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출된 대화 내용에 따르면, J.D. 밴스 부통령은 예멘 반군 후티에 대한 군사 작전을 논의하면서 “우리가 실수하고 있다. 수에즈를 통한 미국의 무역량은 전체의 3%에 불과하지만, 유럽은 40%에 이른다”고 언급했다. 이 발언은 후티의 위협으로 더 큰 타격을 입는 쪽은 유럽인데, 공격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는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밴스 부통령은 이어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에게 “우리가 진짜 가야 한다고 생각되면 가자. 다만 나는 또 유럽을 구제하는 것이 싫을 뿐”이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이에 대해 헤그세스 장관은 “부통령님, 유럽의 무임승차에 대한 당신의 혐오에 공감한다. 한심하다(pathetic)”고 답하며, 미국 외에 이 작전을 감당할 국가는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오늘(25일) 해당 대화가 트럼프 행정부 내 유럽 혐오의 뿌리 깊은 인식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유럽 동맹국들을 ‘업신여긴다’는 점이 대화 곳곳에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특히 유럽의 해상 안전 기여와 이란 견제 등 미국이 얻는 전략적 이점은 외면한 채 유럽의 ‘무임승차’만을 부각한 태도를 문제 삼았다.
가디언은 “후티 공습은 해상 무역 보호와 이란에 대한 견제에 대한 미 행정부의 정책과 훨씬 관련됐는데 밴스 부통령은 미국의 군사력에 대한 유럽의 무임승차론 측면을 밀어붙이기로 한 듯하다”고 꼬집었다.
유럽연합(EU) 고위 외교관들은 FT에 밴스 부통령이 그동안 유럽을 향한 큰 적대감을 보였지만 유럽을 미국이 지원하는 일을 얼마나 혐오하는지 보게 된 것은 여전히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한 EU 외교관은 “(공습의 이점에 대한) 생각이 얼마나 왜곡됐는지 놀랍다”고 말했고, 또 다른 외교관은 “제정신이 아니다. 놀랍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