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나인테크, 나트륨 2차전지 기업 에너지11 지분 부각에 9%↑
  • 나인테크, 나트륨 2차전지 기업 에너지11 지분 부각에 9%↑[특징주]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이차전지 및 IT소재 장비 전문기업 나인테크(267320)가 강세를 보인다. 나인테크 관계사 에너지11은 국내 최초로 나트륨 이차전지 상용화에 성공한 데 이어, 최근 고분자·산화물 기반 하이브리드 고체 전해질 필름의 상용화를 본격화하고 있다.25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후 1시 44분 현재 나인테크는 전 거래일보다 9.79%(325원) 오른 3645원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나트륨 2차전지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전 세계 배터리 생태계가 재편되고 있다. CATL, BYD 등 글로벌 메이저 업체들이 속속 나트륨 배터리 라인업을 강화하는 가운데, 리튬 가격 급등과 자원 편중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나트륨 배터리가 새로운 시장 트렌드로 부상했다. 국내에서도 관련 기술 확보와 상용화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에너지11은 상용화에 성공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선도적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에너지11은 고체 전해질 필름을 배터리 분리막 대체용으로 개발, 150℃ 고온에서도 안전하게 작동하며, 화재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소재 기술로 주목받는다. 현재 100μm 두께의 양산라인을 확보했으며, 향후 50μm 이하의 초슬림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고체 전해질은 나트륨 전지뿐 아니라 ESS, 전고체전지 등 차세대 배터리 전반에 활용될 수 있어 범용성과 시장 확장성 또한 크다.또한 에너지11은 에코프로비엠과의 양극재 공동개발, 전지용 바인더 소재 개발, 동남아 진출 등 다양한 파트너십 및 글로벌 전략도 전개 중이다. 고체 전해질 및 나트륨 전지 제조 공정과 관련된 국내외 핵심 특허도 다수 확보하고 있다.글로벌 전고체전지 시장은 2030년까지 약 55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고체 전해질과 나트륨 2차전지라는 차세대 배터리 투트랙 기술을 확보한 에너지11, 그리고 이를 간접적으로 보유한 나인테크의 기업가치 재평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한편 나인테크는 에너지11의 2대 주주로서 지분 15.32%를 보유하고 있으며, 고체 전해질 양산 장비 개발에도 직접 참여할 계획이다.
2025.04.25 I 박정수 기자
더블유게임즈, 52주 신고가…온라인카지노 역대 최고 매출
  • 더블유게임즈, 52주 신고가…온라인카지노 역대 최고 매출[특징주]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더블유게임즈(192080)가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온라인카지노가 역대 최고 매출을 경신, 신사업 성과가 기대된다는 증권사 분석이 투심을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9시 42분 현재 더블유게임즈는 전 거래일보다 0.90%(500원) 오른 5만 5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5만 6000원까지 치솟아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석오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더블유게임즈는 1분기 영업수익 16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하고 영업이익 663억원으로 같은 기간 7.5% 늘어 컨센서스 영업이익 644억원을 상회할 것”이라며 “소셜카지노는 안정적인 가운데 i-Gaming(온라인카지노)이 역대 최고 매출 경신 중”이라고 분석했다. 강석오 연구원은 “마케팅비를 상회하는 매출 증가로 이익 기여가 시작됐다”며 “마케팅비는 최근 2년간 매출액 대비 15% 미만으로 줄였음에도 결제액은 감소하지 않았다. D2C(고객 직접 판매) 과금 유저 비중도 증가해 올해 추가적인 변동비(앱수수료) 축소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강 연구원은 “신사업 i-Gaming과 캐주얼(팍시게임즈)은 3월까지 역대 최고 매출 경신했으며 2025년 각각 79%, 52% 외형 성장이 전망된다”며 “두 사업은 올해 연결 매출 대비 17%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며 동사의 두 자릿대 매출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6월 말에는 자사주 매입과 4분기 자사주 소각 예정이며 3월 주총에서 비과세 배당 확정 후 외인·기관 수급도 긍정적”이라며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성장에 연동된 주주환원 정책으로 내년 배당 총액과 자사주 매입 규모는 더 확대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2025.04.25 I 박정수 기자
차이커뮤니케이션, 업계 최초 어도비와 챗GPT 기반 생성형 AI 기술 협력
  • 차이커뮤니케이션, 업계 최초 어도비와 챗GPT 기반 생성형 AI 기술 협력[특징주]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차이커뮤니케이션(351870)이 강세를 보인다. 업계 최초 어도비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협력 소식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9시 26분 현재 차이커뮤니케이션은 전 거래일보다 6.23%(530원) 오른 90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AI 기반 디지털 마케팅 전문기업 차이커뮤니케이션이 업계 최초로 어도비코리아와 손잡고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제작 효율화를 위한 기술 협력에 나선다고 밝혔다. 차이커뮤니케이션은 자체 생성형 AI 플랫폼 ‘차이GPC’와 어도비의 생성형 AI 솔루션 ‘어도비 파이어플라이(Adobe Firefly)’를 연계해 AI 기술 경쟁력을 극대화할 방침이다.차이커뮤니케이션은 이미지 콘텐츠 제작에 특화된 어도비 파이어플라이를 활용해 차이GPC에 AI 이미지 생성 및 모션 효과 부여 기능을 구현할 예정이다. 해당 기능을 활용하면 단일 이미지만으로 다양한 모션 효과를 적용한 생동감 있는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작 시간이 대폭 단축되며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차이커뮤니케이션은 이번 협업을 기점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적절한 콘텐츠를 추천하거나 직접 생성하는 맞춤형 AI 에이전트로 차이GPC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차이GPC는 ‘챗GPT’와 네이버 ‘하이퍼클로바’를 결합한 자체 생성형 AI 플랫폼이다. 210억건 규모의 빅데이터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해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차이커뮤니케이션은 AI를 기반으로 광고 기획부터 콘텐츠 제작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선도적으로 개발해 독보적인 AI 기술력을 쌓아왔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AI 영상 편집, 3D 렌더링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도비코리아와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차이커뮤니케이션 관계자는 “210억건 규모의 자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한 광고 콘텐츠 제작 자동화 부문에서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력을 높게 평가받아 업계 최초로 어도비코리아와의 협업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며 “어도비의 최신 업데이트 기능을 차이GPC에 신속하게 반영해 업계 최고 수준의 생성형 AI 툴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장에서 실제 마케팅 현장에 필요한 기능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광고 산업의 미래를 선도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을 이끄는 리더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2025.04.25 I 박정수 기자
