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美특징주]킨더모건, 천연가스 수요 강세 불구 주가는 하락
  • [이데일리 김카니 기자] 미국 에너지 인프라 기업 킨더모건(KMI)은 견조한 천연가스 수요와 긍정적인 시장 전망을 발표했지만 주가는 하락했다.16일(현지시간) 오후 정규장에서 킨더모건 주가는 전일대비 0.99% 내린 26.9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마켓워치에 따르면 킴 당 CEO는 “미국 내 1분기 천연가스 생산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일일 기준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68억입방피트 증가하며 2년 연속 1분기 수요 신기록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어 “2030년까지 미국 천연가스 수요는 최대 하루 280억입방피트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킨더모건은 현재 88억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보유 중이며 일부 프로젝트는 이미 가동에 들어갔다. 철강 관세 등 비용 부담에 대한 우려에 대해 당 CEO는 “완제품 파이프의 대부분 비용을 고정시켜 약 90%는 관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리처드 킨더 회장도 “연방 차원의 인허가 간소화와 인프라 프로젝트 가속화 정책 덕분에 중장기 전망이 매우 밝다”고 강조했다. 한편 킨더모건은 최근 톰 마틴 사장이 2026년1월 은퇴할 예정이며 후임으로 닥스 샌더스가 내정됐다고 밝혔다.
2025.04.17 I 김카니 기자
  • [美특징주]포드, “2024년 중국 사업서 9억달러 영업이익”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포드 모터(F)가 2024년 중국 사업 부문에서 9억달러 규모의 세전 영업이익(EBIT)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해 25%의 산업별 관세와 함께 145%에 달하는 전방위적 관세를 발표한 직후 나왔다. 포드는 이 수익이 중국 내수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동남아시아 및 남미로의 수출을 포함한 수치라고 설명했다.16일(현지시간) 다우존스뉴스와이어 보도에 따르면 존 라울러 포드 부회장은 이날 개최된 뱅크오브아메리카 주최 오토모티브 서밋에서 이같은 실적을 공개했다. 그는 “중국 내 포드의 현지 파트너들이 업계 최저 수준의 비용 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월까지 포드의 최고재무책임자(CFO)였으며 현재는 전략 및 글로벌 운영 강화를 담당하는 부회장직을 맡고 있다.라울러 부회장은 “중국의 민첩한 차량 개발 시스템이 기존의 차량 출시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며 “우리가 중국으로부터 배워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차량 개발 속도를 높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개발 접근 방식을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포드의 첨단 전기차 개발센터에도 도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이번 발언은 미국이 중국 자동차 수출에 대한 제재 강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포드가 중국 내 생산 및 협력 구조를 글로벌 전략에 접목하려는 시도와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특히 라울러 부회장은 비용 절감뿐 아니라 제품 개발 속도에서 중국 파트너사들이 보여준 경쟁력을 글로벌 거점으로 확장하려는 의지를 드러냈다.이날 오후 1시 30분 기준 포드 주가는 1.22% 상승한 9.5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025.04.17 I 정지나 기자
  • [美특징주]AMD, 中 수출 제한 여파에 주가 5%↓…800백만달러 규모 재고 손실 전망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AMD(AMD)가 중국 수출 규제로 인한 재고 평가손실 가능성을 공식화하며 16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락했다. 마켓워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미 상무부의 새로운 규정에 근거한 것으로, 중국 본토는 물론 마카오와 홍콩에 판매되는 일부 고성능 반도체 제품에 대해 수출 라이선스를 요구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AMD는 해당 규제에 따라 라이선스를 신청할 계획이지만 “허가가 보장되지 않는다”며 불확실성을 인정했다.특히 AMD는 이번 규제로 인해 약 8억달러 규모의 재고 및 구매 계약 관련 비용이 손실로 반영될 수 있다고 밝혔다. AMD는 고성능 연산용으로 설계된 MI308 제품군이 이번 수출 제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이날 오전 10시 48분 기준 AMD 주가는 6.36% 하락한 89.2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다른 주요 반도체 및 장비 기업들도 동반 약세를 보였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는 중국 매출 비중이 낮지만 주가가 1.89% 하락하며 투자심리 위축을 피해가지 못했다.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KLA(KLAC), 램리서치(LRCX) 모두 매출 감소 리스크에 노출돼 있으며 이날 각각 3~4%대 하락을 기록했다.
