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과연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지난달에 이어 파격행보를 이어갈 지가 핫이슈다.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최근 물가에 대한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의 진단이 가장 큰 관심사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새해 벽두부터 전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금리인상 행보에 있어 전략적 선택을 위한 여지를 어느정도는 확보했다는 점에서, 한국은행의 셈법은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할 전망이다.
◇ 두 달 연속 금리인상 쉽지 않을텐데 당초 이번 달 금통위에선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연초 전격적인 금리인상에 따른 효과를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는데다, 두 달 연속 금리인상에 따른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 동안 한국은행이 두 달 연속 금리를 올린 것은 지난 2007년 7~8월 한 차례 밖에 없었다.
최근 물가불안이 아직까진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측면보다 원자재와 식품값 급등에 따른 공급 측 요인이 강하다는 점에서, 금리인상의 효과보단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는 우려도 그 배경이다.
최근 원화 강세도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 와중에 금리를 올릴 경우 원화값 상승을 부채질해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어 부담이 크다. 원화값이 오르면 수입물가를 떨어뜨려 금리인상 압력을 완화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금리인상 점치는 목소리 갈수록 커져 하지만 금통위가 다가올수록 금리인상을 점치는 목소리에 점점 더 힘이 실리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 상단을 훌쩍 뛰어넘으면서 예상보다 훨씬 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같은 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정부의 물가대책과 기준금리 인상에도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치솟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금리인상의 가장 큰 목적으로 내세운 물가 불안심리 차단에 일단 실패한 만큼 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수출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의 성장모멘텀이 재가동되면서 경기둔화 정도가 예상보다 덜하다는 점도 금리인상에 따른 부담을 덜어주는 요인이다.
◇ 물가 불안심리 차단이 핵심과제 전문가들의 전망 역시 동결과 인상으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이번 금통위의 가장 큰 화두는 지난달에 이어 물가 불안심리 차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잇단 금리인상이 최근 들썩이고 있는 물가 급등세를 당장 제어하긴 어렵다는 점에서, 물가불안 심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략적으론 두 달 연속 금리를 올리는 파격행보로 물가안정 의지를 재차 강조할 수도 있지만, 금리는 그대로 두면서 고강도의 매파적 발언을 통해 인상에 준하는 효과를 노릴 수도 있다. 잇단 금리인상이 오히려 물가 불안심리를 부추길 개연성도 배제할 순 없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행이 지난달 전격적인 금리인상으로 향후 금리인상 행보에 있어 어느정도 선택의 여지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물가 불안심리 차단을 위한 한국은행의 패가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하게 구사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