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시장에서는 대통령이 누가 집권하느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집계된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0일 보고서에서 “민주당 대통령이 공화당 대통령보다 주식시장에 친화적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며 “그렇지만 채권시장에서는 주식시장처럼 대통령 시기별로 뚜렷한 금리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지난 40년간 금리는 추세적으로 계속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경기부양책 논란 과정에서 민주당은 2조 달러 이상의 재정지출을 주장하고 공화당은 5천억 달러 내외의 지출을 주장하고 있다”며 “이를 본 채권시장에서는 민주당이 압승하면 내년에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재정지출을 하게 될 것을 걱정할 수밖에 없어, 채권시장에 악재로 해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기물 국채 금리가 낮은 수준으로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통해 채권시장 가격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도 사라졌다고 평가했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조절이 아닌 물량 조절을 한다 해도 많은 부분을 정부와 의회의 승인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어렵다는 진단이다.
이어 “미 연준의 경우 국채 매입은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지만, 이번 위기 과정에서 새롭게 쓰고 있는 정책인 기업에 대한 대출 프로그램은 의회가 예산을 승인해야 집행 가능하다”라며 “중앙은행이 무엇이든 할 수 있으니 ‘중앙은행에 맞서지 말라’고 하던 시절과는 큰 차이가 있는 등 중앙은행의 정책 여력이 크게 약화된 상황에서 선거 결과에 따라 대규모 재정지출이 나올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채권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