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 그린워싱 논란이 부러운 까닭[플라스틱 넷제로]

컴퍼니 풋프린트③
엘렌 맥아더재단, 글로벌 공약의 의미
투명성, 보고(Reporting)는 플라스틱 문제 해결의 출발
국내 기업들 자원순환 분야 투명성 떨어져
  • 등록 2022-11-13 오전 9:00:00

    수정 2022-11-13 오전 9:00:00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코카콜라가 ‘제27회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의 공식 후원사로 선정되면서 그린워싱 비판을 받고 있다고 외신들은 일제히 보도했다.

코카콜라가 만드는 제품은 99.9%가 재활용이 가능한데도 이런 그린워싱 논란에 휩싸인다.

코카콜라가 비판을 받는 주된 지점은 생산량이다.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들은 “세계에서 손꼽히게 많은 양의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코카콜라는 플라스틱 생산을 종식하지도, 기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도 설명하지 못한다. 코카콜라가 COP27을 후원하는 건 행사의 목적을 흐린다”고 했다.

실제 코카콜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플라스틱 포장재를 배출한다. 글로벌 순환경제 네트워크 엘렌 맥아더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이 지난 2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 ‘2022년 글로벌 공약 이행 보고서(The Global Commitment Progress Report)’에 따르면 코카콜라는 2021년 기준 322만4395톤(t)의 플라스틱 포장재를 배출했다.

“재활용하지 않을 거라면 코카콜라를 사지 마라!” 코카콜라의 지속가능 슬로건(출처:코카콜라 홈페이지)
그런데 코카콜라는 재사용·재활용·생분해 플라스틱 사용 비중이 99.9%로 엘런 맥아더 재단의 글로벌 공약 서명인 가운데 가장 높다. 배출량 2위인 펩시코는 이 비율이 76.1%다. 애초에 제품 생산 단계에서 재활용될 수 없는 제품을 만드는 비중이 코카콜라는 0.01%, 펩시코는 23.9%라는 이야기다. 펩시코의 배출량도 250백만t으로 코카콜라 못지 않다.

한번 쓴 플라스틱으로 만든 PCR(Post-Consumer Recycled·포스트 컨슈머 리사이클) 플라스틱 생산 비중 역시 코카콜라가 13.6%, 펩시코가 6.3%로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코카콜라가 많이 팔려서 비판을 받는 이유는 또 있다. 코로나19 이후 포장배달음식의 증가로 인해 식음료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탄소를 더 많이 배출했다는 이유에서다. 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PCR 플라스틱’의 생산 비율이 2018년 이후 지난 3년간 2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같은 기간 ‘버진(Virgine) 플라스틱’의 생산량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다.

‘버진 플라스틱’은 천연자원인 석유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드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탄소배출의 원흉으로 지목된다. 전 세계는 이 버진 플라스틱을 없애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보고서는 2018년 대비 2021년 ‘PCR 용기’의 생산 비중은 4.8%에서 10.0%로 2배 이상 증가해, 글로벌 공약이 시작된 2018년 이후 3년 동안 달성한 성과가 플라스틱이 탄생한 이후의 성과에 맞먹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버진 플라스틱’의 생산량은 도로 2018년 수준으로 돌아갔는데, 그 원인으로 보고서는 코카콜라 등 메이저 기업들을 우회적으로 지목했다.

보고서는 “전 세계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 기업 중 가장 큰 몇몇 곳(a few of the biggest plastic packaging users)에서 사용한 버진 플라스틱의 양이 2018년 이후 3년간 5%나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나머지 60%의 거대 브랜드가 버진의 사용량 감축에 동참했고, 그 외 40%도 전체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량을 줄였지만, 몇 군데 거대 기업 탓에 이런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특정 기업을 언급하지 않지만, 개별 기업의 보고서를 참조하도록 링크를 안내한다. 이 링크를 쫒아가면 곧 바로 코카콜라, 펩시코, 월마트 등이 원흉이었단 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코카콜라의 버진 사용량은 2019년 대비 3.5%, 펩시코는 2020년 대비 4.9%, 월마트는 2020년 대비 3.4% 늘었다. 이들 글로벌 플라스틱 포장재 상위 10개 기업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배달음식의 증가로 인한 매출 증대의 혜택을 누린 기업들이다. 반면 상위 10개사 가운데 네슬레(-7.6%), 다농(-8.3%), 유니레버(-16.3%)는 버진 플라스틱 사용량이 크게 줄었다.

