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집권 1기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를 ‘관세 왕’(Tariff King)이라 부르기도 했다. 그는 당시 미국산 오토바이나 위스키 등에 대한 인도의 고율 관세를 반복적으로 불평했다. 최근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미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인도의 높은 관세가 미국산 수입을 막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도이체방크는 인도, 베트남, 태국 등이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타격을 입을 국가로 꼽으면서 “미국이 평균 관세율을 일치시킨다면 이들 3개국은 미국 무역이 자국 경제에 미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예상했듯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인도는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인도가 노력하고 있음을 적극 보여주고 있다. WSJ에 따르면 인도는 이달 초 스마트폰 부품과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소재, 할리데이비슨과 같은 외국산 오토바이 등 일부 품목의 관세를 인하했다으며 추가 품목의 관세 인하도 검토 중이다.
이외에도 인도는 콜롬비아와 달리 최근 104명의 미국 추방자들을 반발 없이 받아들였다. 인도 내 일부 반대 여론이 나오자 인도 당국자들은 불법 이민을 막기 위해 미국과 협력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이에 모디 총리의 ‘선물 보따리’도 관심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랫동안 러시아에 무기 구매를 의존해온 인도가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방위 장비를 사들이길 바라고 있다. 인도가 미국산 원유 구매를 늘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인도는 2021년 미국 원유의 최대 수출 시장이었으나 다음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를 할인된 가격 대량으로 구매하고 있다.
일각에선 두 정상 모두 하향식 개인주의 행정부를 추구하는 ‘스트롱맨 포퓰리스트’라는 공통점에 주목하고 있다. 상호관세 발표 직후에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두 사람은 종종 서로를 친구라고 부르며, 트럼프는 2019년 텍사스에서 열린 인도 출신 이민자들을 위한 행사에 모디 총리와 함께 참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