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그룹 몰락을 신호탄으로 빚투성이 중견 그룹들이 픽픽 쓰러지기 시작한 외환 위기 직전의 1997년 초, 신동방그룹과 대농그룹이 대농의 주력기업 ‘미도파백화점’을 두고 벌인 ‘쩐(錢)의 전쟁’은 지금도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사건이었다. 업종의 무게 중심이 백화점에서 대형 할인점 등 신업태로 속속 넘어가고 있음을 오랫동안 지켜본 기자의 눈에 백화점업은 겉만 요란한 빈 밥상 같았기 때문이었다. 업계 내부에서도 “문만 열면 고객이 구름처럼 몰려오던 시대는 갔다”는 얘기가 공공연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식품, 유지업을 기반으로 출발한 신동방그룹과 섬유 재벌 대농그룹은 미도파 경영권을 놓고 주식 매집 혈투를 수개월간 이어갔다. 뒷심이 달리던 대농그룹엔 현대·삼성그룹과 전경련까지 우군으로 가세했다. 전쟁은 신동방과 손잡고 미도파 공격에 나섰던 성원그룹이 3월 중순 그동안 사모은 미도파 주식을 대농에 전량 매각하고, 신동방이 대농과 화해함으로써 일단락됐다. 신동방과 홍콩 페레그린증권의 합작사인 동방페레그린증권을 통해 외국인이 미도파 주식을 끌어모으면서 시작된 ‘쩐 전쟁’ 드라마는 서로 상처만 남긴 채 9개월 만에 종영됐다. 하지만 주연으로 나선 신동방그룹과 성원그룹, 대농그룹이 손에 쥔 것은 여기저기서 끌어다 쓴 빚과 큰돈 안 되는 자잘한 기업들뿐이었다. 판돈의 규모가 커지고 미도파 주가가 뜀박질을 거듭했어도 싸움이 끝난 후 주가는 곤두박질쳤다.
나라 경제 규모가 지금과 비교할 수도 없이 작았던 27년 전의 미도파 M&A를 불러낸 건 옛일을 연상시키는 전투 장면이 속출해서다. 고려아연 경영권을 노린 영풍과 사모펀드 MBK 연합의 거칠 것 없는 베팅, 이에 맞선 고려아연의 대반격이 최신 드라마다. MBK의 공개매수 시작 전날인 지난달 12일 55만 6000원이었던 고려아연 주가는 8일 77만 6000원으로 40% 뛰었고, 영풍정밀 주가는 261%나 폭등했다. 동원한 단기차입금 실탄만 해도 고려아연 2조 5000억원, MBK측 1조 9000억원까지 급팽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