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면서 이민청 설립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로 효율성을 꼽았다. 현재 우리 정부는 이민자를 포함한 다문화인 업무를 여러 부처가 나눠 맡아 예산·사업 중복 등 비효율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 이사장은 “각 부처에 흩어져 맡다보니 시대 변화에 맞는 대응이 어렵고, 국무조정실에서 총괄한다해도 조정이 부처간 신경전에 조정이 쉽지 않다”며 “한곳에서 통합해 맡아야 일관성, 효율성이 높아진다”고 했다.
호주 대사를 역임한 김 이사장은 호주와 미국 등 선진국에 이미 한 장관의 구상과 유사한 ‘이민성’이 있어 벤치마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민을 전담하는 부서가 있는 호주 등은 이민자 정책을 전향적으로 바꾸는 곳들”이라며 “우리나라에도 이민청이 생기면 전향적인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예산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어 합리성이 커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무엇보다 한 장관의 취임 일성이 반가운 건 법무부의 시각이 변화했다고 봐서다. 김 이사장은 “과거에 외교부와 법무부, 노동부 등이 이민, 다문화정책 문제로 범부처 회의를 하면 법무부의 인식이 우려될 때가 있었다”며 “경제적으로 낙후한 나라에서 오는 이주민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간주하는 듯 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이주민들이 범죄를 일으킬 소지를 사전에 찾아 방지해야지, 문을 걸어잠그겠다거나 범죄 가능성 있는 집단으로 본다면 국제적으로도 인권문제 소지가 있지 않겠나”라고 했다.
김 이사장은 “이민청 설립은 법률 제정이 필요한데, 정치적인 민감도가 크지 않고 국가 미래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며 “법무부가 검토를 서둘러 설립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