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지영한기자] 한국무역협회는 15일 노·정협상의 극적 타결로 화물연대 운송거부가 해결국면에 접어들었지만 물류대란 해소에는 보름 이상이 소요돼 무역업체들의 피해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우려했다.
무역협회는 우선 노정협상이 타결돼 오는 16일 예정된 노·사 협상도 타결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지만 파업의 불씨가 완전히 꺼지더라도 화물연대 회원들이 현업에 완전 복귀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통상적으로 배가 항구를 떠나기전 48시간전에는 화물의 50%가 부두에서 대기하는 형식으로 부두내 물류흐름이 이루어졌는데 최근 이같은 흐름이 막힘에 따라 정상적인 화물선적을 지금 당장 기대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특히 북미나 유럽항로의 경우 대부분 1주일에 한번씩 스케줄을 잡기 때문에 배를 확보하지 못한 상당수의 화물들은 다시 1주일 이상을 꼼짝없이 대기해야 하는 처지다.
여기에다 수도권 수출업체들이 빈 컨테이너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차량의 파업이 풀리더라도 화물을 실어나를 컨테이너 공급이 정상화될 때까지는 수출업체의 피해가 지속될 수 밖에 없다.
무역협회의 백제선 차장은 "화물연대의 파업이 지금 당장 풀릴 경우라도 물류대란이 완전히 해소되기 위해선 보름 이상은 소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욱이 이날중에만 부산항과 광양항의 수출차질액이 1억달러 이상 추가될 전망이고, 물류대란을 계기로 2~3배나 폭등한 무역업체들의 운송료 부담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그는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파업이 풀리더라도 부산항의 대외신인도가 이미 크게 추락된데다 파업이 언제든 재발할 수 우려가 남아 있어 외국선사들이 중국이나 일본 등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지금으로선 더 큰 문제라는 입장이다.
또 한국의 수출업체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던 미국의 서부항만 파업사태를 몇개월전에 목격한데다 최근 화물연대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음에도 정부가 이를 사전에 막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초기 대응에도 서툴렀던 점 역시 문제라면 문제라는 지적이다.
한편 노·정 협상 타결에 이어 화물연대 부산지부가 운송거부 일주일만에 노정 합의안 수용을 결정하고 운성거부를 철회했다. 이에 따라 이날부터 운행에 복귀하기로 해 조기 정상화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