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소매지수 2020년 12월 이후 ‘최저’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소비를 나타내는 2023년 1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103.9로 2020년 12월(101.0) 이후 가장 낮았다. 소비심리가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첫해 수준으로 위축된 셈이다. 소비부진이 계속되면서 경기 현재 흐름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역시 4개월 연속 하락세다.
1월 소비는 내구재, 준내구재(의류 등), 비내구재(음식료품 등) 모두 전월대비 모두 꺾였으나, 가장 위축된 것은 승용차·가전제품처럼 장기간 사용하는 고가 상품군인 내구재다. 1월 내구재 소비지수는 99.1로 역시 코로나 첫해인 2020년 7월(95.6) 이후 가장 낮았다. 개인 소비자의 고가소비가 크게 위축됐고, 기업의 투자지출 역시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
‘내수진작책, 물가만 자극할라’ 진퇴양난 기재부
다만 이같은 내수진작 대책은 모두 물가를 크게 자극할 위험성이 크다. 정부가 올해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소비진작책 대신 이미 시행중이었던 승용차 개별소비세 30% 감면이나 대중교통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상향 연장 등 소극적으로 움직인 것도 이같은 우려에서다. 물가가 안정화되지 않으면 높은 금리 수준을 유지할 수밖에 없고,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성장이 정체되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
기재부는 소비부진이 길어지자 내수진작과 물가자극 사이에서 고민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수진작책과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된 부분은 없다”고 설명했다. 벌써 정부 내부에서는 만약 김영란법상 식사비 한도가 인상되면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정부의 재정지원 형태 소비진작은 물가인상과 연결될 수 있어 서민에게는 똑같이 좋지 않을 수 있다”며 “코리아 세일 페스타와 같은 행사로 제조업계 또는 유통업계가 파격적인 가격에 물건을 공급해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를 자극 하는 것이 그나마 나은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