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고향 그리운 아바이들 어여 오시라요"

강원 속초시 아바이마을
속초시내와 아바이마을 잇는 '갯배'
아바이순대, 돼지대창에 시래기 등 넣어 만들어
겨울에는 명태, 여름에는 오징어해 대신해
곰삭은 맛이 일품인 '식해'도 대표적 이북음식
  • 등록 2015-06-30 오전 6:41:00

    수정 2015-06-30 오전 6:41:00

강원 속초시의 중심인 중앙동에서 청호동 아바이마을로 건너가려면 속초항 구수로를 오가는 갯배를 타야 한다.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강원 속초시 청호동. 소위 아바이마을로 알려진 곳이다. 이 마을이 유명해진 건 피란민들이 고향에서 먹던 음식인 순대가 소문을 타고 알려지면서부터다. 지금은 길거리 포장마차에서 또 전문식당에서 주머니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국민음식’이 됐지만 하지만 이곳 아바이마을에서 순대는 그 의미가 좀 더 각별하다. 한국전쟁 당시 이곳 속초에 뿌리내린 피란민들이 고향을 그리며 먹던 추억의 맛이기 때문이다. 전쟁이 끝난 뒤엔 밤새 거센 바다와 바람을 맞으며 고기잡이에 나선 아바이의 몸과 마음을 따스하게 데워 주던, 삶의 애환이 담긴 음식이기도 하다.

▲아바이도 어마이도 쇠밧줄 당겨야 물 건너

“우리는 뱃길 북쪽으로 돌릴 수 없어/ 우리 힘으로는 이 무거운 청호동 끌고 갈 수 없어/ 와이어로프에 복장 꿰인 채 더러운 청초호를 헤맬 뿐/ 가로막은 철조망 넘어 동해에서/ 청진 원산 물이 가자고/ 신포 단천 물이 들어가자고/ 날래 따라나서라고 날마다 아우성인데/ 우리는 동력도 키도 없어.”

이상국의 ‘청호동 갯배’의 한 구절이다. 고향으로 가지 못하는 피란민의 아픔을 갯배에 담았다. 시 내용처럼 속초 시내 중앙동에서 청호동 아바이마을로 건너가려면 속초항 구수로를 오가는 갯배를 타야 한다. 갯배는 두 지역을 연결한 쇠밧줄에 꿰어 있어 배를 탄 이들이 힘을 모아 쇠밧줄을 당겨야 움직이는 원시적 형태의 무동력선이다.

물론 새로 놓은 도로로 건널 수도 있지만 돌아가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갯배는 이런 수고를 덜어준다. 폭 30m의 갯가 수로를 5분만 가면 된다. 뱃삯도 200원이니 공짜나 다름없다. 마을 근처로 들어오면 ‘갯배 타는 곳’이란 플래카드가 군데군데 걸려 있다. 갯배지기 영감님은 “이거 한번 당겨봐, 꽤 재미지지”라며 배를 끄는 쇠스랑을 넘겨준다. 갯배를 끌어보는 재미도 재미려니와 선상에서 갈매기와 청초호, 항포구의 정취를 동시에 느껴볼 수 있으니 일거양득이다.

동해와 청초호를 분리하는 모래톱 위에 들어선 아바이마을은 전국 유일의 실향민 집단정착촌이다. 대다수가 어부였던 함경도 출신 피란민들은 바다와 가깝고 텅 빈 모래시장이었던 속초의 황량한 이곳에 정착했다. 고향과 가깝다는 게 이유였다. 급히 고향을 떠나온 터라 빈손이던 그들에게 속초는 그나마 고향에 갈 날까지 입에 풀칠할 일거리도 많이 만들어줬다. 남정네는 고깃배를 타고 나가서 어부로 일하고 아낙네는 포구로 돌아온 고깃배 그물에서 생선을 떼어내며 어려운 시절을 이겨냈다. 피란민들의 삶은 고단했다. 고기잡이를 하며 사람 허리 정도의 깊이로 땅을 파고 창문과 출입구만 지상으로 내놓은 토굴집이나 판잣집을 지어 살았다.

