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美특징주]오클로, 원자로 부지 조사 계약 체결…주가↑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기업 오클로(OKLO)는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와 부지 조사 계약을 체결하면서 20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이날 오후 12시 4분 기준 오클로 주가는 4.81% 상승한 29.40달러를 기록했다.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시추 작업 및 토양 샘플 채취 등 원자로 설치를 위한 지반 조사에 앞서 체결된 것으로, 에너지부와 지역 부족인 쇼쇼니-배녹족과의 협의를 통해 환경 규제를 충실히 따르겠다는 의지도 담겨 있다. 오클로는 지난해 9월 에너지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해당 부지에 대한 사전 조사 권한을 확보한 바 있다.오클로는 이번 계약을 “프로젝트의 진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평가하면서도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가동이라는 본질적인 목표까지는 아직 갈 길이 남아 있다”고 밝혔다. 오클로는 2027년 말 첫 오로라 발전소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데이터센터 기업 스위치, 핵연료 개발사 라이트브리지 등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오클로는 2013년 MIT 출신 제이콥 드위트와 캐롤라인 코크런에 의해 설립됐으며 지난해 5월 오픈AI CEO 샘 알트먼이 주도한 SPAC(기업인수목적회사)과의 합병을 통해 나스닥에 상장했다.드위트 CEO는 “상업용 발전소를 실제로 건설하고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그 전까지는 모두 준비 단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계약은 에너지부 및 INL과의 폭넓은 협력의 산물이며 오클로의 첫 번째 원자로를 실제로 가동시키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한편 오클로 주가는 올해들어 37% 상승했으며 최근 12개월간 누적 상승률은 170%를 넘어서고 있다.
2025.03.21 I 정지나 기자
  • [美특징주]테슬라, 반등…루트닉 상무부장관 "테슬라 사라"
  • [이데일리 이주영 기자] 미국내 사이버트럭 리콜결정으로 약세 출발했던 테슬라(TSLA)가 반등을 시도 중이다.20일(현지시간) 오전 10시20분 테슬라 주가는 전일대비 0.54% 오른 237.13달러에서 거래되고 있다.전일 투자의견 상향 분석에 235달러대를 회복했던 테슬라는 이날 232달러까지 조정받으며 출발했다.개장 전 CNBC에 따르면 미국에서 4만6096대 사이버트럭 차량에 대해 리콜 결정이 내려지며 주가에 영향을 준 것이다.여기에 파이퍼샌들러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테슬라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500달러에서 450달러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이들은 리스크가 높아졌다는 점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내렸다고 설명했으나 여전히 현 주가 대비 90% 이상 추가 상승할 수 있다는 평가인데다 투자의견도 비중확대를 유지하며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은것으로 풀이된다.특히 지난 19일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부장관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테슬라 주식을 사라”고 직접 발언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월가 유명 트레이더이자 헤지펀드 매니저이기도 했던 그는 “테슬라의 주식이 이렇게 저렴하다는 것은 믿을 수 없다”며 “다시 이런 가격대는 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이어 “일론 머스크 CEO와 테슬라가 만들고 있는 로봇은 오늘의 꿈을 만들고 있고 결국 ‘그의 주식을 샀어야 했는데’라는 생각을 하게될 것”이라고 까지 표현했다.
