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부터는 AED 의무 설치 대상이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관광지나 관광단지의 관리사무소와 안내시설’로 확대됐으며 향후 철도 역사를 포함해 더 많은 공공시설이 AED 의무설치 대상이 될 전망이다. AED를 필요로 하는 급성 심정지 환자가 2012년 2만 7823명에서 2022년 3만 5018명으로 25.86% 늘어남에 따라서다.
에스원은 시장 확대에 발맞춰 AED 보급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에스원 AED는 초기 구동시간을 단축했다. 통상 AE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심전도 분석과 고전압 충전 과정에 20초가량이 필요하며 이같이 긴 작동 시간이 한계로 지적돼 왔다.
설치 후 방치되는 관리 부실 문제는 실시간으로 상태를 확인하는 온라인 모니터링 서비스로 해결했다. AED는 위급상황 시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설치 후 방치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2020년 경기도 자체 조사결과 도내 설치된 AED 2132대 중 35.7%(763대)에서 배터리와 패드 유효기한이 지났거나 패드가 훼손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보건복지부 조사 결과에서는 전국 3000여대의 AED가 사용 연한인 10년을 초과한 채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원은 사용법 교육 부족으로 인한 낮은 이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심폐소생술 무상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2010년 대한심폐소생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이후 10여년간 일반인을 대상으로 CPR 교육을 제공해 왔다. 현재까지 교육 이수 인원은 10만 5000명에 달한다.
에스원은 “보안업계 1위 기업으로서 AED 보급 확대를 통해 전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며 “고객과 교육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 무상교육도 병행해 AED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