속초 시내와 아바이마을을 잇는 ‘갯배’. 두 지역을 연결한 쇠밧줄에 꿰어 있어 배를 탄 이들이 힘을 모아 쇠밧줄을 당겨야 움직인다.


▲함경도 실향민의 맛 ‘아바이순대’

함경도 음식으로 알고 있는 아바이순대. 정작 함경도에는 아바이순대가 없다. 정확하게는 아바이순대라고 부르지 않는다. 함경도가 이전부터 순대로 유명했고 한국전쟁 때 청호동에 정착한 함경도 실향민이 즐겨 먹으면서 생긴 말이다. 정확하게는 함경도순대가 맞는 표현이다.

함경도에서는 마을잔치나 경사가 있을 때 돼지대창에 속을 채운 순대를 만들었다. 특징은 남쪽과 달리 순대 속을 꽉 채우는 것. 소금으로 박박 문질러 씻은 대창에 무청시래기, 다진 돼지고기, 선지, 마늘, 된장 등을 버무려 속을 채웠다. 껍데기는 두껍고 시래기가 들어가 씹는 맛이 거칠다. 그래서 아바이순대는 여자보다 남자가 더 좋아한다. 약간의 누린내도 있어 즉석음식에 길든 요즘 세대에게는 조금 부담스러운 맛이다. 최근에는 선지 대신 찹쌀을 넣어 돼지냄새를 없애기도 한다.

돼지대창 외에도 다양한 재료로 순대를 만들어 먹었다. 지금이야 돼지대창이 구하기 쉬운 재료지만 과거에는 귀한 것이었기 때문. 설밑이면 제철 생선인 명태에 속을 채워 만든 순대를 제삿상에 올렸다. 명태의 내장과 뼈 등을 빼내고 두부·된장·녹두·숙주나물·배추 등과 명란·애 등을 버무려 속을 채운 독특한 순대다. 함경도는 명태의 주산지. 속초 일대 또한 남한 최대의 명태 어획고를 올리던 곳이었으니 피란민들은 설 제사상에 명태순대를 차례상에 올린 건 어찌보면 당연했던 일. 명절이면 더욱 깊어지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명태순대로 조금이나마 달랠 수 있었다. 여름철에는 오징어가 명태를 대신했다. 오징어 몸통에 갖가지 야채와 당면, 오징어 다리 삶은 것을 잘라 속을 채웠다.

이곳 아바이마을 식당가에서는 아바이순대, 오징어순대, 가자미회냉면, 명태회냉면 등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아바이순대나 오징어순대를 공장에서 받아다 쓴다는 점. 하지만 감자가루와 고구마가루로 만드는 함흥식냉면은 대개 직접 면을 뽑아서 쓴다.

강원 속초시 청호동 아바이마을의 ‘아바이순대’, 돼지의 대창 외에도 겨울에는 명태, 여름에는 오징어 몸통에 속을 채워 내는 것이 특징이다.


▲씹을수록 곰삭은 맛, ‘식해’

아바이마을의 어느 식당을 들어가도 순대와 함께 나오는 것이 있다. 식해다. 식해는 각종 해산물을 숙성발효해 저장해두고 먹어온 우리 전통 젓갈의 한 종류. 재료에 곡물과 야채 등을 섞어 삭힌다는 것이 일반 젓갈과 다른 점이다. 생선 따위를 토막내 좁쌀밥이나 쌀밥, 무·마늘·파 등 채소류를 썰어 넣고 고춧가루와 버무려 숙성시킨다. 식해의 재료도 일반 젓갈의 재료만큼이나 다양하다. 가자미식해, 갈치식해, 멸치식해, 도루묵식해, 노가리식해, 명태식해, 오징어식해, 낙지식해 등 수십종을 헤아린다.