그런데 이미 그린워싱 논란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마당에 기름을 부은 이 보고서를 직접 공개한 장본인은 바로 코카콜라 당사자다.

우리나라에선 찾기 힘든 ‘투명성’이다. 국내 기업 가운데 이같은 높은 정보 공개 수준을 가진 기업은 찾기 힘들다. 어떤 기업이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포장재를 배출하는지, 재활용할 수 없는 플라스틱은 얼마나 만들고 있는지 소비자들은 알기 힘들다. 법적 공개 의무가 없을 뿐더러, 기업들 역시 체리피킹한 정보 공개 유혹에 빠져있다.

오는 2024년 법적 구속력 있는 플라스틱 국제협약 도입을 앞두고 기업들 뿐만 아니라 정부 등에 대한 보고 의무는 점차 강화될 전망이다. 국제사회는 플라스틱 문제에 있어서 보고(Reporting)를 최소한의 의무로 보고 있다. 바로 ‘정보의 투명성(transparancy)’은 글로벌 비전을 실현할 최소한의 요건이란 점에서다.

엘런 맥아더 재단과 함께 지옥불 뛰어든 기업들

코카콜라가 참여하고 있는 이 글로벌 공약(Global Commitment)은 지난 2018년 엘런 맥아더 재단과 UNEP(유엔환경계획)이 함께 론칭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포장재의 20%를 커버한다.

엘런 맥아더 재단은 단연 전 세계 최고의 순환경제 네트워크로, 정부, 기업, NGO(시민단체), 학계, 투자기관, 협회 등 1000곳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 여기에 우리나라 기업은 없다.

이들의 주목표는 플라스틱이 매립, 소각, 유출되는 것을 제로로 만드는 것이다. 바로 2025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포장재를 ‘재사용(reusable)·재활용(recyclable)·퇴비화 가능한 플라스틱 포장재’로 100% 생산하고, PCR 용기 비중을 26%까지 높인다는 공약이다.

엘런 맥아더 재단은 각 기업의 플라스틱 사용량과 향후 감축 목표를 매년 검증해 공개한다. 특히 소비자들에게 직접 플라스틱 제품을 직접 제조 판매하는 핵심 기업 96곳에 대해서는 연간 플라스틱 포장재 발생량(t), 재사용·재활용·퇴비화 플라스틱 포장재 비율, 재생 플라스틱 사용 비율, 버진(석유) 플라스틱 포장재 감축비율을 산출해 제공한다. 정보를 제공한 기업은 ‘서명인’(signatory)으로 불리며 ‘순환 경제 구축을 시작하기로 결정한 기업’이라고 소개된다.

기업들은 2021년 말 기준 전 세계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 발생량 1위 코카콜라를 비롯해 약 96곳의 플라스틱 포장재 생산 및 사용 기업과 플라스틱 원료 생산기업 12곳, 재활용 업체 25곳, 플라스틱 포장재 공급업자 10곳, 중앙 및 지방 정부 16곳, 그 외 금융사 및 NGO 등 기타 223곳 등 총 382곳이다. 이들은 개별 연례 보고서를 작성해 온라인에 세부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 비록 그것이 자사에 불리한 결과일지라도.

재단은 개별 기업들이 제시한 보고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 한 자료를 별도로 제공하고, ‘긍정(positive) 또는 부정(negative)’ 마크를 표시한다. 서명인들은 이런 살벌한 시험에 뛰어들어 스스로 발목에 족쇄를 채운 것이다. 코카콜라는 재단의 전략적 파트너이면서 매년 자사의 플라스틱 사용과 관련한 세세한 자료를 재단에 제공해 공개적 망신을 산다.

이 압박을 견디지 못해 네트워크를 탈퇴하는 기업들도 매년 조금씩 발생한다. 2021년엔 중국의 후이두 환경보호과학기술, 독일의 다국적 기업 메트로AG(Metro AG), 영국 백화점 셀프리지(Selfridges), 미국의 스탠리블랙앤데커(Stanley Black & Decker), 미국 재활용업체 카본LITE(CarbonLITE)가 탈퇴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백종원 "워따, 대박이네"
  • "노병은 돌아온다"
  • '완벽 몸매'
  • 바이든, 아기를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