는 둔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요금은 상반기 동결기조하에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국민부담이 최소화되도록 하겠다”며 “주요 먹거리 가격안정을 위해 식품 원재료 관세인하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만큼 관련업계도 생산성 향상 등 원가절감을 통해 인상요인을 최대한 흡수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