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현구 DB금융투자 자산전략팀 파트장은 13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쌍둥이 적자를 줄여나갔던 클린턴 정부 시절 한국은 IMF외환위기를 맞았다”며 도널드 트럼프 정부 2기의 경제정책이 글로벌 경제에 미칠 여파는 ‘시계제로’라며 이같이 말했다.
|
미국 경제는 물가와 재정지출 사이에 딜레마 상태에 빠졌다는 것이 그의 진단이다. 그는 “미국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지출 비율은 24%로 역사적으로 총 세 차례의 경제위기 당시만큼 올랐다”며 “괜찮은 경제를 더 괜찮게 만들며 경기과열에 따른 물가상승이란 부작용을 낳은 상황에서 재정지출은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운신의 폭이다. 강 파트장은 “2월 미국 CPI가 전월 대비 0.2%포인트 낮아진 2.8%(전년비)를 기록했지만, 미시간대학교의 1년 예상 CPI는 4%대로 나타나고 있다”며 “원인은 아직 알 수 없지만 화폐유통속도가 20년만에 상승세로 돌아서 연준이 부양책을 제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재정지출 축소에 따른 경기 하방압력에 쓸 수 있는 카드가 없단 이야기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엔캐리 트레이드(저금리에 엔화를 빌려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전략) 청산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그는 “일본의 최근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대비 4.0% 상승, 인플레이션 초입으로 보인다”며 “엔화 약세가 불러온 물가 상승을 되돌리려면 엔화 강세를 지지하기 위해 일본은행(BOJ)이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