2025.04.16 I 정지나 기자
  • [美특징주]허츠, 빌 애크먼의 깜짝 지분 매입에 주가 17%↑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렌터카 업체 허츠 글로벌 홀딩스(HTZ)는 행동주의 투자자로 유명한 빌 애크먼이 이끄는 펀드 퍼싱스퀘어가 지분을 매입한 사실이 공개되면서 16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등했다. 이날 오전 10시 38분 기준 허츠의 주가는 17.12% 상승한 4.28달러를 기록했다.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퍼싱스퀘어는 허츠 주식 약 1270만주를 보유 중이다. 이는 전체 발행주식의 약 4%에 해당된다. 다만 퍼싱스퀘어 측은 구체적인 매입 의도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시장에서는 이번 지분 매입이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차 관세 정책과 무관치 않다고 해석하고 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추진 중이며 이는 미국 내 차량 가격을 평균 5000달러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신차 뿐 아니라 중고차 가격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허츠는 신차를 대량 구매해 렌터카로 운용하다 일정 기간 후 중고차 시장에 되파는 구조로, 보유 차량의 자산 가치 상승은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전체 차량 중 상당수가 이미 보유 재고로 구성돼있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차량 가치 상승이 재무 개선으로 연결될 여지가 크다. 다만 이런 효과는 일시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차량 가격 상승은 렌탈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수요 위축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2025.04.16 I 정지나 기자
  • [美특징주]엔비디아, 개장 전 6% 하락…월가, 목표가 줄하향
  • [이데일리 이주영 기자] 대중국 AI 반도체칩 H20에 대한 수출 규제 결정에 엔비디아(NVDA)가16일(현지시간) 개장 전 6% 넘게 빠지고 있다.현지시간으로 이날 오전 7시30분 개장 전 거래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일대비 6.28% 하락한 105.15달러에서 출발을 준비 중이다.전일 엔비디아는 공시를 통해 미국정부로부터 H20에 대한 대중국 수출시 미국정부로부터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통보받았으며 이후 미국정부는 그 기한은 ‘무기한 유지’한다고 밝혔다.지난해 기준 엔비디아 전체 매출의 13%를 중국에서 차지하는만큼 해당 결정 이후 주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또 이를 반영해 월가에서는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하고 나섰다.먼저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기존 200달러에서 160달러로 엔비디아 목표주가를 내려 잡았다.해당 투자은행의 비벡 아리아 연구원은 “이번 결정으로 매출의 5%~8%, 주당순이익(EPS)은 6%~10% 가량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도 그는 “엔비디아의 AI에 대한 글로벌 수요와 선도적 입지는 이 같은 리스크를 상쇄할 수 있으며 오히려 오버행 이슈를 줄일 수 있다”고 평가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같은날 파이퍼샌들러도 엔비디아에 대한 목표주가를 175달러에서 150달러로, 레이몬드 제임스도 170달러에서 150달러로 낮췄다.그러나 두 곳 증권사 모두 투자의견은 시장 수익률 상회와 강력매수를 그래도 제시했다.
2025.04.16 I 이주영 기자
원텍, 미용의료기기 수출 호조에 5%↑
  • 원텍, 미용의료기기 수출 호조에 5%↑[특징주]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원텍(336570)이 강세를 보인다. 미용의료기기 수출이 호조세를 보인다는 증권사 분석이 투심을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16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9시 38분 현재 원텍은 전 거래일보다 5.81%(450원) 오른 8190원에 거래되고 있다.심의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일 발표된 관세청 수출 통계에 따르면 원텍이 본사를 두고 있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미용의료기기 3월 수출 금액은 832만 달러로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경신했다”며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태국향 수출이 두드러지게 증가했으며(261만 달러, 전월 대비 50% 증가), 지난해 부진을 지속하였던 브라질향 수출 또한 8개월 만에 최대치 경신(95만 달러, 전월 대비 142%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심의섭 연구원은 “이외에도 미국(73만 달러, 전월 대비 87% 증가), 일본(64만 달러, 전월 대비 29% 증가)등 주요 국가 중심으로 견조한 고성장 추세를 이어가는 중”이라며“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 1분기 수출 실적은 최성수기인 지난 4분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는 태국 매출은 올해에도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브라질향 매출 또한 올리지오X와 라비앙을 중심으로 재차 성장 추세 진입할 것”이라며 “회복을 넘어 재차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원텍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2025.04.16 I 박정수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