그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게 가자미식해다. 가자미를 토막 내 메조밥·고춧가루·무·생강·마늘 따위와 섞어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숙성시키면 잘 발효된 가자미식해가 만들어진다. 시원하고 매콤한 맛으로 함경도 출신 실향민의 향수를 자극하는 대표음식이다. 아바이마을의 김송순(87) 할머니는 정통 가자미식해 맛을 재현해내는 1인자다. 북청 출신으로 1·4후퇴 때 내려와 생선장사 등을 하며 60년 넘게 이곳에 살고있는 실향민. “비린내가 없고 매콤하면서도 씹을수록 고소해지는 곰삭은 맛”이 김 할머니가 귀띔하는 가자미식해의 본맛이다. 동해안 일부 식당에서 가자미식해를 반찬으로 내지만 대개는 가자미토막보다 밥알을 많이 넣고 단맛을 강조한, 남쪽 사람들 입맛에 맞게 변형한 것들이다.

김 할머니가 알려준 가자미식해 담그기를 따라 해볼까. 가자미를 토막 내 소금에 절여 사나흘 정도 숙성시킨 뒤 표면의 진(기름기)이 다 빠질 때까지 씻어낸다. 메조밥을 섞어 윗목에서 이불을 씌우고 날씨에 따라 7~15일간 다시 숙성시킨다. 여기에 고춧가루·마늘·파·생강과 소금에 절인 무를 썰어 넣고 버무려 저장한다. 재료의 양은 그때그때 손맛을 봐가며 결정하는데 여름에 담글 땐 무를 넣지 않아야 꼬들꼬들한 맛이 유지된단다.

대표적인 이북음식 중 하나인 ‘가자미식해’. 아바이마을에서는 김송순 할머니가 정통 가자미식해 맛을 재현해내는 1인자로 알려져 있다.


◆여행메모
▲가는법=서울에서 출발한다면 서울·춘천고속도로를 타고 동홍천IC에서 속초 인제방면으로 가면 된다. 속초해수욕장 가기 전 고속버스터미널 옆에서 청호동, 갯배, 아바이마을 등 팻말을 보고 좌회전해 들어간다.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강릉까지 간 뒤 7번 국도를 타고 양양을 거쳐 속초로 가도 된다.

▲잠잘곳=가족단위 여행객이라면 속초 쪽에선 한화리조트 설악 쏘라노(033-630-5500)를 권할 만하다. 국내 최초 온천 테마파크 설악워터피아가 때 이른 더위를 맞아 야외시설을 전면 개장했다. 글램핑존도 인기다. 텐트 대여를 포함해 생삼겹살과 생목살, 닭꼬치, 소시지를 제공하는 바비큐세트는 3~4인 13만원, 5~6인 15만원이다. 밥과 컵라면을 포함하면 2만씩 추가된다. 8만원에 바비큐 집기류를 추가한 텐트만 별도로 대여 가능하다.

▲먹을곳=아바이마을 식당은 아바이순대와 식해가 기본이다. 신다신(033-633-3871)은 가리국밥이 유명하다. 유진이네(033-632-2397)는 아바이마을에서 식당 중 유일하게 피란민 할머니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아바이순대와 순대국밥, 튀김 등을 맛볼 수 있다. 등대물회(033-633-3630)는 생선구이가 유명하다. 김송순 어마이젓갈(033-632-6908)에서는 가자미식해와 명태식해, 명란식해 등을 구매할 수 있다.

등대물회의 생선구이. KBS 예능프로그램 ‘1박2일’에서 촬영해 유명해졌다.
신다신의 가릿국밥. 가리는 갈비를 일컫는 말이다. 말하자면 갈비탕인 셈인데, 얼핏 보면 서울의 탕반과 비슷하지만 내용물이 더 푸짐하다. 밥에 삶은 고기 썬 것과 선지, 우둔살을 채 썰어서 무친 육회와 두부를 얹고 사골과 양지머리를 푹 고아 만든 육수를 부어 먹는다.
신다신의 가리국밥과 아바이순대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 트랙터 진격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