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샌즈랩, 딥페이크 이어 음성 변조 탐지 기술 고도화…수익화 기대에 8%↑[특징주]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샌즈랩(411080)이 강세를 보인다. 딥페이크에 이어 오는 2027년에는 텍스트 조작, 음성 변조까지 탐지하도록 기술을 고도화할 것이란 소식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후 2시 11분 현재 샌즈랩은 전 거래일보다 8.35%(650원) 오른 84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샌즈랩은 2023년 연매출이 약 83억 원으로 전년 대비 29% 감소했으며, 영업손실은 전년 대비 320% 증가한 3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기존 주력 제품인 CTX(Cyber Threat X)의 매출이 1년 만에 117억 원에서 43억 원으로 급감하면서 실적이 악화됐다. CTX는 악성코드를 분석해 위협에 대응하는 솔루션으로, 특정 고객사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62%에 달해 실적 변동성이 컸다. 이에 따라 샌즈랩은 딥페이크 탐지 솔루션 ‘페이크체크(FakeCheck)’를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사업 전환을 본격화했다.2024년 9월 출시된 ‘페이크체크(FakeCheck)’는 이미지 기반 딥페이크 여부를 15초 만에 판별하는 솔루션이다. AI 기반 멀티스캐닝 탐지 기술을 활용해 조작 여부를 분석하며, 출시 6개월 만에 약 20만 건의 요청을 기록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현재 영상 탐지는 불가능하지만, 올해 안으로 영상 탐지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다.특히 샌즈랩은 2027년부터 본격적인 수익화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후 텍스트 조작·음성 변조 탐지 기능까지 확대해 글로벌 딥페이크 대응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향후 샌즈랩은 페이크체크를 API 서비스 및 클라우드형 서비스(SaaS)로 확장해, 다른 서비스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 인터넷 뉴스 콘텐츠를 자동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미디어 기업 및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탐지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실시간·자동화 딥페이크 탐지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글로벌 표준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샌즈랩은 기존 CTX 제품에도 AI 기반 위협 식별 기능을 추가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구글의 글로벌 위협정보 플랫폼 ‘바이러스토탈(VirusTotal)’과 연동해 올해 1~2월 신규 가입자가 전년 대비 270%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현재 CTX 요금제는 일일 1,000개 분석량 기준 월 41만 6,000원으로, 경쟁 제품보다 62%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한편 샌즈랩은 AI 기반 보안 기술을 바탕으로 2027년부터 본격적인 수익화를 예상하고 있으며, 딥페이크 및 사이버 보안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딥페이크 탐지, 텍스트 조작 및 음성 변조 탐지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형태의 위협에 대응하는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딥페이크 대응 시장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 토마토시스템, 美 전역 시니어 대상 원격 의료 공략에 17%↑[특징주]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토마토시스템(393210)이 강세를 보인다. 토마토시스템 미국 현지법인 사이버엠디케어(CyberMDCare)가 미국 시니어 대상 ‘원격 의료’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고 밝히면서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9시 44분 현재 토마토시스템은 전 거래일보다 17.42%(920원) 오른 6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토마토시스템은 미국 현지법인 사이버엠디케어가 미국 전역 26개주 752개소에서 12만 유닛의 시니어 거주지를 관리하는 W사와 협력해 시니어 아파트를 중심으로 원격 의료를 공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미국 LA에 있는 미라마 타워(Miramar Towers) 시니어 아파트에서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이번 설명회에서는 사이버엠디케어의 원격 환자 모니터링(RPM, Remote Patient Monitoring) 서비스와 원격 응급의료센터(SUCC, Smart Urgent Care Center)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보다 효율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 방안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설명회에서는 RPM 서비스를 통해 시니어들이 실시간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과, 의사 진찰이 필요할 시 SUCC를 통해 의료진과 신속하게 연결되는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이를 통해 시니어 입주자들은 평소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예약이 없더라도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됐다.특히, 사이버엠디케어는 의료 접근성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시니어 입주자를 위해 RPM 및 SUCC 서비스의 파일럿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병원의 업무 외 시간뿐만 아니라, 주말과 연휴에도 사이버엠디케어의 ALL-IN-ONE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의료 지원이 가능해질 전망이다.설명회에 참석한 입주자들은 예방 중심의 의료 서비스인 RPM 서비스와 영상진료 서비스에 큰 관심을 보이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미국의 시니어 아파트는 고령층을 위한 주거 시설로, 일정 연령 이상의 시니어들이 입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동체 주거 공간이다. 입주자들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생활 편의 시설 지원을 함께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사이버엠디케어는 이러한 시설의 입주자들에게 공간의 제약이 없는 RPM 서비스와 화상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주자들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미국 전역의 시니어 레지던셜 관리 회사와의 서비스 계약 체결을 통해 시장을 확장하고, 보다 많은 시니어들에게 혁신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사이버엠디케어 관계자는 “시니어 입주자들에게 최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고,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더 많은 시니어 아파트 단지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사이버엠디케어의 ALL-IN-ONE 서비스를 통해 고령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이어 “다른 RPM 서비스 기업과는 달리 SUCC 원격 응급의료센터를 보유하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시니어 아파트 입주자 대상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다”며 “입주자들은 즉각적인 의사의 진찰이 필요한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의료 접근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