2025.03.20 I 이주영 기자
  • [美특징주]핀둬둬, 4Q 실적 예상치 하회…개장전↓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테무의 모기업 핀둬둬(PDD)는 4분기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20일(현지시간) 주가가 하락했다.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핀둬둬는 4분기 주당순이익(EPS) 18.53위안, 매출 1106억위안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팩트셋 예상치였던 주당 19.85위안, 매출 1136억위안에 못 미치는 수치다. 핀둬둬는 4분기 매출이 전년대비 24% 증가했으며 이는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및 거래 서비스 부문의 견조한 성장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장은 예상치를 밑돈 수익성과 거시경제 불안 요소에 더 주목하는 분위기다.핀둬둬 주가는 지난해 4분기에만 28% 하락했지만 올해들어 전날 종가 기준 대부분의 낙폭을 회복한 상태였다. 그러나 이번 실적 발표 이후 다시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주요 우려 요인 중 하나는 미중 간 무역 갈등이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중국도 보복 관세로 대응하면서 테무와 핀둬둬와 같은 플랫폼이 미국 소비자 대상 가격 경쟁력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이날 오전 9시 11분 기준 개장전 거래에서 핀둬둬 주가는 3.51% 하락한 121.50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2025.03.20 I 정지나 기자
  • [美특징주]QXO, 110억달러 규모로 비컨 인수 합의…개장전 동반 상승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건축 자재 유통업체 QXO(QXO)가 비컨 루핑 서플라이(BECN)를 110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하면서 20일(현지시간) 양사의 주가가 동반 상승했다.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QXO는 비컨 주식을 주당 124.35달러에 전액 현금으로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이 전해진 후 비컨 주가는 8시 52분 기준 개장전 거래에서 1.84% 상승한 123.77달러를 기록했으며 QXO 역시 1.92% 상승한 13.3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번 인수는 QXO가 설립 이후 추진해온 인수·합병 전략의 일환으로, QXO 창업자이자 CEO인 브래드 제이콥스는 “비컨 인수는 QXO의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고 8000억달러 규모의 건축자재 유통 산업에서 선두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이정표”라고 밝혔다. 그는 “QXO가 축적해온 성공적 운영 전략을 통해 시장 평균 이상의 유기적 성장과 수익성 향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QXO는 2023년 12월 설립된 이후 M&A를 통한 성장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향후 연 매출 50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비컨은 올해 2월 QXO의 주당 124.25달러 현금 인수 제안을 한 차례 거절한 바 있다.이번 인수 가격은 비컨의 2025년 예상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의 약 11배 수준으로, 이는 S&P500 내 산업재 기업 평균인 15배에 비해 비교적 낮은 평가다. 비컨은 향후 3년간 연평균 EBITDA 성장률 5%, 순이익 성장률 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 주가는 2025년 예상 수익 기준 약 15배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S&P500 평균인 21배 대비 낮은 수준이다.
2025.03.20 I 정지나 기자
  • [美특징주]파이브빌로우, 4Q 호실적 강력한 가이던스에 개장 전 ‘급등'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파이브빌로우(FIVE)는 지난 4분기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또한 회사는 기대 이상의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했다.이 소식에 20일(현지시간) 오전 7시 40분 기준 파이브빌로우의 주가는 개장 전 거래에서 전일대비 11% 급등한 84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파이브빌로우는 지난 4분기 순이익이 1억875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3.39달러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2억220만달러, 3.65달러 대비 감소했다고 전했다.다만 조정 EPS는 3.48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3.38달러를 상회했다.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13억9000만달러로 월가 예상치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분기 동일매장매출은 전년 대비 3% 감소해 월가 전망치인 3.3% 감소를 웃돌았다.한편 파이브빌로우는 2025년 1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9억500만달러~9억2500만달러로 제시했다.이는 시장 예상치인 8억9700만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이다.1분기 순이익 전망치는 2500만달러~3100만달러로 월가 예상치인 2700만달러를 웃돌았다.또한 회사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42억1000만달러~43억3000만달러, 연간 순이익 전망치를 2억1600만달러~2억5000만달러로 제시했다.
