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중기부에 따르면 설 명절이 포함된 지난달 10일부터 2월 10일까지 한달 간 온누리상품권은 1조 267억원 어치가 판매됐다. 이중 디지털상품권(카드형+모바일)이 8393억원 판매되면서 전년동기대비 7377억원이나 급증했다. 작년 설 명절에 1016억원가량 팔린 디지털상품권은 추석에는 6902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실제로 상품권을 사용해 물건 등을 구매한 실적도 디지털상품권이 크게 늘었다. 한 달간 상품권 총 사용액은 5286억원인데 이중 디지털상품권 사용액은 3733억원으로 집계됐다. 총 사용액의 71%가량으로 지난해 설 30%에서 급증했다.
젊은 세대 활용도가 높은 디지털상품권 사용이 크게 늘면서 원래 목적인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 외에 다른 취지로 활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대표적으로 주류와 금 등 상대적으로 고가의 품목에 집중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
최근 치솟은 금 가격도 온누리상품권이 일정 부분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최대 15% 할인된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한 뒤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 인근 금은방에서 금 제품을 구매해 차익을 노리는 식이다.
한편 온누리상품권은 사업운영자를 한국조폐공사로 바꾸고 내달 1일부터 온누리상품권 통합 애플리케이션(앱)을 출시한다. 아울러 사용처 확대를 위해 골목형상점가를 누적 600곳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차관은 “이번 설 기간 골목형상점가 등에서 디지털상품권 사용이 작년보다 늘었다”면서 “3월 동행축제기간 소비촉진을 위해 약 2주간(3월 17~28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추가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