현대차증권, 1분기 깜짝 실적에 3%↑
  • 현대차증권, 1분기 깜짝 실적에 3%↑[특징주]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현대차증권(001500)이 1분기 깜짝 실적에 강세를 보인다. 25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9시 20분 현재 현대차증권은 전 거래일보다 3.26%(190원) 오른 60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현대차증권은 영업(잠정)실적 공시(공정공시)를 통해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27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131억 원 대비) 106.2% 증가한 수치다. 당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102억 원) 대비 89.3% 증가한 193억 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차증권은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의 비결로 S&T(세일즈앤트레이딩), 리테일 ‘양 날개’의 고른 수익성 확보를 꼽았다. 지난 1월 발표한 밸류업 공시 중 중장기 사업계획에서 언급한 핵심 부문들이다.S&T(세일즈앤트레이딩) 부문은 자기자본을 활용한 수익 창출 극대화로 전년 동기(457억 원) 대비 51% 증가한 690억 원의 순영업수익을 기록했다. PI 부문에서는 국내·외 투자자산 운용 수익, 구로 소재 ‘지밸리 비즈플라자’ 지분 매각 수익 등 기 투자한 우량 자산으로부터 안정적인 수익을 거뒀으며, 채권 부문에서는 1분기에만 2.9조원 규모(은행채 리그테이블 1위)의 은행채를 인수하면서 수익이 증가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현대차증권은 S&T본부를 신설해 파생상품, 자기자본투자(PI) 등 트레이딩 및 운용 관련 영업조직을 집중 배치한 바 있다.리테일 부문 또한 금융상품 판매 증가 및 VIP 고객관리 강화 등으로 양호한 성적을 거뒀다. 특히 금융상품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한 순영업수익을 기록하면서 리테일 부문 실적을 견인했다. 2분기에는 MTS 개선을 통해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해외주식 활성화 이벤트 등을 통해 해외주식 수수료를 확대할 방침이다.IB 부문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IB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실적 변동폭을 최소화했다. 현대차증권은 부동산 PF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IB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업금융 부문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1조 2,125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인수하면서 수수료 수익이 증가 했고, ABL(자산담보부대출) 금융주선, 기업 일반 신용대출 금융주선 등 비부동산 영역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었다.한편 중소형 증권사에 대한 부정적 전망 속에서도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함에 따라 현대차증권의 리스크 관리 역량이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올해 3월 말 기준 우발채무 규모는 약 6,259억 원으로, 자기 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율이 24년 말 대비 약 12% 하락했다. 지난 3월엔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으로 재무건전성을 강화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증권 NCR(순자본비율)은 24년 12월 말 478%에서 25년 3월 말 591%로 큰 폭으로 개선됐고, 올해 초 국내 3대 신용평가사(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NICE신용평가)로부터 신용등급 ‘AA-(안정적)’ 유지 평가를 받았다.현대차증권 관계자는 “S&T(세일즈앤트레이딩), 리테일 ‘양 날개’의 고른 수익성 확보와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1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의 비결”이라며, “올해는 게임체인저 역량 확보, 비즈니스 체질 개선 지속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재도약하겠다”고 밝혔다.
2025.04.25 I 박정수 기자
  • [美특징주]스케처스, 1Q 실적 기대치 부합에도 연간 가이던스 철회에…시간외 주가 급락
  • [이데일리 김카니 기자] 글로벌 신발 제조업체 스케처스(SKX)는 2025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하락했다.24일(현지시간) 배런스에 따르면 스케처스는 1분기 매출 24억6000만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 1.17달러를 기록했다. EPS와 매출 모두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으며 총이익률은 52%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그러나 회사는 기존에 제시했던 2025년 연간 매출 97억~98억달러, EPS 4.30~4.50달러의 가이던스를 철회하며 “글로벌 무역정책에 따른 거시경제 불확실성”을 이유로 들었다. 경영진은 소비자 수요 감소가 아닌 정책 리스크에 따른 조치라고 강조했으며 당분간 새로운 연간 전망은 제공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존 반더모어 CFO는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와 물가 상승 압력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 COO 데이비드 와인버그는 “미국 외 시장이 전체 매출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스케처스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제품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40% 이상이 중국산으로, 향후 145%에 달하는 고율 관세 부담 우려가 지속될 전망이다.이날 정규장에서 스케처스 주가는 전일대비 3.29% 상승한 50.49달러에 마감했으나 가이던스 철회 영향으로 시간외거래에서 6.71% 급락한 47.10달러를 기록했다.
2025.04.25 I 김카니 기자

더보기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