2025.03.20 I 장예진 기자
펌텍코리아, 인디브랜드 중심 K-뷰티 트렌드 수혜에 ‘신고가’
  • 펌텍코리아, 인디브랜드 중심 K-뷰티 트렌드 수혜에 ‘신고가’[특징주]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펌텍코리아(251970)가 강세를 보인다. 인디브랜드 중심 K-뷰티 트렌드 수혜 전망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9시 37분 현재 펌텍코리아는 전 거래일보다 5.77%(2650원) 오른 4만 85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5만 1100원까지 치솟아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날 성현동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펌텍코리아의 매출액을 전년 대비 12.2% 증가한 3786억원, 영업이익은 17.1% 증가한 567억원으로 추정했다. 성 연구원은 “펌텍코리아는 K-뷰티 산업의 트렌드 변화의 수혜를 입고 있다”며 “SNS 및 영상 플랫폼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다양한 인디브랜드들이 등장하였으며 수출 국가 또한 다변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인디브랜드는 생산과 유통을 외주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펌텍코리아의 수혜로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펌텍코리아아는 다양한 제품 및 고객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며 “2024년 기준 제품별 매출 비중은 펌프 및 용기류 41%, 튜브류 23%, 콤팩트류 16%, 스틱류 14% 등으로, 고객별로는 인디브랜드 59%, 국내 대형사 13%, 일본 외 해외고객사 23%, 일본 4% 등으로 다변화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펌텍코리아는 5000 벌의 자체모델금형를 보유하고 있다”며 “자체모델금형으로 제작한 모델은 용기 IP가 펌텍코리아에 귀속되기 때문에 다양한 고객사에 판매 가능하다”고 했다. 성 연구원은 “연초부터 양호한 수주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7~8월 4공장 준공 및 가동이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2025.03.20 I 박정수 기자
젠슨황 “엔비디아 칩 수요 증가” 발언에 삼전·하이닉스 오름세
  • 젠슨황 “엔비디아 칩 수요 증가” 발언에 삼전·하이닉스 오름세[특징주]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장 초반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딥시크로 불거진 엔비디아의 비싼 AI 칩 논란과 관련해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엔비디아 칩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발언하면서다. 20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9시 3분 현재 삼성전자(005930)는 전 거래일 대비 1.28% 오른 5만 9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SK하이닉스(000660)는 전 거래일 대비 1.46% 오름세다. 앞서 젠슨황 CEO는 19일(현지시간)CNBC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가 대중화한 추론 모델(R1)도 더 많은 칩이 필요할 것”이라며 “엔비디아의 프로세서와 컴퓨터가 꽤 비싼 건 사실이지만 처리시간 단축 등으로 엄청난 돈을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딥시크처럼 저렴한 AI 모델 개발 방식이 확산하면 엔비디아의 비싼 AI 칩 등이 필요 없을 것이라는 질문에 “AI 추론 모델과 에이전트가 엔비디아의 칩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AI로 새로운 산업 혁명이 시작됐고 이것이 미래의 공장이며 AI 공장이 모든 것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전날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 6세대인 HBM4 12단 샘플을 세계 최초로 선보이면서 주요 고객사들에 제공했다고 밝혔다.
2025.03.20 I 이용성 기자
'코스닥 입성' 한텍, 공모가 대비 130%↑
  • '코스닥 입성' 한텍, 공모가 대비 130%↑[특징주]
  • [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한텍(098070)이 공모가 대비 130%대 강세를 보이고 있다.20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9분 현재 한텍은 공모가(1만 800원) 대비 131.94% 오른 2만 5050원에 거래 중이다.한텍은 지난 6~7일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진행했으며, 경쟁률 1397.21대 1을 기록했다. 증거금은 약 6조2400억원으로 집계됐다.앞서 지난달 24일부터 5영업일간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는 경쟁률 951.52대 1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밴드(9200원~1만 800원) 최상단인 1만800원으로 확정한 바 있다. 수요예측 당시 신청수량의 99.96%가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 이상(가격 미제시 0.73% 포함) 가격을 제시했으며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19.8%다.화공기기 기업 한텍은 1973년 한국비료 기계장치사업부로서 화공기기 제조를 시작했다. 1994년 삼성그룹에 인수 후 삼성정밀화학으로 사명을 변경을 거쳐 1998년 독자 법인으로 분사해 설립됐다. 한텍의 사업은 크게 두 부문으로 정유, 석유화학, LNG, 비료 등 플랜트 건설에 필수적인 화공기기를 제작, 공급하는 ‘화공기기사업부’와 질소, 산소, 수소,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등 산업용 초저온가스 저장탱크를 설계, 제작 및 설치하는 ‘탱크사업부’로 운영된다.한텍은 미국 정권 교체에 따른 액화천연가스(LNG) 플랜트 투자 확대의 수혜를 기대하며 공격적인 수주 확보에 나서는 한편 암모니아 혼소 저장탱크, 사용 후 핵연료봉 저장장치(CASK), 액화이산화탄소 포집 저장용기 개발 등 그린에너지 시대를 겨냥한 신규 사업 다각화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2025.03.20 I 신하연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